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K-콘텐츠산업, 제2의 반도체 산업으로 육성해야"
한경연 "K-콘텐츠산업, 제2의 반도체 산업으로 육성해야"
  • 임권택 기자
  • 승인 2023.04.28 08: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의 콘텐츠산업, 글로벌 7위권에 진입하며 수출효자 종목으로 성장
콘텐츠산업의 지속성장 및 내실화를 위해 지원확대 및 규제완화가 시급
K-콘텐츠 전략산업화로 무역수지 개선 및 경기불황 극복의 기회로 삼아야

무역수지가 작년 3월 이후 적자흐름을 지속해 온 가운데 콘텐츠산업을 주력 수출산업으로 육성하여 무역수지 개선 및 경기불황 극복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28일 '수출불황 가운데 새로운 수출효자 종목으로 떠오른 K-콘텐츠'에서 이같이 밝혔다.

한경연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콘텐츠산업의 매출 및 고용은 각각 전년 대비 7.6%, 1.6% 증가한 146조9천억원, 65만7천여 명으로 집계됐다.

이에 힘입어 한국의 콘텐츠시장 규모는 글로벌 7위권(2022년 기준, 한국콘텐츠진흥원)에 진입했다. 콘텐츠산업은 광고 부문을 제외한 전 분야에서 수출액이 수입액을 초과하며 흑자를 기록했다.

흑자규모는 게임(83억6천53만달러), 음악(7억6천124만달러), 방송(6억5천724만달러) 등의 분야에서는 높았던 반면, 광고(-8천348만달러), 영화(514만달러), 만화(7천440만달러) 등에서는 미미한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 제공
한경연 제공

지난해 기준 콘텐츠산업 수출액은 130억1천만달러로 전년 대비 1.5% 증가했으며,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연평균 11.6%씩 큰 폭으로 증가해 온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대표적인 수출품인 가전(80억5천만달러), 전기차(98억2천만달러) 수출액을 크게 뛰어넘은 수준이며, 그동안 정부가 집중적으로 지원해 온 이차전지(99억9천만달러)에 비해서도 30% 이상 많은 수출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승석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K-콘텐츠 관련 무역수지 흑자는 12억3천500억달러를 기록했는데, 이는 관련 통계가 제공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최대치에 해당하는 실적이다”며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오히려 증가한 문화콘텐츠에 대한 수요와 그동안 K-콘텐츠 산업계가 갈고 닦아 온 실력이 결합된 긍정적인 결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현재 K-콘텐츠의 한계로는 지역과 분야의 편향성이 지적될 수 있다.

지난해 기준 콘텐츠 수출의 71.5%는 아시아 지역에 편중되어 있으며, 전체 수출액의 절반 이상이 게임에서 발생하고 있어 콘텐츠산업의 지역 및 분야별 편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부예산인 한국콘텐츠진흥원의 2023년 장르별 지원예산 역시 방송영상(1천192억원), 게임(612억원), 음악(308억원) 등 특정 분야에 치중되어 있어 콘텐츠산업의 편향성은 향후에도 쉽게 해소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 부연구위원은 “콘텐츠산업 중 지식정보(27.8%), 광고(21.4%) 등 비중이 큰 분야는 현재까지 영미 선진국이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기업이 선전하고 있는 게임, 음악, 영화 등의 분야는 세계 콘텐츠 시장의 약 10% 내외에 불과해 콘텐츠 분야 중 수출이 부진한 광고, 애니메이션, 출판 등의 분야에 대한 지원확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올 한국경제는 본격적인 불황국면으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으며, 이와 동반하여 한국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해왔던 수출은 급격히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반도체 등 몇몇 소수 품목에 편중된 산업구조가 수출부진을 심화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이를 극복할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이승석 부연구위원은 “콘텐츠산업을 수출 주력산업화하여 무역수지 적자를 최소화하는 한편, 경기불황의 극복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한국의 콘텐츠산업이 ‘글로벌 Top 5’에 안정적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콘텐츠 플랫폼과의 매칭을 통해 양질의 콘텐츠가 시장에 원활하게 유통될 수 있도록 콘텐츠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한편, K-콘텐츠 창작물들이 그 가치를 인정받고, 그에 따른 권리와 권한을 제대로 보장받을 수 있도록 국가 차원에서 K-콘텐츠의 지적재산권(IP)을 보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파이낸셜신문=임권택 기자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