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에서 주목하는 K-콘텐츠 산업, 2022년 5가지 'V' 키워드 공개
글로벌에서 주목하는 K-콘텐츠 산업, 2022년 5가지 'V' 키워드 공개
  • 황병우 기자
  • 승인 2021.12.01 14: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콘진원, '콘텐츠산업 2021년 결산과 2022년 전망 세미나' 1일 온라인 개최
가상세계로의 전환 가속, IP 확장, K-콘텐츠 글로벌 신드롬 등 올해 주요 동향 설명
숫자로 보는 2021년 콘텐트 산업 (사진=콘진원)
숫자로 보는 2021년 콘텐츠 산업 (사진=콘진원)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 게임', K팝 그룹 방탄소년단 '퍼미션 투 댄스', 펄어비스의 게임 '도깨비' 등으로 올 한해 동안 우리 K콘텐츠는 전세계로부터 상당한 주목을 받아왔다.

향후 메타버스 등으로 변화되는 환경에서도 K콘텐츠가 주목을 지속할 수 있을지 진단과 전망을 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하 콘진원)은 '콘텐츠산업 2021년 결산과 2022년 전망 세미나(이하 콘텐츠산업 결산 전망 세미나)'를 12월 1일 온라인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콘진원은 이번 세미나에서 내년을 전망하는 5개 키워드를 발표했다. 먼저 첫 번째 키워드로 'With-Virus' 를 제시하며 위드 코로나 시대 오프라인 콘텐츠의 현장성과 안정성에 대한 요구부터 새로운 경험을 위한 콘텐츠 관람 공간의 변화를 전망했다. 

두 번째 키워드 'Virtual' 에서는 새로운 차세대 플랫폼으로 성장하는 메타버스에서의 아바타, 공간, 소통방식의 특징을 살펴보고, 급격한 디지털 전환에 따른 일자리, 법제도 간 미스매치와 디지털 격차에 주목했다.

세 번째 키워드 'Venture' 에서는 콘텐츠산업에서 시작되고 있는 다양하고 과감한 변화를 조망했다. 먼저 기업들의 영역에서 개인과 공공 영역으로 확대된 콘텐츠산업의 IP 투자·거래와 NFT(대체불가토큰) 사례 등을 통해 '아이피코노미(IP-Economy)'의 확장을 전망했다. 

또한, OTT의 확산에 따라 등장한 '씨네틱 드라마' 포맷, 게임을 하면서 돈도 버는 P2E(Play to Earn) 모델 등 산업 내 새로운 트렌드의 등장도 예측했다.

네 번째 키워드 'VIP' 에서는 장르, 역할, 수익모델이 확장되며 보다 중요해진 크리에이터의 역할을 설명했고, AI 추천 알고리즘에서 벗어나 새로운 콘텐츠를 찾는 능동적 이용자 '버블 파퍼'의 특징을 분석했다.

마지막 키워드인 'Value-up' 에서는 글로벌 플랫폼의 국내 시장 진출 본격화 및 아시아 진출을 위한 핵심 콘텐츠로서 K-콘텐츠의 가치 상승, OTT 제공 콘텐츠 라인업 확장에 따라 콘텐츠 IP의 가치 상승을 설명했다. 또한 ESG 경영 트렌드 확산에 따라 기업가치를 높이기 위해 콘텐츠 분야에 요구되는 목표와 실천방법을 소개했다.

키워드로 전망하는 2022년 콘텐츠 산업 (사진=콘진원)
키워드로 전망하는 2022년 콘텐츠 산업 (사진=콘진원)

한편, 이날 세미나에서는 2021년 콘텐츠산업 내 주요 동향을 5개 주제로 분류하고, 각각의 주제를 숫자를 통해 돌아보는 시간도 가졌다.

'조망 : 코로나19의 계곡' 에서는 코로나19 이후 콘텐츠산업 내 회복의 차이를 보여줬고, '전환 : 가상세계, 상상은 끝났다' 에서는 가상세계, NFT, 가상인간의 대두에 대해 살폈다. '확장 : 잘 봐, IP 싸움이다' 에서는 플랫폼 기업 성장을 위한 오리지널 IP의 중요성, 웹툰·웹소설 IP 성공사례, 플랫폼의 거대화 및 창작자와 플랫폼 간 공정상생 환경조성에 대해 설명했다. 

또한, '글로벌 : K-콘텐츠 꽃이 피었습니다' 를 통해서는 '오징어 게임' 등 K-콘텐츠 글로벌 신드롬을, '변화 : 작지만 소중한 움직임' 에서는 게임 셧다운제 폐지, 인앱결제 강제금지 등 콘텐츠산업을 움직이는 정책변화에 대해 짚었다.

2부 라운드테이블에서는 콘텐츠산업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콘텐츠산업의 2021년을 결산하고 2022년을 전망했다.

고려대학교 최세정 교수의 진행으로 이루어진 라운드테이블은 컴투스 고희찬 BF사업부장, 펄스나인 박지은 대표, 클라이맥스 스튜디오 변승민 대표, 리얼라이즈픽쳐스 원동연 대표, KBS공영미디어연구소 유건식 소장, 뮤직카우 정현경 총괄대표가 함께했다. 코로나19라는 위기 속에서 각 분야에서 시도하고 있는 다양한 대응 전략과 내년도 계획을 공유했다.

KBS공영미디어연구소의 유건식 소장은 "단계적 일상회복이 시작되더라도 완전히 코로나19 이전으로 돌아갈 수는 없으니 대면과 비대면의 적절한 조합으로 콘텐츠 및 전달 방식에 대해 고민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클라이맥스 스튜디오 변승민 대표는 "유연한 러닝타임, 자유로운 시청 방식 등을 특징으로 하는 OTT 포맷의 확장에 따라 OTT 산업구조에 맞는 기획 및 콘텐츠 개발에 주목하겠다"고 향후 계획을 밝혔다.

우리나라 콘텐츠 산업 2021년 결산 (사진=콘진원)
우리나라 콘텐츠 산업 2021년 결산 (사진=콘진원)

[파이낸셜신문=황병우 기자]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