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작년 말 의결권 제한 지분율 10.71%…삼성전자보다 높아
카카오, 작년 말 의결권 제한 지분율 10.71%…삼성전자보다 높아
  • 임권택 기자
  • 승인 2023.02.22 08: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CEO스코어, 2022년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의결권 제한 지분 조사
카카오, 오너일가 등 특수관계자의 의결권 제한 지분율 2020년 0%→2022년 말 10.71%로 증가
삼성전자, 2022년 말 의결권 제한 지분율 10.11%로 카카오보다 낮아
작년 말 공익법인 지분 의결권 제한 포함되면서 이노션·삼성생명·티와이홀딩스 등 의결권 지분 제한 증가

작년 말 현재 카카오의 전체 주식 가운데 공정거래법에 의해 의결권 제한을 받는 주식 비중이 10.71%로 삼성전자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작년 말 현재 전체 주식 중 의결권 제한을 받는 특수관계자 주식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10.72%가 제한을 받는 에스원이었다.

카카오는 2위, 10.11% 지분이 의결권 제한을 받는 삼성전자가 3위를 차지했다. 카카오는 지난 2020년만 해도 의결권 제한을 받는 지분이 없었으나, 그룹 계열사인 케이큐브홀딩스가 금융업종으로 변경됐는데도 불구하고 의결권을 행사하면서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제재를 받았다. 

카카오 판교오피스 내부 모습 (사진=카카오)
카카오 판교오피스 내부 모습 (사진=카카오)

22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국내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47곳 중 총수가 있는 40곳을 대상으로 공정거래법 개정에 따른 특수관계자(오너일가·계열사·공익법인) 지분의 의결권 제한 현황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말 기준 의결권 제한 주식수는 7억6천128만2천450주로 집계됐다.

이는 특수관계자가 보유한 전체 주식수 95억4천554만4천333주의 7.98%에 해당한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에스원은 의결권이 있는 전체 주식 3천381만239주에서 362만4천975주, 10.72%가 의결권이 제한돼 제한 주식 비중이 가장 높았다. 카카오는 4억3천668만5천760주에서 4천678만1천422주, 10.71%의 제한 주식 비중으로 2위를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59억6천978만2천550주에서 6억332만4천100주, 10.11%의 의결권 제한돼 제한 주식 비중 3위에 올랐다. 4위는 이노션(2천만주에서 180만주, 9%), 5위는 호텔신라(3천711만3천121주에서 321만5천501주, 8.66%)이 차지했다.

의결권을 제한 받는 주식 비중 증가폭은 카카오·이노션·삼성생명·티와이홀딩스·태영건설 순으로 컸다.

카카오는 지난해 말 기준 전체 주식 중 의결권 제한 지분 증가폭이 가장 컸다. 카카오는 2020년 의결권 제한지분이 없었으나, 2022년 10.71%로 증가해 증가폭 10.71%포인트로 1위를 기록했다.

카카오 소속 케이큐브홀딩스는 2020년 7월 업종을 경영컨설팅업에서 기타금융업으로 변경했다. 공정거래법에 따르면 금융업 또는 보험업을 영위하는 회사는 보유하고 있는 비금융 계열사 주식에 대해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다.

이노션은 2020년에는 의결권 제한 지분이 없었으나 지난해 말부터 공익법인 현대차정몽구재단이 보유한 지분 9%(180만주)의 의결권이 제한되면서 9%포인트 늘어나 2위에 올랐다. 삼성생명 역시 2020년 의결권 제한 지분이 없었는데 지난해 말 삼성문화재단 등 공익법인 지분 7.64%의 의결권이 제한되면서 7.64%포인트 늘어나 3위를 기록했다.

티와이홀딩스와 태영건설은 2020년 의결권 제한 지분이 없었으나 지난해 말 각각 7.48%포인트, 7.06%포인트의 증가폭으로 4위와 5위에 올랐다.

정부는 지난 2020년 12월 29일 공정거래법에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소속 공익법인이 취득 또는 소유하고 있는 국내 계열회사 주식에 대한 의결권 행사를 제한한다는 내용을 추가했다. 개정된 공정거래법은 2022년 12월 30일 시행됐다. 정부가 공익법인의 의결권을 제한한 것은 기업 총수일가의 지배력 확대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파이낸셜신문=임권택 기자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