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中·日·獨 환율조작국 지정하나
트럼프, 中·日·獨 환율조작국 지정하나
  • 연성주 기자
  • 승인 2017.02.01 14: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정요건 두가지 갖춘 한국에 불똥 튈 가능성 높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 일본, 독일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면서 한국에도 불똥이 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트럼프가 당장은 이들 3개국만을 거론했지만 한국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될 조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31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제약회사 임원들과 만난 자리에서 "중국과 일본은 시장을 조작했고, 우리는 얼간이처럼 이를 지켜보고 있었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인 피터 나바로 백악관 국가무역위원회(NTC) 위원장은 유로화 절하를 문제삼으며 독일을 공격했다.
▲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1일(현지시간) 제약회사 임원들과 만난 자리에서 "중·일·독은 환율조작국"이라고 맹비난했다. (사진=연합)
나바로 위원장은 "독일이 유로화 가치를 큰 폭으로 절하해 미국과 유럽연합(EU) 회원국을 착취하고 있다"면서 "유로화는 '사실상 독일 마르크화'로 유로화 가치 절하가 독일의 교역에 득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캠페인 시절부터 취임 후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 것이라고 공언했으며, 취임 후 100일 이내에 우선적으로 추진할 과제에 이를 포함했다.
환율조작국 지정 시 실무를 담당하는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 내정자는 의회 상원 인준청문회에서 인준을 통과한다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겠느냐는 물음에 "그러겠다"고 답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 일본, 독일 등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기 위해서는 미국 재무부가 환율조작국의 판단 기준을 변경해야 한다.
환율조작국 지정은 백악관이 아닌 재무부 담당으로, 지금까지는 매해 4월과 10월에 내는 환율보고서를 통해 이뤄져 왔다.

재무부의 현행 기준으로 특정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려면 해당국의 대미 무역흑자가 200억 달러 이상이고, 경상수지 흑자가 해당국 국내총생산(GDP)의 3% 이상이면서, 자국 통화가치 상승을 막기 위해 한 방향으로 외환시장 개입을 반복적으로 단행하는 등 세 가지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재무부는 지난해 10월 발표한 환율보고서에서 한국, 중국, 일본, 독일, 대만, 스위스 등 6개국을 환율관찰대상국으로 지정한 바 있다. 세 가지 조건 중 한 가지 이상을 충족한다는 이유에서다. 이는 환율조작국 지정의 전 단계로 해석된다.
6개국 중 한국과 일본, 독일은 대미무역 흑자와 경상수지 흑자 등 2가지 요건을 충족해 환율관찰대상국으로 지정됐고, 중국은 대미무역흑자 요건만 충족했는데도 한 차례 관찰대상국으로 지정된 경우 최소 2차례 이상 관찰대상국으로 유지한다는 추가 조항에 따라 환율관찰대상국에 머물렀다.
미국 정부는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한 국가에 대해서는 우선 1년 동안 상호무역회담을 확대하면서 지정국 해외민간투자회사의 자금조달 제한, 연방정부의 지정국으로부터 조달(수입)제한 등의 경제제재를 할 수 있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내놓은 보고서에서 트럼프 정부가 중국의 환율조작국 지정을 통해 향후 기존 무역협정을 재협상할 수 있는 법적 권한을 열어놓을 소지는 충분하다고 지적했다.
자본시장연구원도 지난달 보고서에서 "환율조작국 관련 논의는 중국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한국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이라며 "환율조작국 지정요건 중 중국은 한 가지에 해당하지만, 한국은 두 가지에 해당해 중국이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된다면 한국 또한 지정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일본 정부는 1일 "환율 조작은 하지 않고 있다"고 공식 반론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이날 오전 정례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을 받고 "지금까지 누차에 걸친 주요 7개국(G7), 주요 20개국(G20) 합의에 따른 정책을 추진해 왔고 이는 앞으로도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