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출범 이후 올 1분까지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누적 6조3천억원 공급
대안정보 활용한 CSS 고도화로 안정적인 중저신용자 대출 공급과 건전성 관리나서
케이뱅크는 올해 1분기말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이 33.2%로 집계됐다고 24일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9.3%p, 지난해말 대비 4.1%포인트 상승한 수치라고 덧붙였다.
케이뱅크가 올해 1분기 동안 공급한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규모는 3천억원이며 지난 2017년 4월 출범 이후 올 1분기까지 공급한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규모는 누적 6조3천억원에 이른다.
케이뱅크는 올 1분기 포용금융 실천을 위해 비상금대출 이자 캐시백, 소상공인 이자 캐시백, 영세자영업자 긴급생계비 지원 등을 실시했다. 지난 2월 처음 비상금대출을 받는 고객에게 한 달 치 이자를 지원했으며, 약 2만7천여 명의 소상공인 고객에게 51억원 규모의 이자 캐시백을 지급했다.
또한 2024년 설을 맞두고 영세자영업자의 긴급생계비와 물품구입자금 지원을 위해 신용회복위원회에 5천만원을 전달하기도 했다고 케이뱅크는 설명했다.
한편, 케이뱅크는 중저신용자 대출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건전성을 관리하기 위해 다양한 대안정보를 활용해 CSS 고도화를 추진 중이다.
인터넷은행으로서 네이버페이와 협업해 비금융데이터 기반 '네이버페이 스코어'를 지난 3월 도입했으며, 이동통신 3사의 신용평가 합작사 통신대안평가준비법인이 향후 선보일 통신데이터 기반 모형 '텔코CB'도 연내 도입할 계획이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앞으로도 중저신용자 대출을 확대하며 포용금융을 실천하고 다양한 대안정보를 활용한 CSS 고도화로 건전성까지 안정적으로 관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파이낸셜신문=황병우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