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 60% 은퇴 후 일해야...50대 절반이상 은퇴준비 미흡
가구 60% 은퇴 후 일해야...50대 절반이상 은퇴준비 미흡
  • 조경화 기자
  • 승인 2019.01.03 11: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KB금융, 노후자산과 은퇴준비를 진단한 '2018 KB골든라이프보고서' 발간
  
한국 가구의 주택을 포함한 총자산은 9천884조원, 노후대비 금융자산은 2천692조원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가 보유한 부동산자산은 총자산의 76.2%이며, 순자산 상위 40%이상 가구만 65세 은퇴 시 최소생활비(월 184만원) 확보가 가능하다. 
 
또 개인연금을 중도해지하거나 환매한 경험자는 29.0%이며, 목돈마련, 생활비충당, 낮은 수익률 등이 원인으로 조사됐다. 
 
KB금융그룹은 행복한 노후를 위한 노후 설계와 보유자산을 활용한 한국적 노후 준비 방법을 분석한 '2018 KB골든라이프보고서'를 발간했다고 3일 밝혔다. 
 
 
발간 2년차를 맞는 '2018 KB골든라이프보고서'는 서울 및 수도권과 광역시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74세 이하 3,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에 기반하여 작성됐다. 
 
이와 함께 통계청의 가계통계자료를 활용하여 한국가구 전체의 노후대비자산의 규모와 구성 현황을 담은 것이 특징이다. 
 
◇ 한국 가구의 총자산중 부동산 40.7%, 노후대비금융자산은 27.2% 차지
 
한국 가구의 총자산은 9천884조원으로, 부동산(주택)자산 40.7%(4천22조원), 일반금융자산 32.1%(3천170조원), 노후대비금융자산(연금) 27.2%(2천692조원)으로 추정했다.
  
총자산 규모는 전년 대비 7.4% 증가했고 일반금융자산은 8.1% 증가한데 비해 노후대비금융자산은 6.2% 증가로 상대적으로 낮은 증가율을 보였다. 
 
이는 주택가격 상승 및 2017년 주가지수 상승으로 부동산자산 및 일반금융자산의 증가율이 노후대비금융자산보다 다소 높게 형성되었기 때문이라고 KB금융은 밝혔다. 
 
한편 노후대비금융자산 중 가장 큰 증가를 보이는 연금은 지속적으로 가입자가 확대되고 있는 퇴직연금으로, 2017년 147조원에서 2018년 169조원으로 14.3%가 증가하여 국민연금(9.2% 증가), 개인연금(6.1% 증가)에 비해 큰 폭의 성장세를 보였다. 
  
◇ 공적연금만 보유한 여력부족형 비중 27.7%로 가장 높아
 
2017년 조사에서는 공적연금만 보유한 여력부족형의 비중이 27.7%로 가장 높았으나, 퇴직연금 가입자 증가로 여력부족형의 비중이 2018년 20.9%로 6.8%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른 반대급부로 퇴직연금을 포함한 3층 연금을 모두 보유한 연금종합형의 비중이 2017년 17.2%에서 2018년 22.4%로 5.2%포인트 증가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공적연금과 퇴직연금만 보유한 관심부족형의 비중도 2017년 17.2%에서 2018년 20.5%로 3.3%p 증가했다. 
 
특히, 자영업자는 2017년에 여력부족형과 종합지향형이 주요 유형이었으나, 2018년 조사에서는 종합지향형과 연금종합형 비중이 크게 상승하면서 공적연금에만 의존하는 비중이 크게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KB금융
 
◇ 가구의 순자산은 40대 이후 10여년간 감소하다가 50대 후반부터 다시 증가
 
▲KB금융
 우리나라 가구의 소득/지출과 순자산을 분석한 결과, 가구 순자산은 40대 초반에 고점을 찍은 뒤, 목돈 지출이 많아지는 50대 초반까지 감소하다가, 은퇴 전인 60세 전후까지 다시 증가하는 형태를 보였다. 
 
순자산 상위 15~35%에 해당하는 가구(상위그룹)는 높은 소득을 바탕으로 목돈 지출이 늘어나는 40대에도 순자산이 조금씩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반면 순자산 상위 40~60%에 해당하는 가구(중위그룹)는 40대부터 지출이 소득을 상회하면서 순자산이 50대 초반까지 감소하고, 이후 60세 전후까지 40대때 보다 순자산이 약간 더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한편 소득이 낮은 순자산 상위 65~85%에 해당하는 가구(하위그룹)은 육체적 능력과 숙련도가 가장 좋은 40대에 순자산이 가장 많고, 가계수지 회복 후 정점인 60세 때에도 이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65세 은퇴시 순자산 상위 40% 이상 가구는 최소생활비 이상 확보 가능
 
▲     ©파이낸셜신문
은퇴시 활용할 수 있는 부동산자산을 감안할 경우, 순자산 상위 40%이상 가구는 높은 소득수준으로 국민연금도 많이 받고, 축적된 부동산자산으로도 소득을 창출할 수 있어 65세 은퇴시 최소생활비(월184만원)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순자산 중위그룹은 부동산자산으로 일정수준의 소득을 창출하면서 65세 은퇴시 최소생활비 3/4 정도의 노후소득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중위그룹은 최소생활비 충족을 위해서는 월 45만원 정도의 추가소득 확보를 위한 활동을 지속하여야 할 것이다.
 
순자산 하위그룹은 낮은 소득수준으로 국민연금 수령액도 적고, 부동산자산이 부족하여 추가 소득이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65세 이후에도 지속적인 근로활동을 통해 일정 소득을 확보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 은퇴전 가구 금융자산 8천920만원으로 56.4% 예적금 등 안정형 상품
 
은퇴전 가구가 현재 보유한 금융자산은 평균 8천920만원으로, 예적금이나 개인연금과 같은 안정형 금융상품을 보유한 경우가 56.4%로 가장 비중이 크고, 주식이나 편드 등 투자형 금융상품(22.2%), 요구불예금의 유동성 금융상품(18.1%)의 순이다.
 
장기간 종사하던 직장이나 직업에서 퇴직하여 새로운 일자리로 옮긴 상태인 반퇴가구의 경우는 공격적인 경향이 나타나 유동성자산 비중은 감소하고 투자형자산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다.
 
▲KB금융
  
◇ 평균 은퇴 희망연령은 64.9세이나, 60대 이상은 5~10년 좀 더 일하고 싶어함
  
20대에서 50대까지는 60대 초·중반에 은퇴를 희망하나, 60대(69.9세), 70대(76.0세)의 은퇴 희망 연령은 급격하게 상승하는 등, 은퇴 시점을 좀 더 늦추고 싶어하며, 실제 은퇴자의 은퇴 나이는 이보다 10년 이상 이르게 찾아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 전후 가구의 생활 만족도는 특별히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보통 수준이 많으나, 노후 준비가 충분히 되어 있는 경우, 개인연금을 보유한 경우, 은퇴설계 관리서비스를 경험한 가구들이 삶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과거보다 생활이 좋아졌다고 말하는 경우가 많았다. 
 
일반적으로 은퇴 대비를 한 가구가 경제적 형편이 더 낫기도 하겠지만, 은퇴 설계를 하는 등 자신의 삶을 위한 행동을 취해 왔다는 사실 자체로도 생활에 대한 만족감이 개선될 수 있다고도 볼 수 있다.
 
▲KB금융
 
◇ 은퇴를 앞둔 50대의 절반 이상이 적정생활비 조달 준비가 미흡 
 
조사 대상자들은 노후에 여가 등을 즐길 수 있는 적정생활비를 고려했을 때 65% 수준의 자금을 조달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았다. 적정생활비의 70% 이상을 조달할 수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전체의 40% 미만에 불과했다. 
 
이는 은퇴 후 최소생활비 이상 준비가 가능한 가구가 40% 정도라는 가계통계 분석결과와 맥을 같이하는 것으로, 60% 정도의 가구는 은퇴 후에도 소득활동을 지속해야 함을 의미한다. 
 
연령대별로는 50대 이하는 적정생활비 조달이 미흡(70% 미만)인 경우가 75%~57%였으며, 60대 이상은 조달 예상 수준은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나 여전히 40% 정도는 미흡한 수준이었다. 적정생활비 대비 여전히 부족한 금액은 생활비를 절약하거나 추가적인 소득활동 또는 자산 매각 등으로 대응할 예정이다.
 
5명중 1명은 '주택연금 가입'을 통해 해결하겠다고 말했으며, '대출로 마련' 의향은 상대적으로 소수이다.
 
▲KB금융
 
◇ 향후 3년내 17%가 거주용, 21.6%가 거주용 외 아파트 매각 의향
 
▲KB금융
보유자산의 상당부분이 부동산으로 이루어진 한국 가구에게 있어 노후 준비를 위한 핵심자산으로서 주거용과 주거용이 아닌 부동산에 대한 인식은 매우 다르게 나타난다.
 
주거용 부동산은 거주지로서 물리적 공간에 대한 특성에 더 주목하고 있는 반면, 거주용 외 부동산은 월세를 통한 현금흐름 창출, 시세차익 등에 관심을 두고 있다.
 
향후 3년내 17%가 거주용 아파트를, 21.6%가 거주용 외 아파트를 매각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용 부동산은 이사하거나 다른 집을 사려고 매각하는 경우가 60% 가까이 달하나, 거주용 외 부동산은 "노후 등을 위한 현금 마련", "다른 투자"나 "시세 차익" 등을 위해 매각한다는 동기가 거주용 부동산에 비해 높은 편이다. 
 
◇ 노후자금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습득하는 활동을 하는 경우는 81.8% 
 
노후자금을 모으고 관리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습득하는 활동을 하는 경우는 은퇴전가구의 81.8%로 높은 수준이다. 
 
노후자금관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얻는 채널은 2017년에 '직장동료와 지인', '금융회사 직원' 등 인적 채널 및 TV 등 舊미디어의 역할이 컸다.
 
그러나, 2018년에는 '인터넷 정보사이트'를 통해 가장 많이 얻고 있는 등 오프라인 채널의 퇴조와 온라인 채널 이용 활성화가 두드러진다. 
 
반면, 은퇴설계 경험자는 '금융회사 직원'을 가장 중요한 정보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노후자금 관리에 관심이 높은 은퇴설계 경험자들은 ‘금융회사 직원’을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과 동시에 온·오프라인의 다양한 정보를 고르게 활용하고 있다. 
 
▲  KB금융
 
◇ 은퇴전가구 중 55.1%가 개인형IRP를 포함하여 개인연금을 보유
 
▲ KB금융
은퇴전가구 중 개인형IRP, 세제적격 및 세제비적격 개인연금, 일시납 개인연금의 연금상품을 보유한 가구는 55.1%이다.
 
이 중 절반 이상인 54.3%가  '노후자금 마련을 위해' 개인연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세액공제 혜택을 받기 위해서'도 32.6%로 주된 이유로 나타난다.
 
노후준비도 수준별로 가입 이유에 차이를 보이는데, 노후준비도가 '미흡'한 경우는 노후준비도가 ‘우수’하거나 ‘보통’인 경우와 동일하게 노후자금을 마련하거나 세액공제 혜택을 받기 위해 보유한 이유도 있지만, '가족이나 지인 추천이나 권유'(21.8%), '금융사 직원의 추천이나 권유'(18.3%)로 가입한 경우도 많은 편이다.(복수응답) 
 
 
◇ 개인연금상품을 중도해지나 환매한 경우는 1/3정도인 29.0% 
 
개인연금상품을 가입한 후 중도해지나 환매를 한 경우는 은퇴전가구 전체의 1/3정도인 29.0%이며, 주된 이유는 '목돈마련'(22.0%)과 '생활비 충당'(20.0%), '낮은 수익률'(19.2%) 때문이다.
 
보유 개인상품 중 중도해지나 환매가 가장 많은 상품은 '세제비적격 개인연금'으로 보유자의 27.4%가 중도해지나 환매한 경험이 있다. 
 
세제비적격 개인연금의 경우 장기보유를 통한 세제혜택이 있으나 해지시 위약부담이 적어 다른 개인연금상품에 비해 중도해지/환매 리스크가 적다고 판단한 결과로 보인다. 가구특성별로 중도해지/환매율이 높은 상품이 차이가 있는데, 반퇴가구의 경우 현역가구에 비해 세제비적격 개인연금의 환매율보다 '일시납 개인연금'의 중도해지/환매율이 높다.
 
▲KB금융
 
◇ 부족한 노후자금을 개인연금으로 충당할 의향이 있는 경우는 35.2%
 
▲KB금융
은퇴전 가구가 희망하는 노후 여유생활비 중 현재 자산으로 부족한 자금을 개인연금으로 충당할 의향이 있는지 질문한 결과 35.2%만 활용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월평균 65만원 정도의 자금을 충당할 의지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추가 납입자금은 지출을 줄이거나 늘어난 소득으로 마련하겠다는 경우가 많다. 
 
특히 은퇴설계서비스를 받아 본 경험이 있는 경우 개인연금을 활용한 노후부족자금을 충당하려는 의향이 56.3%로 높은데, 이들은 추가 납입할 개인연금액을 충당하는 방법도 '지출 감소액으로' 하는 방법 외에 ‘투자형 금융상품을 줄여서’ 개인연금으로 옮기겠다는 의견도 상당히 많다.
 
KB금융그룹 관계자는 "가구의 총자산 중 부동산 자산이 3/4을 차지하는 한국가구의 자산구조를 고려할 때, 부동산자산과 금융자산을 함께 고려한 노후자금 계획이 필요하다"며, "KB금융그룹이 그 동안 쌓아 온 노하우를 통해 국민의 노후준비 동반자로 거듭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