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자산운용, 'KODEX CD금리 액티브 ETF' 순자산 1조원 돌파
삼성자산운용, 'KODEX CD금리 액티브 ETF' 순자산 1조원 돌파
  • 황병우 기자
  • 승인 2023.08.18 16: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금리 파킹 ETF'로 투자자 주목… CD91일물 하루치 금리를 매일 복리로 쌓아주는 ETF
퇴직연금 등 연금계좌에서 100% 안전자산으로 투자 가능한 국내 유일 CD금리형 ETF
삼성자산운용의 'KODEX CD금리 액티브 ETF'가 순자산 1조원을 돌파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사진=삼성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의 'KODEX CD금리 액티브 ETF'가 순자산 1조원을 돌파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사진=삼성자산운용)

최근 미국을 중심으로 금리가 다시 오름세를 나타내며 향후 금리 움직임에 대한 변동성이 높아지자 '파킹형 상품'에 시중 자금이 유입되는 모습에 투자자들의 눈길이 쏠리고 있다.

삼성자산운용은 KODEX CD금리 액티브 ETF의 순자산이 1조원을 돌파했다고 18일 밝혔다.

최근 금리인상의 여파로 초단기 상품으로 분류되는 KODEX CD금리 액티브 ETF에 투자자들의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지난 6월 초 상장 이후 50여 일 만에 순자산 5천억 원을 넘어선 이후 보름 만에 1조원 규모로 빠르게 성장했다. 

이 ETF는 하루 1조원 이상의 거래대금을 기록하는 상품으로, 높은 유동성을 보이며 6월 27일 이후 현재까지 전체 ETF 중 거래량 1위를 지속하고 있다. 

특히, 최근 1개월 기준으로 순자산이 6천882억 증가하며 전체 ETF중 순자산증감 1위도 기록했다. CD91일물 금리는 8월 16일 기준 연 3.70%로 5월말 이후 연 3.7% 내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KODEX CD금리 액티브 ETF는 CD 1일물 하루치 금리를 매일 이자수익으로 반영하고 있어 현금성 자산을 관리하는데 적합하다는게 삼성자산운용의 설명이다.

일반 채권형 ETF와는 달리 이 상품은 CD91일물 금리를 일할 계산해 매일 복리로 반영하는 구조로, 기간 조건 없이 단 하루만 투자해도 CD91일물 하루 금리를 수익으로 받을 수 있다. 총 보수 역시 연 0.02%에 불과하다.

또한 이 ETF는 퇴직연금(DC/IRP) 계좌와 연금저축계좌를 통해 안전자산으로 100% 투자가 가능하다. 연금계좌에서 투자 시 세액공제 및 저율 과세 등 세제 혜택을 누리며 투자할 수 있다.

임태혁 삼성자산운용 ETF운용본부 상무는 "KODEX CD금리 액티브 ETF는 CD금리 수준의 고금리 효과를 누리며 현금 관리를 할 수 있어 투자 대기자금이나 원리금 확보에 초점을 둔 투자자라면 이 ETF를 활용해 볼 만하다"며 "특히 연금계좌에서도 100% 안전자산으로 투자 가능한 국내 유일한 CD금리 ETF이고, 업계 최저 보수/최소 거래비용 등의 장점을 갖춰 현금 관리에 효과적이다"라고 전했다. [파이낸셜신문=황병우 기자]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