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日 최초 LTE 단말 공식 인증
LG전자, 日 최초 LTE 단말 공식 인증
  • 정은실 기자
  • 승인 2010.02.03 11: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lg전자의 4세대(g) lte 데이터카드(모델명: ld100)가 지난주 업계 최초로 일본 내 무선기기 기술기준적합증명인 ‘telec(telecom engineering center) 인증’을 획득했다.

lg전자는 지난해 4월 日 최대 이동통신사인 ntt도코모社와 lte 데이터카드 공급계약을 체결했으며, 이번 ld100을 올해 상용화할 실제 망 테스트에 공급한다.

lte 단말이 일본의 공식 인증을 획득한 것은 lg전자의 ld100이 유일하며 인증번호는 001번이다.

telec은 日 우정통신성이 지정하는 무선기기 인증제도로 까다로운 일본 내 무선법 기술기준에 적합함을 판단하는 통신규격 시험이다.

lg전자는 지난해 美 연방통신위원회(fcc: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에 이어 이번 일본 내 인증으로 lte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제품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했다.

ntt도코모社 이동기개발부 토시오 미키(toshio miki) 상무이사는 “lg전자의 이번 telec 인증을 환영하며, lg전자의 앞선 lte 기술력을 통해 망 테스트는 물론 올해 중 성공적으로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lg전자 mc사업본부 안승권 사장은 “가장 까다롭다는 일본 정부의 인증으로 lg전자의 앞선 lte 기술력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며, “올해를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열릴 글로벌 lte 시장을 지속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lg전자는 지난해 3월 美 fcc로부터 업계 최초로 시험용 lte 단말(모델명: leo3)을, 6월 2.5세대 cdma ev-eo와 4세대 lte를 모두 지원하는 핸드오버 단말(모델명: m13)을 각각 승인 받았다. (끝)

4세대 이동통신 기술

4세대 이동통신은 ‘정지 상태에서 1gbps(=1,000mbps), 60km 이상의 고속 이동 시에 100mbps 이상의 속도를 제공하는 통신서비스’를 뜻한다. 이동 중에는 현재 wcdma의 50배, 정지 중에는 초고속 유선 통신 속도의 10배 이상 속도를 지원한다.

또한, 주파수와 접속기기의 제한이 사라져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어떤 단말기로든 통신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all-ip(all internet protocol) 기반’이라는 것도 주요한 특징이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 기술표준화 작업을 진행해왔고, ▲3세대 이동통신 방식인 wcdma의 진화형태인 lte ▲모바일 와이맥스 진화형(mobile wimax evo) 등이 있다.

유럽의 보다폰, 미국의 버라이즌와이어리스, 일본의 ntt도코모 등 세계의 메이저 이동통신사들 대부분이 lte 방식으로 올해부터 순차적으로 4세대 서비스를 준비하는 등 lte 방식이 대세, 모바일 와이맥스 방식은 틈새시장을 노리는 형국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