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2분기 영업이익 12조5천억 돌파…3년만 최대 실적
삼성전자, 2분기 영업이익 12조5천억 돌파…3년만 최대 실적
  • 황병우 기자
  • 승인 2021.07.29 12: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삼성전자, 2021년 2분기 실적 발표…매출 63조6천700억원, 영업이익 12조5천700억원 기록
반도체, 출하량 확대와 가격 상승 등 호황에 이익 개선…디스플레이, 판가 상승으로 실적 개선
하반기, 기술/프리미엄 리더십 강화·코로나 불확실성 상존…올해 영업이익 50조원 돌파 기대
이사회 내 '지속가능경영위원회' 개편…지속가능경영 방향 제시·이행 점검
삼성전자가 반도체 시장 호황에 힘입어 '어닝 서프라이즈' 수준의 올 2분기 실적을 기록했다. 사진은 삼성전자 수원 사업장 전경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가 반도체 시장 호황에 힘입어 '어닝 서프라이즈' 수준의 올 2분기 실적을 기록했다. 사진은 삼성전자 수원 사업장 전경 (사진=삼성전자)

코로나19 팬데믹과 4차 대유행이 우려되는 상황에서도 삼성전자가 시장 컨센서스(전망치)를 훌쩍 뛰어넘는 '어닝 서프라이즈(깜짝실적)' 수준의 2분기 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가에서 예상하는 한해 영업이익으로 50조원을 돌파할 수 있을지 주목되는 이유다.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경영실적으로 매출 63조6천700억원, 영업이익 12조5천700억원을 기록한 확정치를 발표했다고 29일 밝혔다.

지난해 2분기 매출 53조원, 영업이익 8조1천500억원과 비교해 매출은 20.21% 늘었고, 영업이익은 54.26% 증가했다. 순이익은 9조6천34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3.44% 급증했다.

2분기 매출은 비수기와 부품 공급 부족 등에 따른 스마트폰 판매 둔화에도 불구하고 서버를 중심으로 메모리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프리미엄 가전 판매도 호조를 보이면서 2분기 기준으로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메모리 시황이 개선되고 파운드리 오스틴 공장이 정상화된 가운데, 디스플레이도 판가 상승과 1회성 수익으로 실적이 개선됐고, 세트 사업도 부품 공급 부족 등 어려운 여건에서도 SCM(공급망관리) 역량 적극 활용 등을 통해 견조한 수익성을 유지했다.

영업이익률은 19.7%로 전분기와 전년 동기 대비 모두 크게 개선됐다.

사업별 실적을 살펴보면, 반도체는 2분기 매출 22조7천400억원, 영업이익 6조9천300억원을 기록해 전분기와 전년 동기 대비 실적이 대폭 개선됐다.

메모리는 출하량이 가이던스를 상회했고 가격 상승폭도 예상보다 컸으며, 원가경쟁력도 강화됐다. 시스템반도체도 오스틴 공장 정상화로 이익이 증가했다.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항공 사진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항공 사진 (사진=삼성전자)

디스플레이는 2분기 매출 6조8천700억원, 영업이익 1조2천800억원을 기록했다. LCD 가격 상승에다 애플의 일회성 보상금(5천억원 이상 추정)이 포함되며 수익이 늘었다. 중소형 비수기 가운데서도 전반적인 판가가 상승하고 1회성 수익도 발생해 전분기 대비 실적이 개선됐다.

모바일(IM)부문은 2분기 매출 22조6천700억원, 영업이익 3조2천400억원을 기록했다. 전분기 영업이익 4조4천억원의 양호한 실적에 비해 1조원 이상 줄었다. 갤럭시 S21 조기 출시 등 신제품 출시 효과가 소멸된 것이 이유로 분석된다.

무선은 비수기 속에 부품 공급 부족과 코로나19에 따른 생산 차질 등으로 전분기 대비 스마트폰 판매가 감소했지만 SCM 역량의 효율적 활용, 원가구조 개선, 마케팅 효율화와 태블릿·웨어러블 제품의 실적 기여 지속으로 견조한 수익성을 유지했다는게 삼성전자의 설명이다.

소비자 가전(CE) 부문은 2분기 매출 13조4천억조원, 영업이익 1조600억원을 기록했다. CE는 펜트업(Pent-up) 수요가 지속되고 프리미엄 제품 판매를 확대하며 호실적을 이어갔다.

2분기 시설투자는 13조6천억원이며, 사업별로는 반도체 12조5천억원, 디스플레이 6천억원을 지출했다. 상반기 누계로는 23조3천억원이 집행됐으며, 반도체 20조9천억원, 디스플레이 1조4천억원이 지출됐다.

메모리의 경우, 향후 수요 증가 대응을 위해 평택과 시안 증설과 공정 전환에 투자가 집중됐으며, 파운드리는 EUV 5나노 등의 증설을 중심으로 투자가 이뤄졌다.

환영향은 달러화, 유로화, 주요 이머징 마켓 통화가 원화 대비 소폭 강세를 나타내며 부품과 세트 사업 전반에 걸쳐 전분기 대비 영업이익에 2천억원 수준의 긍정적 영향이 있었다.

삼성전자는 하반기에도 긍정적인 실적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반기 부품 사업은 전반적으로 시황이 양호할 것으로 보이며, 제품과 기술 리더십 제고에 주력할 방침이라는게 삼성전자의 설명이다.

삼성전자 2018∼2021년 2분기 분기별 실적 (단위: 조원) (자료=삼성전자)
삼성전자 2018∼2021년 2분기 분기별 실적 (단위: 조원) (자료=삼성전자)

세트는 프리미엄 리더십과 라인업을 강화해 지속적으로 견조한 수익성 달성을 추진할 예정이지만 부품 공급 차질과 코로나 관련 불확실성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사업별로는 메모리의 경우, 신규 CPU 채용 확대와 주요 고객사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로 서버와 모바일 수요가 지속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전자는 15나노 D램과 6세대 V낸드 전환 가속화와 함께 D램에 EUV 적용을 확대해 시장 리더십을 높여갈 예정이다.

시스템반도체는 스마트폰 성수기 진입으로 시스템LSI 주요 제품의 수요 증가가 예상되고, 파운드리는 평택 S5라인 공급능력 확대와 미래 투자 기반 마련을 위한 공급가격 현실화를 통해 성장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디스플레이는 주요 고객사 신규 플래그십 제품 출시로 중소형 패널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연내 QD 디스플레이 양산체제 구축에 집중할 예정이다.

무선은 제품 경쟁력과 사용 경험을 혁신한 폴더블 신제품을 출시해 폴더블 대세화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또, 중저가 5G 모델도 확대해 라인업 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갤럭시 생태계' 제품군 판매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견조한 매출과 이익 달성에 주력할 방침이다.

네트워크는 북미 등 주력 시장의 매출 성장과 유럽 등 신규 시장의 수주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며, CE는 'Neo QLED', 초대형 등 고부가 TV 판매를 확대해 프리미엄 리더십을 공고히 하고 '비스포크(BESPOKE)' 글로벌 판매 강화를 통해 매출 성장에 주력할 예정이라고 삼성전자는 설명했다.

증권가에서는 반도체 상승 랠리에 힘입어 삼성전자의 3분기 매출이 70조원, 영업이익은 15조원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에 따라 올해 연간 영업이익도 50조원을 넘어설 가능성이 제기된다.

온라인으로 2021년 신년사 중인 김기남 삼성전자 부회장. (사진=삼성전자)
김기남 삼성전자 부회장. (사진=삼성전자)

한편, 삼성전자는 29일 이사회를 열고 지속가능경영 관련 이사회의 역할과 책임 강화를 위해 이사회 내 위원회인 '거버넌스위원회'를 '지속가능경영위원회'로 개편하기로 결의했다.

지속가능경영위원회는 기존 거버넌스위원회가 수행해 온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과 주주가치 제고 등의 역할에 더해 환경(E)∙사회(S)∙지배구조(G)와 관련된 지속가능경영 분야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위원회 운영의 독립성을 위해 지속가능경영위원회는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되며, 이를 통해 회사의 지속가능경영 추진 방향을 제시하고 이행 성과를 점검하는 등의 역할을 강화할 예정이다.

주요 사업부에 지속가능경영사무국을 신설하고 지속가능경영추진센터를 CEO 직속 조직으로 격상하는 등 전담 조직체계를 지속 강화해온 삼성전자는, 이번 위원회 개편으로 사업부에서 이사회에 이르는 전사 지속가능경영 추진체계를 확립하게 됐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사업별로 제품과 서비스를 통해 세계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가능한 세상을 만들기 위한 활동도 적극 추진 중"이라며 "삼성전자는 앞으로도 지속가능경영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고, 그 방향성과 성과 등을 이해관계자들과 투명하게 소통할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파이낸셜신문=황병우 기자]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