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 "우리나라 유망 신산업 경쟁력 '규제'가 발목 잡아"
경총 "우리나라 유망 신산업 경쟁력 '규제'가 발목 잡아"
  • 임권택 기자
  • 승인 2022.05.06 1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나라 주요 신산업 규제 개선방안' 발표

3대 신산업 국내 6개사의 시총 합계는 중국기업 텐센트 시총의 1/3 수준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나 경쟁력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6일 발표한 '우리나라 주요 신산업 규제 개선방안' 보고서에서 "과도한 규제로 우리나라 신산업 경쟁력이 점점 뒤처지고 있다"고 진단하며, "선제적인 규제개혁을 통해 혁신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이같이 밝혔다.

경총은 3대 신산업(온라인 플랫폼, 바이오·헬스, 핀테크) 국내 6개사(네이버, 카카오,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카카오페이, 토스) 시가총액 합계(195조3천억원)가 중국기업 텐센트 시가총액(630조4천억원)의 1/3 수준 미만으로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한 신산업 분야 규제 환경 개선이 시급하다고 진단했다.

텐센트(Tencent)는 1998년 중국 선전에 본사를 두고 설립됏다./사진=텐센트 홈페이지 캡처
텐센트(Tencent)는 1998년 중국 선전에 본사를 두고 설립됐다./사진=텐센트 홈페이지 캡처

보고서는 미국, 중국, 영국 등 주요국에서는 유니콘 기업이 꾸준히 탄생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전 세계 유니콘 기업의 1.14%에 불과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우리나라 유니콘기업(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기업)은 12개로(전체 유니콘 기업 1,051개의 1.14%) 주요 경쟁국에 비해 열세(CB insights, 2022년 3월)이다.

경총
경총

온라인 플랫폼의 경우 주요국은 선 산업 육성 후 부작용에 대한 최소 수준 규제를 논의하는 반면, 우리나라는 해외보다 유효한 경쟁이 이뤄지고, 산업 발전 초기 단계임에도 과도한 규제 도입이 추진되고 있어 기업 활동 위축과 입점업체 및 소비자 후생 저하가 우려된다고 했다. 규제 대상 기업은 미국은 시총 757조9천억원 이상, 유럽은 시총 106조6천억원 이상, 한국은 매출 1천억원 이상이다.

EU는 글로벌 기업으로부터 자국기업 보호를 위해, 미국은 시장내 경쟁 촉진을 위한 규제 입법을 추진 중이지만 여러 요건을 모두 충족한 소수 기업만 대상으로 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매출액 1천억원 이상 기업에 대한 규제 입법(공정위안)을 비롯해 다수 광범위한 규제 법안들이 국회 계류 중이다. 내용 측면에서 기업에게 정보공개, 표준계약서 등 각종 의무를 부과하고 금지조항을 신설하여 기업 활동 제약이 우려된다.

보고서는 "국내 플랫폼 기업들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경쟁국보다 과도한 규제를 지양하고 정부의 개입을 최소화하는 민간주도 자발적 자율규제로 선 산업 육성·발전을 도모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원격의료의 경우 OECD 38개국 중 원격의료 금지국은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6개국에 불과하다. 이미 선진국들은 원격의료를 넘어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으로 비대면 의료산업을 육성·발전시키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1988년부터 35년째 원격의료 시범사업 중이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우리도 일부 비대면 진료를 한시 허용한 바 있으나, 여전히 의료법상 규제가 잔존하고 있다. 코로나19 위기경보 심각 단계 발령(2020년 2월) 이후 전화 상담 및 처방을 한시 허용했고,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49조의3 개정·시행(2020년 12월)으로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보고서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원격의료 필요성에 대한 국민 공감대가 형성되었으므로 의료법 개정을 통한 환자-의료인 간 원격의료 허용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육성‧발전을 견인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상담·처방(2020년 2월~2022년 1월)은 352만3천451건 이뤄졌고, 1만3천개 의료기관이 참여하여 평균 매일 5천건 이상 비대면 진료 수행하고 있다.

핀테크의 경우 영국 등 주요 선진국은 핀테크 산업을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으로 적극 육성 중인 반면, 우리나라는 강력한 망 분리·개인정보보호·금융규제 등 사전적 포지티브 규제로 글로벌 경쟁력 확보가 어렵고, 유니콘 기업의 등장도 매우 드물다. 글로벌 핀테크 유니콘 기업 217개사 중 미국 112개사, 영국 26개사, 중국 8개사가 있지만 우리나라는 2개사(토스, 두나무)에 불과(CB Insights, 2022년 3월)하다.

따라서 "망분리 규제 완화를 조속히 추진하고, 개인정보보호 등 핀테크 산업 관련 규제를 네거티브 방식으로 전환하여 금융업과 타 산업간 융합‧발전할 수 있는 혁신환경을 조성해 나가야 한다"고 제시했다.

또한 경총은 차세대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혁신생태계 조성을 위해 기업 성장 단계별 규제장벽 해소, 민간주도 자발적 자율규제로 先 산업 육성 환경 조성, 첨단기술 융복합 산업 규제 해소를 위한 규제 총괄기구 신설을 제안했다.

이형준 경총 본부장은 "디지털 전환과 잠재성장률 하락이 빨라지면서 신산업 분야 규제개혁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가 되었다"며, "부처별 중복·칸막이 규제를 해소하고, 국민 편익 증대와 투자 및 고용 창출을 고려한 범부처 차원의 규제개혁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새 정부는 신산업에 대해 원칙 허용, 예외 금지의 네거티브 규제 원칙을 적용함으로써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의 탄생과 발전을 위한 혁신 환경을 조속히 마련해주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파이낸셜신문=임권택 기자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