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재무전망 왜곡…수익 높이고 부채 낮춰
공공기관 재무전망 왜곡…수익 높이고 부채 낮춰
  • 한옥순 기자
  • 승인 2012.11.11 08: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철도시설공단 부채비율 767.1%…실제론 939.3%"
거래 관계에 있는 공공기관들이 같은 사안을 각자 유리하게 가정해 재무 전망을 왜곡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재무구조를 좋게 보이게 하려고 수익을 높이고 부채를 떨어뜨리는 수법이 활용됐다.

9일 기획재정부와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한국전력공사와 6개 발전자회사가 중장기 재무전망을 할 때 한전의 전력 구입비용과 발전자회사의 판매 수입을 달리 추정한 탓에 전체 재무전망 추정치에 오류가 생겼다.

한전이 발전자회사에서 전기를 사들이므로 이론상 전력 구입비용과 판매수입이 같아야 한다.

그러나 이들 기관이 내놓은 2012~2016년 중장기 재무관리계획을 보면 한전이 추정한 전력 구입 단가는 발전자회사가 계산한 판매 단가보다 ㎾h당 2~6원 낮다.

이 때문에 한전이 추정한 구입비용은 발전회사의 판매수입보다 매년 1조7천억~3조5천억원 적었다.

같은 사안을 놓고 한전은 비용에 해당하는 구입비용을 낮추고 발전자회사는 판매수입을 높여 재무구조를 좋게 보이게 꼴이 됐다.

이런 현상은 각 기관이 유리한 가정을 취했기 때문이라고 예산정책처는 설명했다.

한전은 전원별 발전차익의 일정 부분만 정산해 지급하는데 이를 정산조정계수라고 한다.
한전은 비용을 과소추정하고, 발전자회사는 수입을 과대추정해 재무 성과를 부풀렸다.

예산정책처는 정산조정계수에 일관된 가정을 적용해 공공기관의 재무전망을 다시 추정하면, 2016년 한전과 6개 발전자회사의 부채비율은 152.9%에서 178.9%로 26%포인트 올라간다고 밝혔다.

한국철도시설공단과 한국철도공사간 선로사용료 역시 서로 추정액이 달랐다.

한국철도시설공단의 주된 매출액인 선로사용료는 고속철도 운영자로부터 받는다.
따라서 철도시설공단과 유일한 고속철도 운영자인 철도공사간 선료 사용료의 추정치는 같아야 정상이다.

예산정책처가 파악한 바로는 양 기관의 선료사용료 추정액은 2012~2016년간 모두 1천84억원이나 차이가 났다.

특히 철도시설공단은 호남고속철도와 수도권고속철도의 선용사용료를 낙관적으로 추정했다. 기존엔 선용사용료를 고속철도 매출액의 31% 수준으로 잡았는데, 이 두 철도의 선용사용료는 이보다 높은 매출액의 40%로 적용했다.

철도시설공단은 역세권 개발사업과 관련해 2년 만에 투자와 회수가 완료될 것으로 가정하기도 했다.

통상 개발사업이 용지매입에서 공사완료까지 최소 3년이 걸리는 것을 고려하면 무리한 추정이다.
2012~2016년간 중장기 재무관리계획에 발생하기 어려운 수익을 잡아넣었다는 뜻이다.

예산정책처는 이런 낙관적 가정을 바로 잡으면 철도시설공단의 부채비율은 기존에 밝힌 767.1%보다 172.2%포인트 오른 939.3%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