4G 휴대폰, 우선 팔고 망은 뒷전…요금은 가장 비싸
4G 휴대폰, 우선 팔고 망은 뒷전…요금은 가장 비싸
  • 조강희 기자
  • 승인 2011.12.12 13: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용자 불만 폭증…통신사 ‘차감정책’ 시정돼야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사들이 4세대 롱텀에볼루션(4G) 서비스에 대해 비싼 요금제를 고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이동통신 이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사들은 망을 구축하기도 전에 서비스 및 단말기 판매에 열을 올리고 있어, 지방은 물론 수도권마저도 접속되지 않는 곳이 많다는 소비자 불만은 갈수록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12일 업계 등에 따르면 4G 서비스의 경우 서울과 수도권 일부에만 망이 설치돼 끊김 현상이 자주 발생하고 있는데도 고객에게는 이같은 사실을 제대로 공지하지 않고 가입을 유도하고 있다. 미개통 지역 가입자는 비싼 4G 사용료를 내면서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린 3G 망을 쓰는 셈이 되는 것.

4G 사용자는 ‘베타테스터’?…진짜 상용화는 2년 후에나

이에 대해 소비자들은 서비스에 비해 요금이 너무 과중하다며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아직 LTE서비스가 상용화되지 않은 지역의 한 4G 휴대전화 이용자는 최근 LTE서비스 사용료 등으로 9만원이 넘는 요금 명세서를 받고 충격을 받았다. 이 이용자는 “다섯 배나 빠르다는 LTE 신호는 아예 잡히지도 않아 일반 스마트폰처럼 3G로 인터넷 검색을 하고 있다”며 “사용할 수 없는 서비스에 대한 요금을 물린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했다.

4G 전용단말기를 사용하다가 해지한 한 이용자도 “수도권 지역은 LTE가 상용화됐다고는 하지만 안 터지는 곳이 너무 많다”며 “4G망이 완전히 구축될 예정인 2년 뒤에 구입해도 늦지 않을 것 같아 해약했다”고 말했다.

이동통신사들은 4G LTE는 속도면에서 기존 3G 통신망보다 5배 빠르다고 홍보하고 있다. 그러나 3G 통신처럼 건물 안에서도 LTE가 터지려면 적어도 1년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상황이 이런데도 지방에서는 아직 사용할 수조차 없는 4G 스마트폰을 판매하는 대리점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판매자들은 단말기 화질이 훨씬 더 선명하고 밝고, 제품 사양이 차이가 많이 난다는 이유로 소비자들을 유혹하고 있다.

더구나 SK텔레콤 본사에서는 대리점에 4G 단말기 판매를 압박하고 있는 정황까지 드러났다. 제주 지역의 한 판매점 관계자는 “SK텔레콤의 경우 4G를 못 팔면 오히려 SK텔레콤 측의 차감정책에 의해 역 송금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2월 현재 SK텔레콤의 4G 서비스는 서울과 수도권 일부에서만 가능하고, 지역은 부산과 대전 등 28곳에 한해 내년 1월경에나 시작될 예정이다.

특정 서비스 가입 안 되면 판매점도 이익 감소…기형적인 판매 구조

업계 관계자들은 이동통신사들이 대리점과 판매점을 중심으로 제공도 되지 않는 휴대폰과 서비스 요금제를 팔고 있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고 말한다. 특정 서비스 요금제에 가입하지 않는 경우 일선 판매점에서부터 이익을 감소시키는 ‘차감 정책’ 때문이라는 것이다.

‘차감정책’은 본사에서 정한 관리방안으로 통신사가 가입자의 선택에 따른 책임을 판매자에게 돌리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통신사→대리점→판매점’ 순으로 점차 하향한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그러나 본사에서 정한 조건을 맞추지 못할 경우 판매점은 판매수당에서 일정 금액이 깎이게 된다는 것. 판매수당이 깎이는 경우는 △가입자가 저렴한 요금제를 선택할 때 △할부 기간을 길게 잡았을 때 △부가서비스를 붙이지 못했을 때 등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판매점들은 소비자에게 요금제 등 서비스 선택을 강요해 부담을 전가하고 있다”며 “더구나 스마트폰 열풍을 타고, 대리점과 판매점이 늘어나게 되면서 본사의 이러한 판매 전략은 오히려 더 강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 판매자는 “부가서비스나 LTE의 경우 ‘정책’이 내려오면 마진 창출을 위한 서비스요금제를 더 붙이는 쪽으로 유도할 수밖에 없다”며 “그런데도 고객들은 사기당했다면서 해지하기 때문에 매장에서는 방법이 없다”고 하소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