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경부,패키지SW 개발에 대규모 R&D자금 투입
지경부,패키지SW 개발에 대규모 R&D자금 투입
  • 박광원 기자
  • 승인 2011.10.11 10: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WBS 3차 프로젝트 16개 과제 공고

지식경제부(장관 최중경)는 국내 SW산업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추진되는 정부 연구·개발(R&D) 지원사업 ‘World Best Software’ 프로젝트 3차 사업 신규 사업자 공모를 추진하고,신규 16개 과제를 대상으로 시행계획 공고를 진행하며, 10월10일~11월10일까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에서 공모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신청은 사업계획서와 산업기술지원 사이트(itech.keit.re.kr) 에서 인터넷 전산등록을 해 접수번호를 부여받은 뒤, KEIT 대전분원 SW 컴퓨팅평가팀에 우편이나 인편으로 제출하여 신청을 받는다.

KEIT는 접수한 사업계획서를 사전 검토한 뒤 △평가위원회 평가 △평가 결과 통보 및 이의신청 △컨소시엄 확정 △협약 체결 등 사업자 공모 절차를 12월 중 마무리할 계획이다.

WBS 1-2차 과제는 임베디드(Embedded, 내장형)SW 위주로 진행한반면, 이번 WBS 3차 과제는 패키지SW를 중심으로 중소형 R&D를 허용하여 가급적 중소 SW기업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번 사업의 지원 대상은 △기업용 RIA 솔루션 △국산 금융서비스 허브 SW △리호스팅 솔루션 △모바일 카메라 기반 문자인식 솔루션 △유니파이드 스토리지 SW △차세대 Enterprise DRM 등 총 16개 과제이며 2년간 총 614억원의 정부 예산을 지원한다.

특히, 금번 WBS 과제는 SW 중소, 중견 업체에서 필요로 하였으나 그간 지원 규모가 적었던 패키지 SW 과제를 90%이상 중점 지원하여, 중소 SW 업계의 활발한 참여가 예상된다.

김재홍 지경부 성장동력실장은 “우리 중소SW기업이 다소 취약한 패키지SW 분야를 중심으로 세계 시장에 진출을 집중 지원하는 WBS 3차 사업은 SW 수출 강화를 위한 첨병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패키지 SW 분야의 유망 중소․중견 SW기업은 과제수행을 통해 실질적인 해외 시장 수주 경쟁력 강화를 이루고,관련 업체간의 공동 협력 개발 추진체계 구성에 애로를 겪고 있는 업체들은 이번 사업으로 협력 연결고리를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사업 공모 관련 세부 사항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홈페이지(www.keit.re.kr) 또는 산업기술지원 홈페이지(itech.keit.re.kr)를 참조하면 되고 과제별 세부 사항은 KEIT SW PD실로 문의하면 된다.

기업용 유무선 통합 서비스를 위한 RIA 가상머신 및 프레임워크 개발,기업용 시스템에 특화된 RIA(Rich Internet Application) 기반의 유무선 응용프로그램을 손쉽게 개발할 수 있는 통합개발환경을 구현하여 전 세계에 2~3년 내 도래할 RIA기반의 차세대 기업용 시스템 변환시장에 대응하고 세계시장을 선도하고자 했다.

어도비 플래쉬, MS 실버라이트 등 외산제품이 국산SW기업들이 수성하고 있는 국내기업용 RIA시장에 진입을 시도하고 있으며 향후 전세계 시장을 대상으로 경쟁이 예상된다.

기업용 유무선 응용프로그램이 PC 및 다양한 단말기에서 플랫폼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하게 하는 RIA 가상머신 개발과 RIA 응용프로그램 개발을 지원하는 컴포넌트 라이브러리와 저작도구 등을 포함하는 통합개발 프레임워크 개발이다.

기업용 응용프로그램의 구동에 적합한 스크립트/렌더링 엔진 국내외 기업용 패키지SW의 UI를 본 RIA 과제물로 (반)자동 대체하는 UI융합 비즈니스 프레임워크,기업환경에 최적화된 GUI컴포넌트와 WYSIWYG의 유무선 통합개발환경 제공 해외경쟁제품 대비 2배 이상의 성능 보장한다.

개발 효과로는 2019년 2조원으로 예상되는 기업용 RIA 시장에서 전세계 시장점유율 10%이상 확보 기대 해외개발자들이 사용할 필수 개발도구화를 통한 국산 SW 위상 제고한다.

기업용 SW 자동 분석 및 평가 솔루션 개발,기업이 운영 중인 각종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베이스를 자동 분석하여 개발 및 유지보수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 가공하고, SW를 평가하기 위한 합리적인 자료를 도출하는 SW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및 관리자에게 시스템의 투명성과 가시성을 확보해 주고 개발 및 유지보수, IT아웃소싱 등에 있어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으며 CIO에게 객관적인 품질 평가 자료를 제공하여 효율적인 투자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국제 표준을 기반으로 하여, 기업용 SW를 자동 분석하고 평가하는 솔루션을 개발,프로그래밍 언어, 프레임워크, 상용 패키지, DBMS 등의 중간 언어 처리기 모듈 프로그래밍 언어, 프레임워크, 상용 패키지, DBMS 등의 자동 분석기 모듈 및 영향 분석기 모듈 기술적 관점과 비즈니스 관점의 어플리케이션 자동 평가 지표 개발하고 종합적 애플리케이션 포트폴리오 관리 모듈이다.

개발 효과, 국내외 기업들의 개발 및 유지보수 생산성을 높이고 소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해주며, SW 국가 경쟁력 향상에 기여 2015년 약 80%의 수입대체 및 약 6,000억원 규모의 해외 시장에서 수출확대 가능하다.

다양한 금융상품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산 금융서비스허브 SW 개발,국내외 금융 기관의 계열사/제휴사를 통한 상품/서비스 융복합화와 시너지 마케팅 강화 전략에 따라 수년 내 확산이 예상되는 금융서비스 허브시스템 시장 선점 필요성 대두 은행, 보험, 증권, 신용카드 상품처리시스템이 각각 존재하는 현 상황에서, 현행 상품 처리 시스템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새로운 “상품 오퍼링”을 처리할 수 있는 IT 솔루션 도입 니즈가 절실하다.

개발 내용을 보면 금융 및 비금융 제휴상품을 다양한 서비스와 융합하여, 고객별 맞춤화된 오퍼링을 제공하는 기술, 융복합 처리 어플리케이션 개발용 금융 컴포넌트 라이브러리 금융기관별 오퍼링 업무처리규칙 정의 Configurator 서비스 조립방식의 융복합 처리 어플리케이션 개발도구이다.

개발 효과,향후 5년 내 3,750억원(국내 15개 기관, 평균 250억원 소요 예상) 투입이 예상되는 금융서비스허브 개발 시, SI개발방식 대비 약 30% 개발기간 단축, 비용 절감, 프로젝트 리스크 축소 효과 2016년 1조 1천억원 규모로 추산되는 세계금융서비스허브 시장을 선점함으로써, 금융패키지SW 강국으로 진입할 수 있는 기반 마련한다.

대용량 센서 스트림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개방형 센서DBMS 개발,수년 내 DBMS시장의 전환점(Paradigm-shift)이 될 센서 스트림 데이터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관련 기술 확보 필요하다.

센서 데이터 처리가 필요한 M2M시장의 성장 속도를 볼 때 수 년내 기존 DBMS 시장규모를 넘어서는 시장으로 확장 예상하고,센서 데이터 처리 시 발생하는 시장의 문제 해결하는 전용 DBMS로서 국내 및 해외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추진한다.

센서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사용자가 정의한 규칙에 따라 선별하고, 데이터 량에 따라 사이즈를 유연하게 관리할 수 있는 저장소에 고속으로 저장하며, 이 데이터를 기존 솔루션에 쉽게 이식할 수 있는 ‘센서 데이터 전용 DBMS’의 개발이다.

센서 데이터를 걸러 내거나 센서를 제어할 수 있는 mRouter SW 필터링된 데이터를 저장소까지 고속으로 전달할 수 있는 기술, 대용량 고속 검색이 가능한 Massive Cluster 기반 저장소 SW 데이터 공유를 쉽게 할 수 있는 개방형 인터페이스이다.

개발 효과,인프라 SW의 핵심 기술 확보 및 선행 특허 확보를 통한 국내 시장 방어 및 수출 증대 특화된 전용 SW를 통해 센서 스트림 DBMS영역을 선점하여 글로벌 리더로 부상 국산 DBMS 제품의 매출과 외산제품의 가격인하 효과(20%)를 통해 2013년부터 2015년까지 3,668억원의 누적 수입대체 효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리호스팅 솔루션 개발, 메인프레임의 Application과 Data를 수정 없이 오픈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자동화된 전환 방법 기반 리호스팅 솔루션 개발,메인프레임의 운영 Application 및 Data를 오픈 시스템으로 일체의 수정 없이 자동 전환 기술 개발
메인프레임보다 뛰어난 성능, 안정성 및 확장성을 제공하는 오픈 환경 지원 솔루션 메인프레임 3개사(IBM, Fujitsu, Hitachi) 아키텍처별 심화된 기능 지원 기술이다.

개발 효과,국내, 일본 및 미국 등지에 대형 레퍼런스 확보를 통해 수출 판로 마련 가능, 상용화 첫 해 연간 200억원 이상의 경제 효과 예상하고,메인프레임 벤더별 완벽한 Line-Up 솔루션 구성 및 레퍼런스 확보 (IBM, Fujitsu, Hitachi) 리호스팅에 필요한 각종 Component, Utility 추가 개발을 통한 제품 고도화를 통해 통합 리호스팅 솔루션 완성 및 경쟁력 구비한다.

해외 다운사이징 시장 진입을 통해 국내 우수 SW 업체의 후속 사업 진출 및 참여 기회를 확보함으로서 외화 획득 및 수출 증대 효과가 예상되며 국가적 차원의 IT 경쟁력 제고한다는 계획이다.

모바일 카메라를 이용한 자연영상 다국어 문자인식 및 번역 솔루션 개발,카메라기반 자연영상 문자 인식 SW 등이 단말 제조사, 이동통신사, 포털업체, 솔루션업체 등에서 크게 수요가 제기,구글에서 ‘Goggles’ 서비스를 통해 발표, 국내외 스마트단말 제조업체, 서비스 및 어플리케이션 구축 분야에서 대응 서비스 기획, 기술 확보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애플, 구글, 삼성 등 스마트단말 세계시장에서 신제품 경쟁이 매우 치열하며, 독창적인 모바일SW(지능형 카메라 모델 등) 우선 탑재가 시장 선점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카메라로 취득한 자연영상(natural scene image)에 존재하는 특정 문자(scene text)를 인식하고 번역하는 기술 및 상용SW 개발,상용화에 부합하는 자연영상 처리 및 문자 추출, 다국어 문자인식, 실시간 번역 기술 타겟시장의 비즈니스 모델별, 플랫폼별 상용 SW이다.

단말 탑재형 지능형카메라, 어플리케이션 구축형, 서버 서비스 모델 등,어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구축의 상용SW 관리 도구 국내외 다양한 수요처 맞춤형 상용SW 성능 튜닝 및 배치 도구이다.

개발 효과,글로벌 카메라기반 영상처리 및 인식, 번역 시장의 기술경쟁력을 확보하여 2015년 약 8,000억원 규모로 예상되는 세계시장의 13% 이상을 국내기술이 점유하며, 95% 이상 수입대체 효과를 기대하고,고성능 영상처리 및 인식SW와 결합하는 국내외 카메라 제조, 어플리케이션 개발, 서비스 구축 시장 성장이 가속화될 것이다.

실시간 부분 맵 업데이트를 위한 내비게이션 전용 모바일 DB 솔루션 개발,차세대 내비게이션의 핵심기술인 실시간 부분 맵 업데이트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파일구조가 아닌 업데이트에 유연한 새로운 데이터베이스 구조와 이를 지원하는 내비게이션에 특화된 고성능 모바일 데이터베이스 솔루션 개발 필요하다.

기존 내비게이션 SW는 복잡한 파일 구조적인 문제로 새로운 도로 등을 업데이트할 경우 전체 맵을 업데이트해야 하는 문제로 많은 불편함과 비용을 초래하고 있다.

내비게이션 등의 위치기반 서비스 응용을 위한 POI 검색, 경로 탐색, 실시간 부분 맵 업데이트 기능 등을 지원하는 고성능/ 저용량 모바일 데이터베이스 솔루션 개발,Flash-aware 모바일 공간(2D/3D) DBMS 기술,고성능/저용량 지원 내비게이션 특화 기술,내비게이션 DB 스키마 설계 기술,내비게이션 DB 구축용 통합 지원 도구이다.

개발 효과,2016년 920억원으로 예상되는 세계 내비게이션 시장에서 60% 점유가 가능하며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통한 자동차 제품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 모바일 GIS 및 LBS 단말 플랫폼 등에도 활용될 수 있어 관련 산업 파급효과가 크다.

이종의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를 지원하는 유니파이드 스토리지 SW 개발,클라우드 스토리지가 국내·외 시장에서 기존의 단순 파일 서비스를 넘어 복잡한 기업 업무용 블록기반 스토리지로 사용되는 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통합형 클라우드 스토리지 기술 필요하다.

Public과 Private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를 하나의 스토리지로 통합하는 것이 시장 수요형 스토리지 시스템이며, 아마존·넷앱·EMC 등 글로벌 업체가 주도 중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와 단일 스토리지 제품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핵심기술 개발로 향후 다양한 스토리지 어플라이언스 제품 개발 가능하다.

이종의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파일과 블록 스토리지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페타스케일 규모의 ‘유니파이드 스토리지 SW’ 개발,파일 및 블록을 통합 관리하는 유니파이드 스토리지 가상화 플랫폼,NFS, iSCSI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유니파이드 파일 시스템,재난복구 등을 위한 QoS 지원 클라우드 스토리지 간의 데이터 동기화
풍부한 연동성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인터페이스이다.

개발 효과,확대일로에 있는 글로벌 클라우드 스토리지 시장에서 국산 제품 개발 및 인프라 구축을 통해 클라우드 스토리지 SW 시장 경쟁력 확보 2016년 이후 23조원으로 예상되는 세계 시장의 5% 점유 및 약 50%의 수입대체 가능하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스토리지 어플라이언스 및 스토리지 융합 제품 등 다양한 분야의 기술 경쟁력 확보 가능하다.

전자금융 기반 글로벌 자금관리 플랫폼 개발,세계 최고 수준의 전자금융 환경과 첨단 IT기술을 기반으로 글로벌 전자금융환경을 갖춘 표준화된 자금관리 플랫폼을 개발하여 국내 및 해외 수출을 통해 세계 자금관리 시장을 선점하고자 한다는 계획이다.

가속화되는 기업의 글로벌화와 급속한 기술 발전에 따라 전 세계 IT 인프라망을 통해서 자금의 본사 중앙 집중 관리와 통제, 모니터링에 대한 글로벌 기업의 요구사항 증가,2003년 기업자금관리 서비스 시작으로 현재 국내 자금관리 시장규모는 1,000억원 규모이며, 대기업-중소기업군 유효고객 약 20만여개 중 약 9만여 고객이 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 세계 글로벌 금융망을 연계, 글로벌 금융기관의 금융거래 업무 및 통제, 모니터링이 가능한 글로벌 자금관리 서비스를 지원하는 세계 최초 ‘글로벌 자금관리 플랫폼’ 개발로서 국내 금융정보 HUB망 및 국외 글로벌 지급결제 공동망 SWIFTNet 연계하여 글로벌 자금관리 기반 Infra 구축,글로벌 금융기관 거래내역 검색 엔진, 전자금융 거래지원 API, SOA 기반 전자금융 거래 표준 라이브러리 통합개발 환경(IDE) 등이 탑재된 글로벌 자금관리 Framework 이다.

개발 효과,선진 자금관리 서비스 제공을 통한 국내 전자금융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 및 신규 자금관리 시장에 세계 최초로 S/W 플랫폼 출시 2016년 2조원으로 예상되는 세계 시장의 2.5% 점유를 통하여 중국, 베트남, 일본 등 아시아 주요 국가 시장 점유율 확대가 될 것으로 기대 된다.

클라우드 컴퓨팅 및 스마트웍스 환경의 문서보안을 위한 차세대 Enterprise DRM 기술 개발,클라우드 기반 E-DRM 서비스 플랫폼과 스마트 모바일용 E-DRM 기술 개발을 통해 글로벌 선도가 가능한 E-DRM 제품 개발,국내의 앞선 PC 기반 E-DRM 기술을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가 가능한 E-DRM 및 iOS, Android, 바다 등 다양한 스마트 기기를 지원하는 모바일 DRM 으로 확장, 글로벌 E-DRM 시장 선점 추진한다는 계획으로 PC 기반의 E-DRM 기술은 국내 기술이 미국, 일본, 유럽 등 선진국에 비해 2년 이상의 앞선 기술력 보유하게 된다.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형태를 지원하는 E-DRM 기술 개발,현재 On-premise 형태로 공급되는 E-DRM 기술은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손쉬운 E-DRM 도입이 가능한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형태의 E-DRM 이다.

스마트웍스 환경의 모바일 DRM 기술 개발,iOS, Android OS 등 스마트 모바일 기기에서 높은 수준의 보안성과 다양한 권한제어가 지원되는 모바일 DRM 이다.

개발 효과,세계 우위의 E-DRM 기술력을 기반으로 해외 시장을 개척할 경우 막대한 규모의 수출 증대 및 글로벌 E-DRM 시장 선점 가능하다.

2015년, 현재 기업정보시스템의 보안기술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DLP 제품군 매출의 15%~20%인 4,000억원 ~ 5,000억원 수준의 해외 시장 점유 가능하다.

통합스마트 ERP개발 기존의 복잡하고 어려운 ERP시스템을 최소의 컨설팅과 빠른 커스터 마이징의 SaaS 서비스 제공 방식(1개 파트너 사업자가 100개의 고객기업을 서비스하는 전략 체계)으로 스마트 기기를 통해 손쉽게 활용할 수 있게 혁신적인 기술 개발 필요하다.

중소기업에 꼭 필요한 핵심 솔루션으로 연간 1,000억 이상의 국내 시장 창출 뿐 아니라, 향후 10년 후 전 세계 SW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아시아의 기업용 솔루션 시장을 장악하는데 필수불가별한 SW으로중소기업이 저렴한 사용료를 내고 기업경영에 핵심이 되는 디지털 통합시스템을 스마트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 한다는 계획이다.

단기간, 저비용으로 사용가능한 SaaS 방식의 통합스마트 ERP 개발,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ERP 서비스 컴포넌트의 조합 사용 구조 ERP구축 시에 컨설팅을 최소화 하여 신속성을 보장하고 업무변화에 따른 적용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 ERP영역의 표준 서비스(약 2,000 여개)와 현장경영 및 Real Time Operation을 위한 모바일 서비스 중소기업 실행력 강화를 위한 Management Cycle(계획-실행-평가)를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개발 효과,2018년까지 총 5년간 생산액 2,862억원, 부가가치 858억원 산출을 통하여 글로벌 ERP로서 위상 확보하도록한다.

플랜트 산업 고도화를 위한 코드 및 필드데이터 기반의 설계 통합솔루션 개발,플랜트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핵심 설계기술의 확보와 최적 설계가 가능한 표준화/자동화/공용화된 설계 통합 솔루션 개발 필요하다.

2010년 플랜트 산업의 해외 수주액은 650억불로 대한민국 최대 수출품목 (전년대비 39.3% 증가, 고유가시대 이후 발전/에너지 플랜트 분야 투자 지속 확대)플랜트 초기설계 및 운영시 헬스모니터링(Health Monitoring), 개보수 설계개선을 지원하는 세계 최초의 융합형 솔루션이다.

표준 설계코드 기반의 기본/상세설계 및 실계측 필드데이터 기반의 수명/건전성 평가와 설계개선을 통합, 상호연계 지원하는 ‘융합형 전 수명주기 플랜트 설계/해석 통합 솔루션’ 개발 강건성, 진동 및 내진/내화/내풍/내폭 안전성 해석 시뮬레이션 주요 표준 설계코드(한국, 유럽, 미국 등) 기준의 최적설계 필드데이터의 계측, DB화, 통계 및 최적화 기반의 역해석 Smart CBM, 예측모델 기반의 이상진단, 수명/건전성 평가
모델링, 해석, 결과분석, 설계, Risk 평가 지원용 통합 프레임워크이다.

개발 효과,신개념의 융합형 설계 솔루션 상용화(패키지 S/W, 컨설팅 서비스)로 관련 기술의 선도 및 ‘18년 16조원 규모의 세계 시장 점유율 확대 5년간 총매출 4,000억원 (해외수출 비중 52%), 수입대체율 60%로 플랜트 전 수명주기에 대한 최적설계/유지관리의 핵심 기술력 제고와 해외 수주경쟁력 강화로 국내 플랜트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BIM 구현을 위한 통합 솔루션 개발,BIM S/W의 국내기술 개발로 특정 외산 S/W에 잠식된 현재의 시장상황을 극복하고 기술 도입기의 국내외 시장 선점을 위한 자체 기술 확보 필요하며,개방형 BIM 국제표준 데이터 포맷(IFC – Industry Foundation Classes) 기반으로 국제적 수준의 건축설계능력 향상, 건설산업의 경쟁력 제고 및 개방형 BIM 중심의 산업생태계 조성 견인차 역활을 항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 조달청은 BIM을 표준 건설 납품 포맷으로 선정 및 보급 중이며, 국내에서도 2012년부터 조달청 발주 500억 원 이상 공공발주에 BIM 설계가 의무화되며,건설산업의 기획단계로부터 유지․관리 및 해체에 이르는 건물 전생애주기 정보(BIM 데이터)의 원활한 정보공유 및 협업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개방형 BIM 국제표준 기반 통합 솔루션 기술” 개발,개방형 BIM 국제표준 데이터 포맷(IFC)을 완벽하게 지원하는 BIM 통합 설계 프로세스 실현 BIM 데이터 저작 도구(Model Builder) BIM 데이터 품질체크 도구(Model Checker) 이다.

개발 효과,기술개발 완료 5년 후 수입대체효과 44%(연간 350억 원) 수준에 도달, 세계시장 점유율 5% 이상(개발완료 후 5년간 국내외 누적2,430억 원) 상회, 지속 성장 가능(2015년 세계 시장 규모 3.5조원)건설산업 및 S/W 산업의 부가가치 향상으로 세계시장에서 IT강국의 지위를 견지함은 물론, 공공(公共)에의 파급에 의한 국가경쟁력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Smart Education을 위한 Plug-In 구조형 S/W 개발,새로운 학습세대(디지털 네이티브)의 성향과 학습 수요를 만족하며 Smart한 교육환경을 지원하기 위한 확장형 교육 인프라 SW의 필요하며,학생 및 교사의 학습효과를 제고, 학습 모니터링과 지능적 피드백, 협업, 참여, 공유 활동 촉진 다양한 기능과 모듈을 Plug-In 형식으로 쉽게 조합하여 즉시적, 수요 대응 가능하고성숙된 한국의 이러닝 인프라와 다년간의 세계화 진출 모색의 결과로 임박한 수출 성과를 달성할 수 있는 수출 주도형 교육 S/W의 개발과 판매도 기대된다.

개발 내용은 Smart Education 이 가능한 교육용 학습 인프라 S/W의 개발,통합 Plug-In S/W,Open API, Mashup, 통일된 모니토링 방법, 데이터연계 기술 Smart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콘텐츠 자동 변환, 콘텐츠 메타데이타 관리, 학습 및 로그 데이터 연계 Smart School & Home Learning 시스템,SNS, 협력학습, 지능형 튜터링, 학습 시나리오 구축, 실시간 학습 모니터링, 콘텐츠 추천, Knowledge Map 활용 등 이다.

개발 효과,Smart한 교육을 통한 교육 효과 향상과 국가 경쟁력 확보: 교과부 스마트 추진전략(‘11.6.27): ’15년 까지 1만여 초중고 온라인 수업강화 아시아, 중동, 중남미 국가의 이러닝 시스템 수출로 2016년 3조원 규모 세계 시장의 30% 점유하고 있다.

Virtual Cluster형 다이내믹 협업 플랫폼 및 패키지 SW 개발,기업의 협업 환경이 변화에 따라 개별 협업 솔루션 단계를 벗어나 통합 협업 모델을 제시할 수 있는 경쟁력 확보 필요하며, 최근의 협업 솔루션 시장은 글로벌 SW 업체에서 M&A를 통해 다양한 협업 솔루션을 통합하여 통합 협업 모델로 제시하면서 협업 도구 솔루션 시장 장악,급변하는 기업 환경 속에서 기업은 스스로 필요한 협업도구들을 동적으로 만들어 내고, 기업 간 가상의 협업을 가능한 협업 환경을 적시에 구축하여 활용해야 하는 요구 증대하고 있다.

개발 내용은 다양한 기업에 맞춤형 서비스를 위해 협업 도구를 자동생성하고 여러 협업도구를 조합하여 협업공간을 만들 수 있는 다이내믹한 협업 서비스 및 시스템 간 Cluster로 1:1, 1:n 등 다양한 기업 간 협업을 위한 가상의 협업공간을 서비스하는 'Virtual Cluster형 다이내믹 협업 플랫폼 및 패키지 SW'개발이다.

협업공간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관리하는 프레임워크,시스템 간 클러스터링을 위한 Clustering 프레임워크,다양한 형식의 업무수행 모듈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Work Builder
협업 시 필요한 기간계 연동을 수행하는 다양한 Gateway모듈 추가 및 Work추가를 위한 SDK 및 개발자 사이트이다.

개발 효과,글로벌 SW 업체에 대응 할 수 있는 기업용 패키지SW 경쟁력 확보 협업 솔루션 국내 시장에서 향후 2016까지 15% 점유율 확보하여 수입 대체 효과를 기대 16. 3D 입체 콘텐츠 제작을 위한 영상 합성 SW 개발,다양한 3D 디바이스의 보급에 장애가 되고 있는 콘텐츠 부족 현상을 극복하고, 향후 주류가 될 3D 입체 콘텐츠 세계 시장 선점이 예상되며 향후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 예상되는 3D 입체 콘텐츠의 제작에 가장 활용도가 높은 영상 합성 SW 개발로 세계시장 선점한다는 계획이다.

3D 입체관련 SW는 초기 시장 형성기 이므로, 국내 기술로 세계시장 진출의 기회가 충분히 있는 분야 2D영상, 3D 입체영상, CG영상 등을 자유로이 합성하여 고품질의 입체 영상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으며, GPU를 활용한 효율적인 렌더링으로 대규모 CPU자원(렌더팜)이 없는 일반인도 사용이 가능한 3D 입체 영상 합성 SW 개발이다.

노드기반 영상합성 프레임워크 입체 영상정보를 활용한 고정밀 카메라트래킹 및 매팅 기술,입체 영상 보정 및 뎁스 맵 추출 기술,멀티코어 CPU, GPU 기반의 영상처리 및 렌더링 기술,기능 확장 플러그 인 개발을 위한 SDK 및 API로 개발 효과로는 영화, TV, AR/VR, 게임, 이러닝, UCC 등 다양한 분야에서 3D 입체 콘텐츠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100%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콘텐츠 제작 SW 분야에서 국산 기술 확보로 관련 경쟁력 향상(2016년 0.35조원 규모 세계 시장 20% 점유)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