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호 산림청장 "기후위기 선제적 대응"...온실가스 감축과 해외탄소배출권 확보 성과
박종호 산림청장 "기후위기 선제적 대응"...온실가스 감축과 해외탄소배출권 확보 성과
  • 임영빈 기자
  • 승인 2020.10.22 09: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5년간 캄보디아와 협업 결과 온실가스 65만톤 감축 성공

"우리는 임업인과 국민을 위해 존재한다는 사실을 잊지 않고 시대변화에 발맞춰 미래를 고민하고 산림정책을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2019년 12일 13일 제32대 산림청장 취임식에서 박종호 신임 산림청장은 산림청이 나아갈 방향을 이같이 언급했다. 그중에서도 산림이 국제사회의 평화와 번영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맡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종호 산림청장 (산림청 제공)
박종호 산림청장 (사진=산림청)

이를 위해 박 청장의 지휘아래 산림청은 같은 달 31일 '산림부문 REDD+ 중장기 추진계획(2020~2024)'을 수립·시행에 나섰다. 산림청의 주요 미션 중 하나로 온실가스 감축활동 시범사업을 설정한 만큼 기후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함이다.

REDD는 유엔기후변화협약 하에서 개발도상국의 산림파괴를 방지해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메커니즘(Reducing Emissions from Deforestation and forest Degradagion)의 영문 약자다.

전 세계적으로 온난화, 이상기온 등 문제가 빈번해지면서 이제는 '기후 위기'를 우려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제 온실가스 감축은 전 세계 국가들의 주요 화두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박 청장은 산림 분야가 온실가스 감축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국제적 협력 범위를 더욱 넓혀나가는 동시에 더욱 돈독한 관계로 발전시켜 나갸아 한다고 인식했다.

특히 탄소배출권과 벌목방지탄소배출권이 국가 간 거래에서 차지하는 중요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판단했다.

탄소배출권은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를 감축한 기업 또는 국가가 국제연합(UN) 등 공인된 기관으로부터 온실가스를 일정량 배출해도 된다고 인정받은 권리를 의미한다. 기업이나 국가가 온실가스 배출 상한선을 넘겼을 경우 기준을 맞추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거나 돈을 주고 해당 권리를 사야 한다. 1997년 일본 교토에서 열린 유엔기후변화협약에서 합의됐다.

벌목방지탄소배출권(REDD)이란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를 흡수할 산림자원이 풍부한 인도네시아, 브라질 등 국가에서 확보할 수 있다.

산림청의 이 같은 방침은 2018년 7월 문재인 정부가 발표한 '2030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도 일맥상통한다. 해당 목표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수정안에 담겨 있으며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전망치(BAU) 8억5천1백만톤의 37%인 3억1천5백만톤을 감축한다는 내용이 골자다.

구체적으로는 '숲속의 한반도, 숲속의 지구'라는 비전 아래 개발도상국 및 북한 산림황폐화 방지 REDD+ 사업을 중점 추진함으로써 약 7백만㏊의 산림전용 및 황폐화를 막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산림청 제공)
(산림청 제공)

이를 달성하기 위해 개도국 국가·준국가 REDD+ 이행 및 협상 대응, 북한 REDD+ 기반 구축, REDD+ 거버넌스 등 3대 추진 전략과 8개 세부 실행 과제를 설정했다.

8개 세부 실행 과제는 시범사업 마무리, 국가·준국가수준 REDD+ 추진 모델 마련, 차세대 신규사업을 위한 국가 및 지역 발굴, REDD+ 국내외 협상 및 제도화에 대응, 북한 REDD+ 추진 시나리오 제시, 북한 REDD+ 이행 사전준비 및 잠재효과 분석, 전담조직·연구기관 및 전문인력의 양성, 민간분야 및 국제기구 등과의 협업 확대 등이다.

박 청장 부임 이후 산림청은 온실가스 감축사업 추진에 더욱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5년간 해외에서 추진해온 온실가스 REDD+ 사업이 올해 '온실가스 감축'과 '해외탄소배출권 확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성공적으로 잡았기 때문이다.

지난 9월16일 산림청은 2015년부터 캄보디아 캄풍톰주(州)에서 추진한 '개도국 산림파괴 방지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활동(REDD+)' 시범사업을 통해 온실가스 65만 톤을 감축했다.

산림청은 지난달 16일 캄보디아와 2015년부터 공동 추진한 ‘개도국 산림파괴 방지를 통한 REDD+ 시범사업’을 통해 총 65만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성과를 거뒀다. (사진=산림청)
산림청은 지난달 16일 캄보디아와 2015년부터 공동 추진한 ‘개도국 산림파괴 방지를 통한 REDD+ 시범사업’을 통해 총 65만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성과를 거뒀다. (사진=산림청)

앞서 산림청은 온실가스 감축활동(REDD+) 시범사업을 위해 2014년 12월 캄보디아 산림청과 업무협약을 체결했한 바 있다. 이듬해 사업단을 조직했으며 산림보전을 통한 기후변화 공동대응과 역량 강화, 지역주민의 소득 증진 등을 주요 목표로 삼고 일련의 사업을 추진했다.

그 결과, 2014년부터 2019년까지 5년간 온실가스 감축 활동은 전문기관의 검증을 거쳐 올 9월 3일 국제탄소시장표준(VCS)에서 정식 인증을 받았다. 산림청은 향후 자발적 탄소시장에서 거래를 통해 배출권 판매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경제적 효과도 두드러졌다. 녹색기후기금(GCF)이 브라질 등 개발도상국의 온실가스 감축활동 이행에 대한 보상 사례에서 적용한 탄소배출권 가격(5달러/톤)을 마찬가지로 적용할 경우, 산림청은 약 300만 달러 이상의 가치를 기록했다. 이번 사업의 전체 비용인 160만 달러에 비해 약 두 배 가량 웃돈 규모다.

이외에도 캄보디아의 산림보전,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 생물다양성 증진에 이바지하는 등 여러 방면에서 그 의미가 남다르다는 것이 산림청의 설명이다.

우선 지역주민과 산림보호감시단을 대상으로 기술 교육 및 토질개선 교육 등을 실시했다. 이를 통해 배출한 역량배양 수혜자는 2천920명이다. 인재 육성을 통해 주요 산림전용의 원인인 농지 개간을 방지하는 부수적 효과도 창출해냈다.

지역주민 1천여 명을 대상으로 양봉 등 대체 소득원을 발굴할 수 있도록 물심양면 지원했다. 이외에도 농업 신기술 보급, 협회 조직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을 높여 주민들이 산림파괴에 나설 가능성을 크게 낮췄다.

마지막으로 산림보호를 위한 감시활동에도 적극적으로 나섰다. 주민들의 불법 벌목 또는 야생동물 포획 행위를 줄여 생물다양성 증진에도 힘을 보탰다.

산림청은 이번 시범사업에서의 성공 경험을 밑거름 삼아 향후 파리협정 체제에서 기후 위기에 공동 대응하는 동시에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에도 이바지할 수 있도록 REDD+ 사업을 지속 확대할 예정이다.

이는 박 청장의 지난해 12월 취임사에서 밝힌 그의 가치관과 일정 부분 부합한다. 박 청장은 취임사에서 미국의 초대 산림청장 지퍼드 핀초의 말을 인용해 "최대한 많은 사람들이 오랫동안 산림의 가치를 향유할 수 있도록 산림관리를 해야하는 것이 산림청의 임무"라고 강조한 바 있다.

그러면서 "산림이 주는 가치를 보다 많은 사람들이 누리고, 산림의 가치를 창출한 사람들에게 노력에 대한 보상이 돌아가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산림청의 고유미션을 강화하고 보다 많은 국민들이 산림의 가치를 누릴 수 있도록 '사람 중심의 산림정책 혁신'을 흔들림 없이 추진해 가고자 한다"라고 의지를 보였다.

박종호 산림청장은 1981년 수원농림고등학교 졸업 후 1987년 서울대학교 임학과 학사, 1997년 미시간 주립대학교 임업정책학 석사, 2008년 충남대학교 산림지원학 박사과정을 졸업했다.

1989년 공직에 입문해 1999년 산림청 산림자원과장, 2004년 주 인도네시아 임무관, 2010년 산림청 국제산림협력추진단장, 2011년 산림자원국장, 2015년 산림이용국장, 2017년 2월 산림복지국장, 2017년 10월 기획조정관 등 주요 보직을 역임했다.

산림자원과장으로 재직했을 때는 숲가꾸기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 남북산림협력 등 주요 현안을 무리 없이 추진했다. 산림자원국장 재임시절에는 주위로부터 기후변화에 대응한 탄소흡수원법을 제정해 국가 탄소감축 목표달성에 산림의 기여 체계를 갖추도록 노력했다는 평을 받았다.

2018년 10월부터는 산림청 차장에 취임했으며 이듬해 2019년 12월 13일부로 제32대 산림청장에 임명됐다.

[파이낸셜신문=임영빈 기자]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