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기준금리 인상, 시점보다 속도 관건”
“미국 기준금리 인상, 시점보다 속도 관건”
  • 홍성완 기자
  • 승인 2015.03.20 13: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주열 “가능성 열어두되 신중하게 경제지표 봐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18일 미국 FOMC의 회의 결과와 관련 “통화 완화를 선호한다는 뜻으로 보인다”고 평가하고,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은 시작하는 시점보다 속도가 관건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국내 경제지표뿐만 아니라 미국 지표를 면밀히 지켜보면서 유동적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대비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0일 오전 한국은행 소회의실에서 시중 은행장들을 초청해 개최한 ‘금융협의회’에서 “미국이 금리 인상 기조로 접어들면 기준금리가 연속적으로 올라갈 것”이라며 “인상 시점도 중요하지만 얼마나 빠른 속도로 올릴지에 더 관심을 두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앞서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지난 18일 회의 성명서에서 ‘(기준금리 인상 전까지) 인내심을 발휘한다(be patient)’는 기존 문구는 삭제했으나 “노동시장이 더 개선되고 인플레이션이 2% 목표치에 근접한다는 합리적 확신이 생길 때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발표에 따른 것이다.

이번 FOMC의 발표는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은 열어두되 신중하게 경제지표를 봐가며 결정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되고 있다.

이 총재는 FOMC의 이달 회의 결과에 대해 “비둘기파적(통화 완화 선호)이었다”고 평가하면서도 “구체적 기준이 없기에 불확실성은 여전히 남아있고, 어떻게 보면 더 커진 측면이 있다”고 평가했다.

이는 FOMC가 경제 동향과 전망을 근거로 금리 인상을 결정하는 쪽으로 전략을 바꿨기에 앞으로 미국 경제지표가 발표될 때마다 금융시장의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총재는 “우리도 국내 경제지표뿐만 아니라 미국 지표를 면밀히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 됐다”면서 “FOMC가 금리 전망치를 낮춘 것을 보면, 인상을 하더라도 속도는 점진적일 것으로 보여 시장 충격은 많이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금융협의회 참석한 윤종규 국민은행장, 이광구 우리은행장, 조용병 신한은행장, 홍기택 산업은행장, 김주하 농협은행장 등 11명의 시중 은행장들은 “미국의 향후 정책금리 인상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상존함에 따라 국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며 “은행들도 외화유동성 관리에 유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최근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로 예대마진 축소 등 은행 수익성이 저하될 수 있다”며 “금융당국이 최근 제시한 수수료나 금리 등에 대한 금융사 자율성 원칙 하에서 수익기반 다변화 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내비쳤다.

또한 “금년 들어 가계대출이 예년 수준을 웃도는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면서 “가계대출 구조개선 노력과 함께 가계대출의 건전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리스크 관리를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