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형배 의원 "비주택담보대출 중 DSR 100% 넘는 대출 3.2조원"
민형배 의원 "비주택담보대출 중 DSR 100% 넘는 대출 3.2조원"
  • 임권택 기자
  • 승인 2020.10.12 13: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비주택담보대출 중 DSR 100% 넘는 대출 9,600건
상가담보대출 중 DSR 100% 넘는 대출, 약 1.2조원 3,100건
민형배 “대출규제가 느슨한 비주택투자로의 풍선효과 우려”

작년 9월부터 올 7월까지 신규 국내은행 비주택담보대출 중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100%를 초과한 신규대출이 약 3조2천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기간동안 신규 대출된 비주택담보대출 총액 약 9조원 중 35.2%에 달하는 비중이다. 주택담보대출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슨한 규제에 따른 풍선효과가 아닌지 우려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민형배 국회원/사진=민형배 의원실
민형배 국회의원/사진=민형배 의원실

12일 민형배 더불어민주당 의원(광주 광산을, 정무위원회)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2019.9~2020.7월 국내은행의 신규 비주택담보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9월부터 올해 7월까지 10개월간 신규 취급된 비주택담보대출 중 DSR이 100%를 초과한 신규대출은 9천600여건으로 3조1천624억원 규모였다. 전체 비주택담보대출의 가중평균 DSR은 119.2%로 100%를 넘어섰다.

비주택담보대출 중 상가담보대출만 별도로 살펴보면, DSR이 100%를 초과하는 대출은 1조1천963억원(3천100건) 규모로, 절반 가까운 대출(45%)이 차주의 소득보다 원리금상환액이 큰데도 실행됐다. 전체 가중평균 DSR은 145%로 전체 비주택담보대출 가중평균 DSR 수준보다 높았다.

DSR는 차주의 상환능력 대비 원리금상환부담을 나타내는 지표로, 차주가 보유한 모든 대출의 연간 원리금상환액을 연간소득으로 나눠 산출한다. 쉽게 말해 최근 10개월간 땅이나 상가를 산 개인은 본인의 소득보다 원리금상환비율이 큰 경우(100%초과)에도 대출이 가능했다는 뜻이다.

현재 금감원은 은행별로 평균 DSR 목표(시중은행 40%, 지방·특수은행 80%)를 부여하고 관리하고 있다. 투기지역·투기과열지구 내 시가 9억원을 넘은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받을 때엔 DSR 40% 규제가 적용된다. 문제는, 비주택담보대출에 대한 별도 규제는 없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정부가 고가주택에 대한 담보대출 규제를 강화할수록 자산가들이 상가와 땅을 담보로 하는 대출로 몰리고 있는 것이다.

자료를 분석한 민형배 의원은 “과도한 빚을 내 주택에 투자하기 어려워지자, 부동산 투자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대출규제가 느슨한 비주택투자로 몰리는 것은 문제” 라며 “금융당국이 규제 사각지대로 대출이 쏠리는 풍선효과 발생 여부를 면밀히 진단하고, 은행과 차주의 건전성 관리 등 감독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고 지적했다.[파이낸셜신문=임권택 기자 ]

민형배 의원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