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태지역 스마트시티 지출 규모 2022년 354억달러 이를 듯
아태지역 스마트시티 지출 규모 2022년 354억달러 이를 듯
  • 이광재 기자
  • 승인 2019.06.05 11: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하드웨어 시장 전체 40%…한국, IoT 중심 다양한 시민체감형 서비스 창출

인터내셔날데이터코퍼레이션코리아(이하 한국IDC)가 5일 전세계 스마트 시티 지출가이드 보고서를 통해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해당 시장 지출 규모가 2022년 354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2018년 전망치보다 16.8% 증가한 수치다. 또 싱가포르, 베이징, 상하이, 그리고 서울의 스마트 시티 프로그램 지출이 올해 40억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다.

제럴드 왕 IDC 아시아 태평양 공공 부문 리서치 총괄은 “2018년 이전에는 클라우드 솔루션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통한 스마트 시티 추진에 필수 사항이었다”며 “정부가 사일로한 클라우드 우선 전환 노력을 디지털화하는 것에서 통합된 여러 기관간의 허브 구현으로 전략을 전환함에 따라 교통 및 공공 안전과 같은 상호 연결된 생태계가 점점 더 요구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인텔리전트 엣지(intelligent edge)는 성숙한 스마트 시티 개발의 새로운 단계가 될 것이다”며 “엣지 기반 스마트 솔루션이 더 강력한 컴퓨팅 기능을 확보함에 따라 클라우드 플랫폼은 그리드 컴퓨팅 아키텍처로 활용돼 도시간 상이한 컴퓨팅 파워를 조정 및 최적화해 도시 내 자동화를 촉진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부문별로는 하드웨어가 2019년 스마트 시티 관련 지출의 40%를 차지하며 가장 비중이 크다. 뒤이어 서비스, 소프트웨어, 커넥티비티 순으로 나타났다.

5년간 연평균성장률(CAGR)이 가장 높은 지출 부문은 서비스 부문으로 2022년까지 연평균 17.9%를 달성하며 하드웨어 부문 지출을 추월할 것으로 예상된다.

데이터 기반의 공공 안전, 재생 가능한 에너지 및 인프라, 지능형 교통 등과 관련된 전략적 우선순위는 2019년 스마트 시티 서비스 지출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스마트 시티 투자를 주도하는 주요 전략 우선순위 중 상위 5가지 사례는 고정식 시각 감시(fixed visual surveillance), 향상된 대중 교통, 지능형 트래픽 관리, 무수수량(NRW) 관리 및 스마트 실외 조명이다.

이러한 사용 사례들은 2019년 전체 투자액의 40.7%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마찬가지로 커넥티드 오피스와 스마트 키오스크는 경제 개발, 시민 참여, 지속가능한 계획 및 행정 분야의 핵심 사용 사례들로서 대규모 투자가 예상된다.

연평균 성장률 기준 최고 사용 사례 (제공=한국IDC)
연평균 성장률 기준 최고 사용 사례 (제공=한국IDC)

중국은 아태지역의 스마트 시티와 관련된 기술 투자 지출의 대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9년 지출의 대부분은 고정식 시각 감시에서 비롯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시민 활동을 추적하고 모니터링 하기 위한 비디오 정보 소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IDC 보고서에 포함된 실제 사례를 살펴보면 싱가포르는 자체 디지털 트윈을 만들고 있고 한국은 사물인터넷(IoT) 구현이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로 꼽힌다. 중국, 인도, 호주, 및 인도네시아 같은 다른 국가들도 IoT 를 도입하기 위한 수순을 밟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인도는 도시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기술 투자수요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김경민 한국IDC 스마트 시티 연구 담당 수석 연구원은 “국내 스마트 시티는 네트워크 및 하드웨어 인프라 중심에서 서비스 중심으로 진화하면서 IoT, AI, 블록체인 등 다양한 차세대 기술의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다”며 “특히 성숙한 네트워크 인프라를 기반으로 도시의 다양한 엔드포인트 간의 안정적인 연결성이 확보되면서 IoT 도입에 용이한 환경이 조성되고 있고 이에 IoT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시민체감형 혹은 행정 서비스가 창출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여기에 사일로한 조직간의 협업과 민간 기업의 참여가 더해진다면 국내 스마트 시티는 한층 성숙된 모델로 발전하면서 다양한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파이낸셜신문=이광재 기자 ]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