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락하는 G7...부상하는 상하이협력기구 ‘결속’ 과시
추락하는 G7...부상하는 상하이협력기구 ‘결속’ 과시
  • 정성훈 기자
  • 승인 2018.06.11 13: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G7과 상하이협력기구가 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어 주목을 끌고 있다.  
 
그간 G7 국가들은 세계경제를 선도하기 위해 정책을 공조하고 협력하여 주요 이슈마다 역할을 다했으나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자국 우선주의에 길을 잃었다. 
 
반면, 상하이협력기구는 시진핑과 푸틴의 협력속에 속에 갈수록 역할 증대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 G7장상과 상하이협력기구의 대조적인 모습(사진 좌는 메르켈 총리 인스타그램에 올라온 사진. 오른쪽상하이협력기구는 신화망)
 
G7 정상들은 지난 9일 공동성명을 내고 보호무역주의와 관세장벽을 배격한다는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장을 떠나 싱가포르로 출국하면서 트위터를 통해 공동성명을 승인하지 말라고 미 대표단에 지시했다고 밝혔다.  
 
따라서 G7 공동성명서는 큰 의미를 잃었으며, 미국의 정책공조 없이는 실효성에 문제가 발생했다.  
 
이날 성명에는 규칙에 기반을 둔 무역 체제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관세 및 비관세 장벽과 보조금을 줄여나가겠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또 열려 있고, 투명하며 포괄적이면서 세계무역기구(WTO)와 일치하는 무역 합의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아울러 성명은 "자유롭고 공정하며, 상호 이익이 되는 무역이 성장과 일자리의 중요한 동력"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반면, 상하이협력기구(SCO)의 제18차 회의가 10일 중국 산동성 청도시에서 열렸다. 
 
이날 시진핑 중국국가주석이 회의를 주재하고 "'상하이정신'을 고양해 운명공동체를 구축하자"란 제목의 연설을 발표했다.  
 
지난 17년간 발전을 거쳐 오늘날 상하이협력기구는 이미 최대 분포지역, 최다 인구를 보유한 포괄적인 지역협력기구로 부상했으며 회원국 경제와 인구 총량은 각기 세계의 20%와 40%를 차지하고 있다. 
 
또 유엔 등 국제 및 지역기구와 광범위한 협력관계를 수립했으며 국제영향력이 계속 향상되면서 이미 세계평화와 발전을 촉진하고 국제공평 및 정의를 수호하는 중요한 힘으로 부상했다. 
 
시진핑 주석은 "상하이협력기구가 동맹을 결성하지 않고 서로 대항하지 않으며 제3자를 상대로 하지 않는 건설적인 동반자관계를 구축하는 것은 국제관계 이론 및 실천의 중대한 혁신이며 지역 협력의 새로운 모델을 형성했다"고 강조했다.  
 
이번 회의에 대해 중국 신화망과 CRI는 상하이협력기구가 시종 왕성한 생명력과 강한 협력동력을 유지할 수 있는 근본적 원인은 창의적으로 '상하이정신'을 제안하고 시종 이를 실천하며 상호 신임, 호혜 상생, 평등, 협상, 다양한 문명 존중, 공동발전을 도모해온데 있다고 보도햇다.
 
또 이는 문명간 충돌, 냉전사유, 제로게임 등 낡은 사상을 초월해 국제관계사의 새로운 장을 열어 갈수록 국제사회의 인정을 받고 있다고 했다. 
 
시 주석은 최근 일방주의, 보호무역주의, 역글로벌화사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에 대해 “상하이협력기구는 '상하이정신'을 한층 고양하고 시대난제를 해결하며 리스크 및 도전을 극복해야 한다”며 “"우리는 혁신, 조화, 친환경, 개방, 공유의 발전관을 제창하고 공동, 포괄, 협력, 지속가능한 안보관을 이행하며 개방, 융통, 호혜, 상생의 협력관을 지지하며 공동상의, 공동구축, 공유의 글로벌 거버넌스관을 견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치 G7을 겨냥하는 듯한 발언처럼 느껴진다. 
 
이날 유독 시진핑 주석은 인도와 파키스탄의 회원국 가입에 따른 SCO의 단합을 강하게 주문했다. 
 
이번 정상회의는 SCO가 지난해 인도와 파키스탄 합류로 회원국을 8개국으로 늘린 후 처음 열리는 회의로, 국제 및 지역 현안에서 본격적으로 목소리를 내는 계기로 삼고 있다.  
 
아울러 시 주석이 처음으로 의장을 맡게 된 회의이기도 하다. 중국에서 SCO 정상회의가 열리는 것은 지난 2012년 베이징 이후 6년 만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