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표는 12일 "지금 미국에서 철강 제품에 대해서 관세 25% 부과하겠다"고 한다며 "우리나라는 쿼터제를 적용받아서 지금은 모르겠는데, 앞으로 똑같이 될 가능성이 매우 많다"고 말했다.
이어 "당장은 철강뿐이지만, 앞으로도 자동차, 반도체 이런 데에도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특성은 우리 모두가 아는 것처럼 오로지 미국 국익, 정말 미국 국익을 위해서라면 외교와 통상 이런 것을 모두 무기로 만드는 그런 대통령"이라고 업급했다.
그러면서 "우리 역시도 이런 어려운 시기에 할 수 있는 최대의 것을 해내서 우리 국익을 지켜야 된다"며 "미국 입장에 정면으로 마주치기는 어렵겠지만, 실리를 챙길 수 있는 합리적이고 정교한 전략을 반드시 마련해야 된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통상외교를 통합해서 한꺼번에 다룰 수 있는 체제로 전환해야 된다"며 "공동대응체계가 반드시 필요하다, 기업·정부·정치권 할 것 없이 힘을 합쳐야 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이날(수) 오전 9시 30분 국회 본청 당대표회의실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제가 국회에 통상특위를 구성하자라는 이야기를 지금 몇 차례 하고 있는데 아무 반응이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표는 "오로지 이재명, 오로지 민주당, 이렇게 하지 말고 우리 기업들이 지금 수출 전선에서 겪는 어려움을 조금이라도 완화할 수 있도록 뭘 지원할 수 있는지, 국회에서 통상특위를 만들어서 함께 의논하자"며 싸울 때는 싸우더라도 일은 또 일대로 해야 되지 않겠느냐며 다시 한 번 긍정적인 답변을 촉구했다.
이 대표는 "원내 교섭단체 대표연설이 끝나고 보니까 국민의힘이 여당인지 야당인지, 아니면 제가 말씀드렸던 '산당'인지 잘 구분이 안 됐다"며 "국정을 책임진 여당이라면서, 대통령을 배출한 여당으로서 책임이 있을 텐데, 전혀 책임감을 느끼지 않는 것 같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정치라고 하는 것은 국민의 일을 대신 하는 것"이라며 "개인적으로 마음에 들든 안 들든 국민의 뜻에, 또 국민의 눈에 맞춰서 해야 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런데 "지나가는 행인들 주머니 터는 산적이 아니고, 나라 살림을 궐 내에서 책임지는 것이 여당"이라고 덧붙였다. [파이낸셜신문=임권택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