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경제연구소 ‘K팝의 성공 요인과 기업의 활용전략’
삼성경제연구소 ‘K팝의 성공 요인과 기업의 활용전략’
  • 서민수 수석연구원
  • 승인 2012.02.15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드라마에 이어 新한류의 주역으로 등장한 K팝에 전 세계가 열광하고 있다. 2012년 1월 31일 걸그룹 소녀시대가 미국 TV의 인기 토크 프로그램인 <데이비드 레터맨 쇼>에 출연하여 주목받았으며, 2011년 유튜브에서의 K팝 동영상 조회 수가 총 235개국 약 23억회에 이르는 등 온라인에서도 K팝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K팝은 글로벌 대중음악계의 변방에서 언어와 문화의 높은 장벽을 뚫고 어떻게 성공할 수 있었을까? ‘문화의 다이아몬드 모델’을 차용해 그 성공 요인을 도출해보았다. 생산자: 기획사는 ‘캐스팅-트레이닝-프로듀싱-글로벌 프로모션’의 전 제작 프로세스를 시스템화하여 치밀하게 해외시장 진출을 준비했다. 특히 몇 배수의 연습생을 맹훈련시켜 극소수의 스타를 걸러내는 트레이닝 노하우는 한국만이 갖춘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평가된다.

전달 방식: 유튜브, 페이스북, 트위터 등 소셜미디어를 활용하여 해외진출 과정에서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절감했다. 소비자: IT에 친숙하면서도 적극적으로 문화를 향유하고 자유롭게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 능동적 소비자가 있었기에 인기가 빠르게 확산될 수 있었다. 콘텐츠: K팝 아이돌은 탄탄한 가창력과 안무, 매력적인 비주얼이 결합된 경쟁력을 바탕으로 끊임없는 변신을 연출하며 전 세계 소비자를 매료시켰다.

K팝은 한국의 대표적 문화상품으로 막대한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他분야 기업도 노래, 가수, 팬 등 K팝의 전략적 가치를 新상품 개발, 新홍보 전략수립, 新시장 개척의 디딤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첫째, 파생상품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해야 한다. 게임과 애니메이션 산업에서는 K팝 콘텐츠나 스타를 캐릭터로한 상품을 개발하고, 뮤지컬, 드라마 등 기존 문화상품은 K팝 노래나 가수를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둘째, K팝 팬을 유치하는 집객형 상품을 개발해야 한다.

K팝 콘텐츠와 관광, 쇼핑을 연계한 맞춤형 공연관광 상품을 기획하고 K팝 문화가 녹아 있는 공간을 랜드마크화하여 관광객을 유인할 필요가 있다. 셋째, 패션 및 디자인 감각이 뛰어난 K팝 가수와의 컬래버레이션을 통해 홍보 효과를 극대화해야한다. 넷째, 관련성 높은 상품의 광고모델로 K팝 스타를 기용하는 新홍보 전략을 채택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K팝 팬층을 한국 제품의 신흥시장 진출 교두보로 활용해야 한다. 특히, K팝의 주요 확산 경로인 유튜브 등의 소셜미디어를 활용하여 지역별로 보다 세밀한 해외 진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K팝은 처음부터 글로벌 시장을 염두에 두고 장기적 관점에서 기본기를 갖춘 스타를 체계적으로 육성해 한국문화의 강점을 재창조함으로써 성공할 수 있었다. 이를 교훈 삼아 제3, 제4의 한류를 육성하여 국가 브랜드 제고, 수출 다변화 등을 추진해야 한다.[삼성경제연구소 서민수 수석연구원 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