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만이 노후자금 충분...하나금융 "40대 초반까지 금퇴족 준비해야"
8.2%만이 노후자금 충분...하나금융 "40대 초반까지 금퇴족 준비해야"
  • 임영빈 기자
  • 승인 2020.09.09 10: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하나금융그룹 100년 행복연구센터 '100년 행복, 금(金)퇴족으로 사는 법' 보고서 발간

"은퇴 후에도 오늘과 같은 생활수준을 위해 차곡차곡 금융자산을 마련해가는 사람들"을 하나금융 100년 행복연구센터는 금(金)퇴족이라 정의한다. 

하나금융그룹 100년 행복연구센터는 '100년 행복, 금퇴족으로 사는 법' 보고서에서 "최근 50~64세 퇴직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8.2%만이 '노후자금이 충분하다'고 응답했다"며 사람들 중 상당수는 노후자금 부족을 호소한다고 밝혔다.

그렇다면 금퇴족은 금융자산을 어디에 얼마나 가지고 있을까. 센터는 하나은행 AI빅데이터센터와 함께 30~55세 남성을 대상으로 금퇴족의 실제사례를 찾았다. 소득수준과 연령대별로 60세부터 기대여명까지 현재 소비지출을 유지한다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이상적인 케이스를 추출했다.

100년 행복연구센터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금퇴족이 가진 평균 금융자산은 1억2천만원으로 전체 조사대상(9천만원)보다 35% 많다. 연령대별로는 30~34세 6천만원,  35~39세 1억1천만원, 40~44세 2억원, 45~49세 3억2천만원, 50~55세 3억 9천만원으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금융자산 규모는 커진다.

이는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경제활동 시작 후 저축기간이 길어지는 만큼 금퇴족이 되려면 더 많은 금융자산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금퇴족은 40대부터 두드러지기 시작한다. 40대 초반 금퇴족의 금융자산은 전체보다 1억원 이상 많다. 30대 후반 그 차이가 5천만원인 것에 비해 2배 이상으로 벌어지는 것이다. 금융상품 구성에서도 차이가 드러난다. 금퇴족은 전 연령대에서 펀드·연금·신탁 규모가 전체 보유 금융자산 중 60% 이상을 차지한다. 이는 전체평균보다 7~15%p 높은 것이다.

금퇴족의 주식투자 비중은 40~44세, 펀드투자 규모는 45~49세에 절정이다. 40~44세 금퇴족은 일반펀드와 퇴직연금, 연금저축 등을 통해 금융자산 중 15%를 주식에 배분했다.

이는 같은 연령대(6%)에 비해 9%p 높으며,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펀드투자 규모는 평균 5천 9백만원으로 45~49세일 때가 절정이다. 50대의 펀드잔액도 5천 8백만원으로, 40대에 활발한 펀드투자가 50대에도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부동산(주택연금)이 있다면 금퇴족의 범위는 확대된다. 60세부터 부동산에서 월 65만원(2019년말 시가 3억1천만원 주택연금 기준)을 확보하면 50~55세 금퇴족의 보유 금융자산이 당장 3억 9천만원에서 2억2천만원으로 하락한다. 부동산 현금흐름은 주식투자비중도 낮춘다. 부동산 현금흐름 고려 시 40~44세의 주식투자 비중도 15%에서 8%로 하락하는 등, 부동산 현금흐름은 금퇴족의 문턱을 낮춘다.

보고서는 현재 소득수준에 따라 금퇴족의 모습은 달라진다고 설명한다. 50~55세를 살펴보면 금퇴족의 평균 금융자산은 소득수준에 따라 1억5천만원(월 300만원 미만), 3억1천만원(월 300~500만원), 5억1천만원(500~800만원), 10억6천만원(800만원 이상)까지 차이를 보인다.

그 이유는 소득이 높아질수록 소비지출이 증가하지만 국민연금은 일정수준 이하에서 머물기 때문에 직접 마련해야 할 현금흐름이 커지기 때문이다.

100년 행복연구센터는 금퇴족에 대한 분석에 그치지 않았다. 금퇴족처럼 노후준비할 때 40세 이후 연령대와 소득수준별로 나의 노후준비도를 중간점검 할 수 있는 ‘금퇴족 점수표’와 계산방법을 제시하고 있어, 한번쯤 살펴볼만 하다.

조용준 센터장은 “금퇴족은 연금자산 규모가 크고 펀드투자도 활발했다”며, “40대 초반까지 금퇴족이 될 기반을 마련하는 게 이상적인데, 이를 위해서는 연금자산을 지키고 금융투자를 실행하는게 가장 기본적이고 확실한 방법”이라고 거듭 강조했다.[파이낸셜신문=임영빈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