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실리콘밸리의 ‘혁신 방정식’...새로운 기회 만드는 쪽에 힘 실어줘야
美 실리콘밸리의 ‘혁신 방정식’...새로운 기회 만드는 쪽에 힘 실어줘야
  • 조경화 기자
  • 승인 2018.09.12 09: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한상의- ‘규제는 최소화’ ‘인재이동’은 자유롭게 ‘벤처투자’는 승수효과 ‘실패위험’ 분산  
 
경제의 지속 성장과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혁신성장의 모델로 ‘美 실리콘밸리형 혁신 방정식‘이 제시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2일 '美 실리콘밸리형 혁신 모델과 정책 시사점’ 연구 결과를 통해 “실리콘밸리는 ‘혁신의 성적표’로 불리는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0억불 이상의 스타트업)’을 전세계(260개)의 23%, 미국 전체(118개)의 51%에 달하는 60개사나 배출했다(2018년 8월말 기준)”며 “새로운 사업 기회를 만드는 쪽에 힘을 실어주는 혁신생태계 덕분”이라고 분석했다.  
 
사진=백악관
 
대한상의는 “이 지역의 특허등록 건수(누적)는 약 2만 건으로 미국 전체의 13.5%를 차지하고, 미국 전체 벤처캐피털 투자의 40% 가량이 혁신적 사업모델을 찾아 이곳에 몰리고 있다”며 “정부의 큰 지원이나 간섭 없이 ‘시장의 신호’만 따라 창업과 사업 확장을 벌이는 실리콘밸리의 혁신방식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가 실리콘밸리 스타트업 창업자 8인의 인터뷰를 토대로 정리한 실리콘밸리의 ‘혁신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실리콘밸리 창업자 8인이 말하는 ‘혁신 방정식’ ...  ‘규제 최소화’가 첫 단추  
 
실리콘밸리의 첫 번째 조언은 ‘규제 해소’였다. ‘완화’ 수준이 아닌 ‘최소한의 규제’라야 신사업이 일어나고 창의와 도전이 활발해진다고 강조했다.
 
미국 정부의 '해를 끼치지 않는(Do no harm)' 규제 원칙이 그 예시다. 실리콘밸리에서는 발전 가능성이 있는 신기술·신사업에 대해 최소한의 규제가 적용된다. 시장이 커진 뒤에 필요한 부분에 대해 사후규제를 가하는 방식이다.  
 
데이터 분석 플랫폼 ‘데이터브릭스(Databricks)’를 창업한 이온 스토이카(Ion Stoica)는 “이 곳에는 구글(광고대행사), 우버(택시), 에어비앤비(호텔)처럼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기존 산업을 교란시키려는 스타트업들이 많이 있다”며 “큰 회사들이 언제든지 방법을 찾아내 그들을 망하게 할 수 있는 만큼, 작은 스타트업들은 아주 빠르게 움직이고 빠른 성장세를 추구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한상의는 “기업들의 새로운 도전과 자유로운 경쟁을 제약하지 않는 것이 실리콘밸리의 창업생태계”라며 “이런 방식이 기득권층에게는 기존 사업모델이 통하지 않고 언제든지 시장의 주요 플레이어가 바뀔 수 있다는 경각심을 갖게 해 혁신의 DNA를 자극하는 동시에 투자자의 관심을 집중시키기도 한다”고 분석했다. 
 
이는 한국의 경우 기존산업을 보호하는 각종 사전규제 때문에 혁신기업들이 사업을 접거나 미국 등 해외로 빠져나가는 모습과 크게 대조적이다. 
 
안나리 색스니안(Annalee Saxenian) UC버클리 교수(정보대학원장)는 “실리콘밸리에도 환경과 토지사용에 대한 규제가 있지만 시장에서 자유롭게 실험할 수 있는 기회를 방해받지는 않는다”며 “새로운 아이디어를 실험할 기회 덕에 혁신이 창출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 ‘인재의 자유로운 이동’ : 경험과 지식 확장을 통한 회사성장 촉진제 
 
‘인재의 자유로운 이동’도 실리콘밸리의 혁신을 가속화시키는 중요 요인으로 꼽혔다.
 
이온 스토이카는 “실리콘밸리에서는 오늘 회사를 관두고 내일 경쟁사에 취직하는 것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진다”며 “근로자가 일정기간 동안 경쟁회사로 이직할 수 없는 ‘비경쟁합의(non-compete agreement)’가 이곳에서는 합법적이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인재의 유동성은 회사의 성공 여부를 가르는 또 다른 핵심”이라며 “즉, 구글에서 페이스북, 페이스북에서 트위터 등으로 옮겨가며 축적된 경험과 지식이 궁극적으로 새로운 회사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법률자문 플랫폼 회사인 ‘에버로(EverLaw)’ 창업자 아짓 샨카(Ajeet Shankar)는 인재의 자유로운 이동이 채용시스템과 기업문화를 개선시킨다고 했다. 그는 “실리콘밸리에서는 이직이 자유롭다 보니 상당수 회사들은 채용단계에서 회사에 적합한 인재를 뽑거나 근로자 친화적인 기업문화와 보상체계를 갖추기 위한 고민을 많이 한다”며 “이는 근로자가 가진 잠재력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리려는 회사측의 노력이고 결국 회사의 성장으로 연결된다”고 설명했다. 
 
◇ ‘투자’의 승수효과 ... 벤처 캐피탈, ‘자본’ 넘어 ‘조력자 역할’하며 ‘어린 기업’ 성장 도와  
 
실리콘밸리의 투자생태계는 ‘승수효과’로 표현됐다. 보고서는 실리콘밸리에서는 스타트업들이 신속하고 과감한 투자를 받기 쉬울뿐더러, 투자자들을 통해 사업성장에 필요한 조언과 도움을 얻어 승수효과를 누릴 수 있는 구조라고 평가했다.  
 
전기차 배터리 기술업체 ‘수퍼 카본(Super Carbon)’을 세운 브래들리 몸버그(Bradley Momberg)는 “실리콘밸리에서는 투자자와 커피미팅만 잘하면 30분 만에 2만 달러의 수표를 받을 수 있다”며 “사업이해도가 높은 1세대 창업가들이 투자자가 된 경우가 많아 경쟁력 있는 사업을 제안하고 기술적 우위만 잘 보여준다면 수십만 달러의 투자를 받는 게 불가능하지도 않다”고 말했다.  
 
유전자 치료기술 개발社 ‘젠에딧(GenEdit)’의 창업자 이근우씨도 “실리콘밸리에서는 똑똑한 사람들과 좋은 기술만 있다면 엔젤투자자부터 벤처투자자, 사모펀드(Private Equity)까지 여러 단계의 투자자들을 만날 기회가 많다”고 말했다. 
 
암호화폐 데이터 플랫폼 회사인 ‘비트버터(Bitbutter)’를 창업한 한국 출신 장진우씨는 “실리콘밸리에서의 투자는 자본 그 이상의 의미”라며 “보통 투자자들은 자신이 투자한 회사들의 이사회에서 자리를 갖고 있거나 CEO에게 직접적으로 접근할 수 있어 ‘투자 포트폴리오’에 있는 사람들과 연결해 줄 수 있고, 이미 수많은 혁신적인 회사들을 보아온 경험을 바탕으로 훌륭한 조언을 해 줄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항상 그렇지는 않지만 이상적으로 스타트업이 투자자를 고르기도 하는 이유”라며 “투자금과 더불어 중요한 것이 투자자의 네트워크와 우리의 사업방향을 안내해 줄 수 있는 투자자의 명석함”이라고 강조했다.  
 
클라우드 서비스업체 ‘인텐토(Intento)’의 창업자 ‘콘스탄틴 새벤코브(Konstantin Savenkov)도 “벤처투자자의 자금을 유치하면 투자자의 네트워크를 지렛대 삼아 고객사들을 유치하기가 훨씬 쉬워진다”며 “투자자들에게 자신들이 투자한 ’포트폴리오 회사들‘을 소개시켜 달라고 부탁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 실패에 관대한 문화가 ‘실패 위험’ 분산 ... 실패해도 일할 곳 많아 ‘안전망’ 역할  
 
‘실패에 관대한 문화’ 역시 혁신에 필수요소라고 했다.  
 
보고서는 “실리콘밸리에는 당장 커다란 보상이나 안정적 일자리가 보장되지 않아도 기꺼이 위험을 감수하며 일하려는 인재들이 많다”며 “설령 실패하더라도 뭔가에 도전했다는 경험 자체를 높이 사는 문화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실패에 관대한 실리콘밸리 문화가 ‘도전과 실패의 위험’을 분산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브래들리 몸버그는 “이곳에 있는 인재풀은 스타트업들이 종종 실패한다는 것을 이해한다”며 “실패하더라도 그 후에 합류할 수 있는 다른 스타트업들이 있기 때문에 위험을 감수하려 한다”고 말했다.  
 
아짓 샨카 역시 “수천 개의 회사들이 사람들을 채용하고 있고 재능이 있다면 다른 일자리를 얼마든지 찾을 수 있다”며 “이것이 실패위험에 대한 효과적 안전망 기능을 한다”고 말했다.  
 
인쇄기술업체 ‘잉크스페이스 이미징(Inkspace imaging)’을 창업한 발따자 레체느(Balthazar Lechene)는 “실리콘밸리지역 대학 교수들은 2년 간 휴직을 하고 교수직을 잃지 않은 채 회사 일을 할 수 있다”며 “이 곳에서는 교수들과 연구자들이 자신이 하는 일과 관련해 시간과 돈을 어떻게 쓸지에 대한 선택의 자유가 많다”고 설명했다. 학교에서 새로운 도전에 대한 기회와 안전망을 마련해주는 셈이다.
 
인공지능 활용 의사결정 플랫폼 ‘마인즈디비(MindsDB)’를 운영하는 조지 토레스(Jorge Torres)는 “실리콘밸리 사람들은 위험을 감수하는 경향이 높고, 아이디어가 클수록 미래에 더 큰 보상이 돌아올 것이라고 믿는다”며 “이곳 투자자들이 더 큰 아이디어에 베팅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보고서는 “‘빠르게 실패하고, 자주 실패하라(Fail fast, fail often)’는 실리콘밸리의 보편적 가치가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경감시키고 있다”며 “실패를 낙오가 아닌 ‘배우는 경험’으로 인정하는 문화가 곧 혁신의 토양”이라고 강조했다. 
 
◇ ‘혁신’이 ‘일자리 창출’에 기여 ... 혁신생태계가 ‘시장의 파이’ 키워 일거리 늘기 때문 
 
실리콘밸리의 혁신생태계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실리콘밸리의 지난 5년 간(’11~’16) 일자리 증가율은 21.6%로 미국 전역(9.5%)의 2배 이상에 달하고, 같은 기간 새로 창출된 일자리만 약 40만 개로 이는 삼성전자 국내 일자리(약 10만 개)의 4배에 달한다”라며 “스타트업의 도전과 경쟁을 뒷받침하는 혁신생태계가 시장의 파이를 키워 일거리가 늘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김문태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지난 1년 간(’17.2Q~’18.2Q) 페이스북의 일자리가 43%(2.1→3만명) 늘었고, 구글의 일자리도 19% 증가(7.5→8.9만명)했다”면서 “사업 기회 보장이야말로 일자리 창출의 특효약”이라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