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이 살아야 경제가 산다⑪
제조업이 살아야 경제가 산다⑪
  • 황병우 기자
  • 승인 2018.06.20 11: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차 및 3차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 막대해…안정적인 일자리, 청년층 고용 위해 제조업 육성 정책 필요
 
▲ 제조업은 경제를 떠받치는 기둥이다. 사진은 쌍용차 평택공장 렉스턴 스포츠 차체 생산 라인 (사진=쌍용차)
 
미국의 제45대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는 대통령 선거 후보 때에도 미국의 제조업을 부흥시키겠다고 여러번 언급한 바 있다.
 
미국 경제전문 매체 월스트리트저널은 미국의 제조업 경기가 도널드 트럼프의 대통령 당선 이후 지난 1년간 뚜렷한 회복세를 보였다고 지난해 11월 보도했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트럼프가 대통령에 당선된 2016년 11월 이후 1년여 기간 동안 미국 제조업 일자리는 15만6000개 늘었다.
 
당시 월스트리트저널은 “트럼프 대통령이 내세우는 제조업 부활 정책의 중요한 부분이 아직 결실을 맺지 않았지만 재계는 이미 이익을 얻었다”고 분석했다.
 
미국 제조업 부활을 단적으로 증명하는 것은 주식시장이다. 전통적인 굴뚝산업을 의미하는 다우존스 산업지수는 2017년 초 20000선에서 정체되어 있었지만, 연말에는 24000선을 넘어섰다.
 
애플이나 구글 등 첨단산업이 주로 편입된 나스닥 지수도 2017년 초 5500선에서 시작해 연말에는 7000선을 돌파했다.
 
▲ 2016년~2018년 6월 기간 동안 다우존스 산업지수 주봉 차트 (이미지=Stockcharts.com)
 
미국 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들도 제조업을 살리거나, 더욱 성장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가까운 중국과 일본, 그리고 독일을 포함한 유럽 국가들은 제조업이 꾸준하게 유지되고, 더욱 성장할 수 있도록 여러가지 정책들을 사용했다.
 
일본은 자국내 제조업과 경기를 끌어올리기 위해 아베노믹스라고 하는 정책을 실행했다. 
 
중국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하면서 중국 내 제조업 특히 가전산업에 큰 피해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로 인해 경기가 경직될 것을 우려한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은 자동차 구매세 인하, 이구환신 및 가전하향 정책 등 내수 진작과 제조업을 유지하기 위한 정책들을 실시했다.
 
▲ 2016년~2018년 6월 기간 동안 나스닥 지수 주봉 차트 (이미지=Stockcharts.com)
 
이처럼 세계 각국이 제조업을 살리기 위해서 애쓰는 이유는 뭘까.
 
제조업은 2차산업을 대표하는 분야로 1차산업과 3차산업에 파급력이 상당히 크다. 최근 한국지엠의 군산공장이 폐쇄되면서 지역 경제가 무너진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노동자 1만명이 고용된 공장이 한 지역에 자리하고 있는 경우, 그들이 이용하는 식당, 병원, 가게, 약국 등이 뒤따르게 마련이다. 
 
또한, 그들의 가족이 머무르기 위해서는 많은 주택이 필요하게 되고, 학교 등 교육시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게 된다.
 
노동자의 가족들이 이동하기 위해서 자동차의 소비 및 대중교통의 수요가 늘어나고, 이들의 안전을 위해 경찰이나 소방 등 관청의 설치도 필요하게 된다.
 
매일 소비되는 식량으로 인해 1차 산업의 대표적 생산물인 농산물에 대한 수요도 뒤따르게 되고, 주변 상가의 3차 산업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이 또 필요하게 된다.
 
▲ 한국지엠 군산공장이 폐쇄되면서 군산 지역경제는 초토화가 됐다고 표현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진은 지난달 31일 폐쇄된 한국지엠 군산공장의 정문 (사진=연합)
 
제조업은 일자리만 두고 봤을 때에도 제조업이 속한 2차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있지만, 오히려 1차산업과 3차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최근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서비스업 등 3차산업 일자리가 1만개 줄어들면 타 산업에서는 700개의 일자리가 줄어들지만, 제조업 일자리 1만개가 감소하면 타 산업의 일자리 1만3700개가 줄어든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장기적으로는 4차산업혁명을 대표하는 첨단 정보기술 분야로 우리나라의 주력산업을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장기적인 관점으로는 일리있는 주장이다. 
 
그러나, 현 시점에서 우리 경제의 성장을 끌어올리고, 안정적인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데에는 타 산업에 파급력이 큰 제조업을 육성하고 최저임금 인상을 극복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제조업으로 혁신해야 한다.
 
▲ 지난 3월 경기도 성남시청에서 열린 '2018년 희망취업박람회'가 구직자들로 붐비고 있다. (사진=연합)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