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통상임금 판결 앞두고 '술렁'
재계, 통상임금 판결 앞두고 '술렁'
  • 연성주 기자
  • 승인 2017.08.09 09: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아차 패소하면 3조~5조 비용 폭탄…재계 전체 최대 30조원 부담 늘어
기아자동차 근로자들이 정기상여금을 통상임금으로 인정해달라며 제기한 소송의 1심 선고가 임박하면서 재계가 술렁이고 있다.
재판부가 노조 요구를 모두 인정할 경우 재계는 20조~30조의 노동비용 부담이 늘어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9일 재계와 법조계에서는 정기성, 일률성, 고정성 등을 충족하는 기아차의 정기상여금이 결국 판결에서 '통상임금'으로 인정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관심의 초점은 과연 재판부가 새 통상임금 기준을 적용한 전부 또는 일부 소급 보전이 필요하다고 판단할지 여부다.
현재 노조는 상여금 등이 포함된 새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과거 3년(임금채권 기한)간 받지 못한 각종 통상임금 연동 수당을 계산해 지급하라고 주장하고, 반대로 사측은 지금까지 해마다 임금협상에서 노사합의에 따라 상여금을 통상임금에 포함하지 않았던 만큼 '신의성실 원칙(이하 신의칙)'에 따라 과거 분까지 줄 필요는 없다고 반박하고 있다.
▲경총이 추산한 통상임금 관련 기업 추가 비용 규모
만약 재판부가 전부 소급을 명령할 경우(기아차 패소 시), 최대 3조원(회계평가 기준)의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우선 2011년 10월 2만7458명의 기아차 근로자들이 제기한 통상임금 소송에 따른 2008년 8월~2011년 10월(3년) 임금 소급액만 6900억원에 이른다.
추가로 2014년 10월 13명의 근로자가 통상임금 대표 소송을 통해 주장한 2011년 10월~2014년 10월(3년) 임금 소급액 1조1000억원에 대한 지급 의무도 생긴다.
이 두 소급분 1조8000억원에, 통상임금에 연동되는 퇴직금 등 간접 노동비용 증가분까지 모두 더하면 최대 3조 원에 이른다.
하지만 노조가 승소할 경우 2014년 11월부터 최근까지 받지 못한 임금까지 소급 지급해달라는 소송이 추가로 제기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기아차의 비용 규모는 최대 5조원까지 늘어날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물론 1심 판결이기 때문에 당장 기아차가 이 막대한 재원을 모두 마련해 지급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법적으로는 판결 시점(3분기)부터 이 예상비용을 회계장부에 '충당금' 형태로 반영해야 하는 상황이다.
지난 상반기 분기당 평균 4000억원 정도였던 기아차의 영업이익을 고려할 때, 3조원의 비용을 3분기에 한꺼번에 반영하면 2조6000억원에 이르는 영업손실이 불가피하다.
기아차의 당기순손실도 비슷한 규모로 커지면, 기아차 지분을 33.88% 가진 현대차도 지분법에 따라 이 적자를 지분 비율만큼 떠안게 된다.
만약 이번 판결에서 '신의칙'이 고려되지 않을 경우 부담은 기아차 개별 기업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업장에서 노조나 근로자들의 비슷한 소송이 잇따를 수밖에 없고, 그에 따른 전체 노동비용 증가 규모는 20조~30조원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우선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지난 2013년 3월 '통상임금 산정 범위 확대 시 경제적 영향 분석' 보고서를 통해 정기상여금뿐 아니라 당시 노동계가 주장한 각종 수당이 모두 통상임금으로 인정될 경우 기업이 부담할 추가 비용 규모를 최대 38조5509억원으로 추산한 바 있다.
경총 관계자는 "대법원이 판결을 통해 정기상여금을 통상임금에 포함하면서도 '신의칙'에 따라 추가 법정 수당 요구가 부당하다는 판결을 내렸다"며 "따라서 38조원은 신의칙이 전혀 고려되지 않은 상황을 가정한 재계 최대 피해 규모"라고 설명했다.
2013년 5월 한국노동연구원도 통상임금 범위 확대에 따른 기업의 노동비용 증가액을 14조6000억~21조9000억원으로 계산했다.
재계 관계자는 "신의칙을 제시한 2013년 대법원 판결에도 불구하고 개별기업의 통상임금 관련 소송에서는 재판부의 성향에 따라 신의칙이 인정되기도, 부정되기도 했다"며 "만약 기아차 판결에서 신의칙이 인정되지 않을 경우 재계에 미칠 파장은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