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은행 창립 52주년 맞아...빈대인 은행장 "새로운 금융 구현" 선언
부산은행 창립 52주년 맞아...빈대인 은행장 "새로운 금융 구현" 선언
  • 김연실 기자
  • 승인 2019.10.25 14: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새로운 금융을 선도하는 퍼스트 무버(First Mover)로 도약 강조
사람 중심의 따뜻한 디지털 뱅크 구현, 지역에 힘이 되는 은행 다짐

창립 52주년을 맞은 부산은행 빈대인 은행장은 기념사에서 “2020년을 기점으로 우리만의 차별화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을 통해 기존 금융의 판도를 완전히 바꾸고, 새로운 금융을 선도하는 퍼스트 무버(First Mover)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BNK부산은행 빈대인 은행장은 25일(금) 오전, 본점 대강당에서 임직원 4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창립 52주년 기념사에서 이같은 ‘새로운 금융 구현’을 전략 목표로 선언했다.

NK부산은행(은행장 빈대인)은 10월 25일(금) 오전, 본점 대강당에서 임직원 4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창립 52주년 기념식을 열었다./사진=부산은행
NK부산은행(은행장 빈대인)은 10월 25일(금) 오전, 본점 대강당에서 임직원 4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창립 52주년 기념식을 열었다./사진=부산은행

지난 1967년 10월25일, 자본금 3억원, 임직원 82명으로 설립된 부산은행은 자본금 9,774억원, 임직원 3,800여명의 국내 최고의 지역은행으로 성장했다. 부산은행은 현재 중국, 베트남 등 아시아 지역에 2개의 영업점과 3개의 사무소를 운영하며 글로벌 초우량기업으로 도약하고 있다.

이날 기념식에서 빈대인 은행장은 “부산은행이 창립 52주년을 맞이하기까지 변함없는 사랑으로 부산은행을 성원해주시는 고객분들과 지역사회에 깊은 감사를 드린다”며 “부산은행은 급격히 변화하는 금융환경 속에서도 지역경제의 대표 금융기관으로서 지역사회와 고객의 든든한 동반자 역할을 충실히 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새로운 금융 구현’을 위해  "사람 중심의 따뜻한 디지털 뱅크 구현,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비즈니스 생태계 선도, 고객이 가장 신뢰하는 은행, 지역에 도움이 되는 은행, 직원이 일할 맛 나는 은행을 전략 목표로 정하고 전 임직원의 역량을 집중하자"고 강조했다.

한편 부산은행은 지난 7월부터 지역경제 살리기 프로젝트를 실시해 경기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과 자영업자, 서민들을 위한 정책을 활발히 펼치는 등 지역과의 상생을 위해 적극 앞장서고 있다.

또 부산시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4개 사업(금융, 물류, 관광, 공공안전) 중 금융 분야인 ‘부산디지털바우처’ 운영사업자로 선정되어 디지털바우처 인프라를 구축 중에 있으며, 지역밀착 생활금융 플랫폼 확대 등 디지털 비즈니스 생태계를 선도해 나가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파이낸셜신문=김연실 기자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