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생존 차원에서 접근해야 하는 반도체 생태계 구축..."타이완 반도체산업이 반면교사다"
[기고] 생존 차원에서 접근해야 하는 반도체 생태계 구축..."타이완 반도체산업이 반면교사다"
  • 파이낸셜신문
  • 승인 2022.11.02 11: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미 세계 최대 규모인 타이완의 반도체 생산량은 코로나바이러스 시대의 소비자 가전제품 수요 잔류와 컴퓨터 칩 공급망의 안정성에 대한 세계적인 우려로 인해 올해 20%까지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타이완 반도체산업협회 회장인 테리 차오에 따르면, 생산액은 2022년에 약 4조8,900억 타이완달러(1,573억 미국 달러)에 달할 것이며, 2021년 대비 약 20% 증가할 것이라고 한다. 타이완은 전 세계에 발주된 모든 반도체의 60% 이상을 공급하고 있다.

김종우(강남대학교 글로벌문화학부 교수)
김종우(강남대학교 글로벌문화학부 교수)

타이완 반도체산업은 타이완이 2021년보다 0.1% 증가한 올해 2022년에는 23%로 점유율을 소폭 확대하며 2년 연속 세계 1위 반도체 원자재 구매국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 본토는 2021년 18.6에서 19%로 2위 구매자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북미 지역은 작년 6%에서 증가한 6.4%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였다.

타이완은 1980년대에 기술 발전을 주도하기 시작했고, 전화, PC, 서버 등의 계약 업무를 전문으로 하고 있다. 스탠다드차타드은행의 토니 푸 타이베이 소재 이코노미스트는 "타이완 반도체회사들은 상당한 경험을 바탕으로 수년간 반도체를 주도해 왔으며, 대부분의 시장에서 보다 훨씬 성숙된 산업을 창출했다"고 말했다.

푸 사장은 "타이완의 반도체가 확실히 세계 시장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타이완이 가장 발전된 유형의 반도체 생산에서 계속 선두를 달리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그 섬의 가장 상징적인 칩 제조업체인 타이완 반도체 제조사는 최소한의 전력으로 가장 빠르게 가동되는 세계 대부분의 첨단 칩을 만든다. 반도체 부족에 대한 세계적인 우려는 대만의 칩 생산에 해외 주문을 충족시키기 위한 새로운 압력을 가하고 있다고 푸는 말했다.

칩은 2020년과 2021년 재택근무 준비로 새 PC와 모바일 기기 주문이 폭주했던 수요 급증기에 공급 부족에 빠졌다. 공급망 결함으로 더 심해진 공급 부족은 정부로 하여금 중요한 전자제품, 군사 애플리케이션 및 의료 장비에 대한 충분한 수량의 칩을 단기 내에 확보할 수 있는가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게 한다.

지난 8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국가 안보를 위해 더 많은 기술 연구와 개발을 요구하는 미 반도체 지원법에 서명했다. 유럽 위원회는 또한 지난 4월 자체 연구개발을 강화하기 위해 유럽 반도체법을 제안했다.

푸는 다른 나라들이 시장에서 변동성을 초래할 위험을 덜 알아차릴 수 있을 때까지, 그들은 안전한 수준의 재고를 계속 쌓기를 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올해 타이완의 반도체 생산량 20% 성장이라는 목표는 수요의 팬데믹 기간의 마지막 단계를 반영할 수 있다고 타이베이에 본사를 둔 싱크탱크인 유안타-폴라리스 연구소의 설립자인 량궈위안(梁國元)이 말했다. 량 연구원은 반도체는 주기가 있지만 지속 기간이 일정하지 않고 바닥까지 가지 않았을 수 있다고 말했다.

타이완 반도체산업의 호황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는 분명하다. 한국으로서는 단순한 제품 생산에 그치지 않고 반도체 생태계 영역을 확보해서 흥망성쇠가 반복되는 戰場에서 오래도록 생존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의미이다. 흐름을 주도해야 한다.

미국과 중국의 패권 다툼을 대리한다는 기술전쟁이 본격적으로 막이 오를 것처럼 보였으나 국제규범에 기반을 둔 개방정책을 전적으로 내세우기보다는 경제의 체급이 상당 부분 좋아진 만큼 진정한 사회주의를 완성하겠다는 시진핑정부의 정책 선회로 중국이 미국을 경제 분야에서 추월할 가능성이 적어졌다.

중국의 빅 테크 기업들이 일취월장하면서 엄청난 기세로 미국을 압도할 것이라는 전망은 중국 공산당 이념을 강조한 정치권의 IT기업에 대한 홀대 결정으로 정확한 진단이 어려워졌다. 미국과 EU, 일본, 호주, 인도 등 對중국 경제 및 기술봉쇄에 가까운 정책들이 본격적으로 실시되고 장기간 계속되면 보통국가를 지향하는 것이 아닌 한 중국의 大國崛起는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개방정책으로 다시 유턴하고 정치적으로도 서방세계와 대립하는 모습이 줄어들어야 중국경제가 살아난다. 대한민국으로서는 기회다. 첨단기술이 난무하는 미국에서는 시장 확대를 위해 전력투구해야 하고, 중국에서는 미국의 공백을 메꿀 기술을 제시하여 영향력이 위축되는 일이 없어야 한다. 대한민국의 건투를 빈다.[파이낸셜신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