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전경련 개혁 늦출수 없다
[데스크 칼럼]전경련 개혁 늦출수 없다
  • 연성주 기자
  • 승인 2017.02.06 16: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삼성 탈퇴로 위기감 고조… 싱크탱크로 환골탈태해야
재계의 '맏형'이라 할수 있는 전경련이 설립 56년만에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국내 대표기업인 삼성전자가 마침내 6일 정식으로 탈퇴원을 제출했다. 나머지 14개 계열사들도 조만간 순차적으로 탈퇴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600여개 회원사를 거느리고 있는 전경련에서 삼성이 차지하는 무게감은 어떤 기업도 대신할수 없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지난해 열린 국회 청문회에서 "더는 전경련 지원금(회비)을 납부하지 않고 탈퇴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LG는 지난해 12월 4대 그룹 중 처음으로 전경련에 탈퇴를 공식 통보했으며 SK와 현대차도 곧 탈퇴할 예정이다. 4대 그룹이 전체 연간회비의 77% 가량을 부담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이들이 빠지면 전경련은 사실상 존속하기 어렵게 된다.

'최순실 사태'로 전경련이 대기업들의 수금 창구역할을 해왔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언론으로부터 뭇매를 맞았다. 전경련이 미르·K스포츠재단 등에 주요 재벌그룹들이 수백억원을 후원하는 과정에서 모금을 주도하는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밝혀지면서 존폐의 기로에 서게 된 것이다.
청문회이후 4대 그룹이 탈퇴의사를 밝혔고 주요 국책은행과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등도 나갔다. 지난해 10월에는 한전, 인천국제공항공사 등 10개 공기업이 떠났다.

5·16 군사정변이후 민간경제인들의 자발적 의지로 설립된 전경련은 우여곡절속에서도 우리나라 대기업을 대표하는 경제단체로 자리매김했다.
아이러니하게도 전경련을 창립한 사람은 다름아닌 이 부회장의 조부인 이병철 삼성그룹 창업주다. 이병철 회장이 일본의 경단련(經團連)을 모델로 창립을 주도해서 초대회장을 맡았다. 할아버지가 주도해서 만든 단체와의 인연을 손자 대에서 끊게 된 셈이다.
대기업들의 잇단 탈퇴로 전경련은 '사면초가'에 몰려있다.
허창수 전경련 회장은 이달 정기총회때 물러나겠다고 밝혔고 , 백방으로 후임 회장을 물색하고 있지만 적임자를 찾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12일 열린 전경련 회장단회의에는 10대 그룹 회장들이 대부분 불참하는 등 쇄신작업에도 동력이 생기지 않고 있다. 대기업 총수들은 '정경유착의 창구'로 지목된 전경련 회의 참석 자체에 큰 부담을 느끼고 있다고 한다.
차기 회장 선출 및 쇄신안 마련을 위한 정기 총회가 오는 23일로 잠정 결정됐지만 총수들이 일제히 회장직을 고사하고 있다고 한다. 고위 경제관료 출신 외부인사 영입을 추진하고 있지만 이 것도 쉽지 않아 난항을 겪고 있다.
만약 정기 총회에서 차기 회장을 선임하지 못할 경우 붕괴속도는 더욱 빨라질 전망이다.
전경련은 이제라도 일본의 경단련식 개혁을 통해 '제2의 출범'을 해야 한다고 본다.
2차대전 직후인 지난 1946년 8월 일본 경제의 재건과 부흥을 목적으로 탄생한 경단련도 한때 정경유착의 주범으로 지목되며 위기를 겪었다.
그러나 1990년 히라이와 가이시 회장이 정당자금 중개 폐지,기업 헌금 알선 폐지 등 과감한 개혁을 추진하면서 정부 정책의 파트너로서 위상을 되찾았다.또 2002년 일경련과 통합하면서 공익성이 강한 기구로 거듭나게 됐다.
현재 거론되고 있는 전경련 개혁안으로는 '싱크탱크'로의 전환이다.
전문가들은 일본의 예를 지적하며 "정부의 경제정책을 지원하고 기업들의 국제화를 뒷받침하는 싱크탱크로 새 출발해야 하다"고 조언하고 있다.
헤리티지 재단이나 순수 이익단체인 미국 BRT(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 같은 유형이 거론되고 있다. 일부에서는 전경련 해체를 주장하고 있지만 전경련이 해체된다고 정경유착이 근절되는 것이 아니므로 정답은 아니라고 본다.

전경련이 더 늦기전에 일본의 경단련을 '타산지석' 삼아서 로비집단이라는 오명을 벗고 실력있는 싱크탱크로 환골탈태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