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硏 "고물가 장기화 우려...관리물가 '사전 관리' 필요"
현대硏 "고물가 장기화 우려...관리물가 '사전 관리' 필요"
  • 임권택 기자
  • 승인 2023.03.02 00: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대경제연구원 '고물가 현상 언제까지 지속되나?- 관리물가로 본 고물가 현상’ 분석
관리물가, 2021년 하반기에 플러스 전환 후 올 1월에는 5.8% 기록...소비자물가상승률 상회

최근 관리 품목을 중심으로 물가 불안정 현상이 커지면서 고물가 현상이 장기화 될 것으로 우려됐다. 이에 물가 안정 정책 기조 유지가 중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일 ‘고물가 현상 언제까지 지속되나?-관리물가로 본 고물가 현상’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연구원은 “올해 들어서도 5%대의 고물가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며 “2022년 소비자물가상승률은 5.1%로 외환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에 도달했으며, 1월 소비자물가상승률 또한 5.2%를 기록하는 등 올해 들어서도 5%대의 고물가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이에 연구원은 최근 고물가 장기화 요인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는 관리물가에 대해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관리 품목은 정부가 가격결정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품목으로 소비자물가지수 내에서 비교적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관리 품목은 소비자물가지수 품목 458개 중 40개로 공급 주체에 따라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으로 구분되며, 소비자물가지수 내 비중은 약 20%로 비교적 높은 수준이다.

관리 품목은 따라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으로 구분되는데 공공부문이 직접 공급하여 가격을 결정하는 품목은 14개로 전기료, 도시가스, 담배 등이 이에 해당한다. 민간이 주도하여 공급하는 품목은 26개로 휴대전화료, 외래진료비, 입원진료비 등이 있다.

연구원은 품목별 가격지수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관리물가지수 및 관리 품목 제외 물가지수를 작성하고 관리물가상승률 및 관리 품목 제외 물가상승률을 계산했다. 그결과 관리물가상승률은 2021년 하반기에 플러스 전환한 후 2023년 1월에는 5.8%를 기록하며 전체 소비자물가상승률을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경제연구원 제공

한편, 관리 품목 제외 물가상승률은 역시 2021년부터 상승 폭이 점점 확대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소폭 둔화하는 모습이다.

연구원은 관리물가를 세부적으로 분석한 결과, 최근의 높은 관리물가상승률은 전기료, 도시가스 가격 등과 같은 공공부문 품목의 가격 급등이 주도한 것으로 전망했다.

관리물가상승률은 비록 가중치는 낮지만 주로 공공부문 품목의 가격변동에 따라 변화하는 모습이라 분석했다.

그 결과, 2021년 상반기 마이너스 상승률, 2022년 하반기부터 이어진 높은 상승세 등 관리물가상승률은 공공부문 품목의 가격변동과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2022년 하반기부터 이어진 관리물가의 높은 상승세는 향후에도 지속될 전망으로 전체 물가 불안 현상의 완화도 지연될 것으로 연구원은 판단했다. 2022년 하반기부터 높은 관리물가상승세와 더불어 소비자물가상승세도 이어지고 있다고 판단했다.

특히, 2023년 1월에는 관리 품목의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대한 기여도가 1.1%p에 달해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전월 5.0%에서 5.2%로 반등했다. 연구원은 향후에도 관리물가 상승 폭은 확대될 전망으로 상반기 소비자물가상승률은 평균 3.9~4.4%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연내 전기료, 도시가스, 시내버스료 등 관리 품목의 추가 인상 가능성이 커 소비자물가상승세는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최근 안정된 석유류, 농축수산물 등 관리 품목 제외 물가상승률 재반등 시에도 소비자물가 상승 폭이 확대될 가능성도 상존한다고 내다봤다.

현대경제연구원 제공
현대경제연구원 제공

따라서 연구원은 고물가 현상이 장기화될 것으로 우려된다며 통화 및 재정 정책을 포함한 지금까지의 물가 안정책이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정책기조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제언했다.

아울러, 관리물가가 전체 물가의 불안을 가중시키는 모순적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계획적인 ‘사전 관리’가 필요하다고 했다.

또한 관리 품목 중 전기료, 도시가스 등 에너지 가격에 영향을 받는 품목이 많아 장기적으로는 에너지 가격 예측력 개선 및 안정적인 에너지 수급 기반 확충 노력이 지속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파이낸셜신문=임권택 기자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