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그룹의 '두 얼굴'
롯데그룹의 '두 얼굴'
  • 김상호 기자
  • 승인 2013.05.09 17: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계열사 상장, 비상장 여부에 따라 엇갈린 배당정책 투자자 원성
▲롯데그룹 본사

롯데그룹 계열의 창고형 할인마트 빅마켓이 계열사 카드만 받으면서 업계 눈총을 사고 있는가하면 롯데백화점은 판매 여직원의 투신자살 사건을 둘러싸고 판촉사원에게 과도한 매출달성을 강요한게 아니냐는 의혹에 휩싸였다.

또 최근 롯데호텔은 고학력 인턴사원을 낮은 임금으로 채용한 뒤 정규직 의무 전환기한 2년이 도래하기 직전 대부분 용도폐기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비난 여론이 그룹전체로 확산되는 분위기다.

더욱이 롯데는 새정부 경제민주화의 핵심인 대중소 상생도 외면해 업계 눈총을 사고 있다. 롯데마트는 식품업계의 대표상품을 겨냥한 PB(자사상표) 제품을 잇따라 출시했는데, 일각에서는 “식품업계의 갑인 대형 유통업체가 짝퉁제품을 잇따라 내놓는 것은 도가 지나치다”고 지적했다.

특히 롯데는 계열사들이 상장, 비상장 여부에 따라 엇갈린 배당정책을 실시해 투자자들의 원성을 사고 있다.

외부주주 비율이 높은 상장 계열사는 이익이 나도 ‘저배당’을 하고 오너와 계열사 지분율이 높은 비상장사는 실적과 무관하게 고배당을 실시해오고 있기 때문이다.

롯데쇼핑, 롯데케미칼 등 롯데의 상장계열사들은 지난해 실적에 대해 올해 10% 미만의 배당률(배당액/순이익)을 기록한 반면 비상장 계열사들은 100%가 넘는 곳도 있다.

이는 롯데그룹 대표 격인 롯데쇼핑의 지분구조를 살펴보면 쉽게 알 수 있다.

롯데쇼핑의 지분은 신동주, 신동빈 형제가 각각 14.58%, 14.59% 씩 나눠 갖고 있다.

여기서 호텔롯데가 9.6%를 보유하고 있는 상태이며, 호텔롯데는 롯데쇼핑 외에도 롯데삼강 8.6%, 호남석유화학 13.64%, 알루미륨 12.99%, 롯데건설 38.3%, 롯데물산 31.07% 등 그룹 전체를 아우르는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그런데 호텔롯데의 지분은 일본 (주)롯데홀딩스가 19.2%, 나머지는 일본L투자회사와 여러 일본기업들이 80.2%를 소유하고 있다. 결국 호텔롯데의 최대주주가 신동주 사장이 최대주주로 있는 일본(주)롯데홀딩스인 셈인 것이다.

상장사 롯데쇼핑의 경우 지난해 1조182억원의 연결기준 순이익을 올렸는데, 현금배당은 순익의 4.28%인 435억원에 불과했다. 3430억원의 순익을 기록한 롯데케미칼은 배당률이 9.81%인 336억, 롯데칠성은 5.41%인 47억원에 그쳤다.

롯데하이마트는 순이익 713억원 가운데 59억원만 배당으로 돌렸고 롯데손해보험, 롯데물산, 롯데카드는 아예 배당이 없었다.경기침체 장기화를 대비해야 했고 큰 자금이 투입되는 투자비용을 마련하기 위한 이유라는 게 롯데그룹의 설명인데, 비상장 계열사들의 현황을 보면 납득이 되지 않는다.

비상장인 롯데정보통신의 경우 지난해 63억원의 순이익을 올렸는데, 정작 배당에는 이보다 많은 82억원을 썼다.

편의점 세븐일레븐을 운영하는 코리아세븐도 올 3월 주당 500원의 현금배당을 실시했다.실적에 비교하면 배당폭은 상대적으로 큰 편이다. 코리아세븐은 지난해 2조4477억원의 매출액을 올렸다. 순이익은 513억원이었는데, 이 가운데 35.3%인 181억원을 배당에 썼다.

코리아세븐 주식은 롯데쇼핑(51.14%) 롯데제과(16.50%) 롯데로지스틱스(13.78%) 등 계열사가 81.42%를 보유하고 있고 신동빈 롯데그룹회장 등 오너일가 17.52%를 갖고 있다.

나머지는 소액주주(1.06%) 지분이다. 이번 배당으로 신동빈 회장 등 오너 일가는 31억원 이상을 배당받았다. 이 밖에 물류계열사인 롯데로지스틱스를 비롯해 호텔롯데, 부산롯데호텔 등 비상장사 대부분 배당률이 높은 편이다.

또 롯데그룹 비상장사인 한국후지필름은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외 3명에게 23억원을 배당했다.주주배당에 인색한 롯데가 정작 비상장 계열사엔 후한 까닭은 거미줄처럼 얽힌 그룹 지배구조 때문이란 지적이다.

비상장사는 신동빈 롯데그룹회장 등 오너일가와 계열사 보유지분이 90~100%를 차지한다. 배당을 하더라도 다른 계열사들이 이 자금을 가져가는 만큼 그룹 밖으로 유출되지 않는다는 얘기다.

반면 상장사의 경우 외부 주주들이 보유한 지분율이 50~70% 가량이다. 배당을 늘릴수록 개인이나 기관주주에게 주는 돈이 많아진다는 얘기다.

배당은 주주의 고유권리지만 국내 재벌총수 일가 고액배당의 경우 일감 몰아주기 등을 통해 이익을 상장사에서 비상장사로 옮긴 뒤 사유화한 결과일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