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덕우 전총리 별세, 한국경제 현대화의 산 증인
남덕우 전총리 별세, 한국경제 현대화의 산 증인
  • 박광원 기자
  • 승인 2013.05.19 09: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남덕우 전 국무총리 19일 89세의 일기로 별세 했다.

故 남 전 총리는 서강대 교수로 재직 중이던 1969년 박정희 대통령 재임 당시 재무부장관에 발탁되며 정계에 진출했다. 박 전 대통령은 '제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평가단 회의에서 남 전 총리의 소신 있는 발언을 눈여겨보고 실무 경험이 없었던 그를 재무부장관에 임명하는 파격 인사를 단행했다.
허창수 전경련 회장(GS 회장)이 20일 서울 삼성의료원에서 고 남덕우 전 총리(전경련 원로자문단 좌장)빈소를 찾아 조문하고 있다.

남 전 총리는 박 전 대통령이 임명장을 주고서 "남 교수, 그동안 정부가 하는 일에 비판을 많이 하던데, 이제 맛 좀 봐"라는 말을 했다고 회고했다. 그리고 14년 동안 이어진 정부 관료 생활은 박 전 대통령이 발언이 현실화되는 과정이었다고 설명했다. 임기가 끝나면 대학강단으로 돌아가겠다고 결심했던 그는 이후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을 거쳐 국무총리까지 올랐다.

3·4·5 공화국 시절 14년간 한국 경제의 산업화가 그의 손에 달려 있었다. 8·3 긴급조치, 수출 100억 달러 및 1인당 국민소득 1천달러 돌파, 부가가치세 도입 등 한국 경제에 획을 그은 큰 사건들은 그의 손에서 나왔다. 증권시장 개혁, 중화학공업 육성 등 남 전 총리가 없었으면 이뤄지기 어려웠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박 전 대통령은 "우리나라의 경제대통령은 남덕우"라고 말할 정도로 그를 특별히 신임했다. 박 전 대통령이 남 전 총리가 대통령경제특보로 있던 1979년 어느 날 "내가 봐도 유신헌법의 대통령 선출방법은 엉터리"라면서 "헌법을 개정하고 나는 물러나겠다"고 말했다는 일화도 그의 입을 통해서 세상에 알려졌다.

남 전 총리는 영면에 든 19일까지 현역으로 활동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국무역협회장 등을 거쳐, IBC포럼 이사장, 한국선진화포럼 이사장으로 최근까지도 활발하게 활동해왔다. 1970년에는 한국 경제를 이끄는 주역으로 활동했지만 은퇴한 이후에는 현역보다 더 현역 같은 조언을 후배들에게 제공해왔다. 선진국 진입과 동시에 전 세계적인 경제위기와 함께 저성장의 늪에 빠진 한국 경제 상황을 그는 누구보다 안타까워했고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생전 남 전 총리는 중소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용계수가 높은 중소기업이 살아나야 고용도 늘어나고 근로자 간 소득격차도 줄어든다는 논리였다.

경제 민주화와 관련해서도 그는 명확한 개념을 갖고 있었다. 남 전 총리는 경제 민주화가 재벌 때리기로 변질했다면서 재벌이 잘못된 것은 고쳐야 하지만 집중해야 하는 문제는 양극화 해소, 가계부채 해결, 일자리 창출 등이라고 지적했다.

남 전 총리는 외국에서 경제 민주화는 의사결정의 저변을 확대하는 것으로 해석한다며 주주만이 아니라 여러 이해관계자를 고려하는 것이고 경제적 약자를 돕는 것이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올해 초에는 불황기일수록 정부 지출이 중요하다고 조언하기로 했다. 사회 보장 확대와 같은 정부 소비가 민간 소비를 진작시키므로 공공투자가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남 전 총리는 박근혜 대통령과도 남다른 인연을 맺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후보 시절 후원회장 역할을 한 바 있고 2007년 대선 때 경제고문으로 참여하기도 했다. 그는 당시 박근혜 캠프에서 경제자문단의 좌장을 맡아 경제정책에 대한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올해 3월에 박 대통령이 청와대에 원로단을 초청했을 때 바로 옆자리로 남 전 총리를 배정했을 만큼 의미를 둔 인사다. 새 정부에서 경제부총리라는 보직이 부활한 것도 남 전 총리를 '롤 모델'로 둔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 바 있다.

박정희 정부 시절 재무장관 5년에 경제기획원장관을 4년이나 역임한 역대 최장수 경제부총리, 특히 그가 경제부총리를 지냈던 1974~1978년은 박 대통령이 퍼스트레이디로서 국정을 지켜봤던 시기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개발 경제 시대를 온몸으로 살아냈던 그를 두고 다양한 평가가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다. 다만, 고인과 같은 인물들 덕분에 오늘의 한국이 있다는 점에는 대체로 공감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