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노트8 고객 90%가 '25% 요금할인' 선택
갤노트8 고객 90%가 '25% 요금할인' 선택
  • 연성주 기자
  • 승인 2017.09.15 14: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존 가입자 문의 폭주…출고가 상승 부담 상쇄
15일부터 약정 기간 이동통신요금 할인율이 20%에서 25%로 오르면서 지원금 약정 대신 25% 요금할인 약정으로 가입자가 몰리고 있다.

이통 3사에는 이날 25% 요금할인 신청 관련 문의가 폭주했다.
당장 이날부터 기존 가입자 대상으로 위약금 면제 제도를 시행한 SK텔레콤은 평소 대비 요금할인 문의가 두 배로 늘었고, KT도 50% 이상 증가했다.
SK텔레콤은 잔여 약정 기간이 6개월 이하인 기존 요금할인 가입자가 재약정을 하고 남은 약정 기간만큼 유지할 경우 위약금을 면제해주고 있다. 단말을 바꾸지 않더라도 이통사에 신청하면 바로 적용이 가능하다. LG유플러스와 KT는 전산 준비를 위해 10월 이후 시행할 예정이다.
▲갤럭시노트8 고객 90%가 25% 요금할인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연합)
이날 개통을 시작한 삼성전자의 하반기 전략폰 갤럭시노트8를 산 고객들은 90% 이상이 지원금 대신 요금할인을 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날 예약 가입이 시작된 LG전자 프리미엄폰 V30도 지원금 대신 요금할인 신청 의사를 밝힌 고객이 90% 정도로 파악됐다.
신규 프리미엄폰의 일반적인 요금할인 가입률 70∼80%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25% 요금할인으로 지원금과 할인 격차가 늘어나면서 벌어진 현상이다.
25% 요금할인을 적용받으면 24개월 약정 기준 총 요금할인액은 19만7000∼66만원에 달한다. 반면 갤노트8의 지원금은 유통점이 주는 15% 추가 지원금을 더해도 7만4000∼30만4000원에 불과하다. 요금할인액이 지원금의 2.2∼2.6배인 셈이다.
전작 갤노트7은 요금할인액이 지원금의 1.6∼1.7배 수준이었다.
갤노트8 출고가(109만4500원)가 전작 갤노트7보다 10만원 이상 올랐지만, 요금할인율 상향조정 덕택에 소비자 부담이 크게 늘지는 않았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6만5000원대 데이터 요금 기준으로 갤노트7 출시 당시 단말 대금과 요금할인을 반영한 월 할부액(24개월 기준)은 9만4000원이었으나, 갤노트8에서는 9만5000원으로 1000원밖에 오르지 않았다. 월 단말 할부금 인상분 4000원을 요금할인 인상액 3000원이 상쇄해준 셈이다.
요금할인을 전적으로 이통사가 부담하는 점을 고려하면 이통사의 돈으로 제조사의 배를 불려준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갤노트8 개통은 별다른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다.
물량을 넉넉히 받은 판매점에서는 예약 가입을 하지 않은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판매에 나서기도 했다.
이날 광화문 KT스퀘어에는 갤노트8을 개통하려는 소비자들이 몰려 분주한 모습이었다.
매장 관계자는 "오늘부터 요금할인율이 상향된데다 갤노트8 개통이 시작되면서 오전부터 고객들이 많이 몰렸다"고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