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환 금융위원회 위원장은 신임 한국산업은행 회장으로 박상진 前 산업은행 준법감시인을 임명 제청한다고 9일 밝혔다. 한국산업은행 회장 임명 절차(한국산업은행법 제13조)는 금융위원회 위원장이 제청하고 대통령이 임명한다.
박 내정자는 산업은행에서 약 30년간 재직하며 기아그룹·대우중공업·대우자동차 TF팀, 법무실장, 준법감시인 등 주요 보직을 거쳤으며, 기업구조조정과 금융법에 정통한 정책금융전문가이다.
금융위원회는 생산적 금융으로의 대전환 등 진짜 성장을 위한 금융정책에 맞춰 산업은행의 당면과제인 첨단전략산업 지원 등 정책금융 업무를 성공적으로 이끌어갈 적임자라 평가하여 내정자를 신임 한국산업은행 회장으로 제청한다고 밝혔다.
한편, 산업은행 노조는 이날 '내부 출신 회장 지명자, 전 직원이 지켜보고 있다'는 입장문을 통해 "첫 내부 출신 제청, 신임 회장은 '진짜 리더'가 되어야 한다"며 "부산 이전이라는 불합리한 정책을 무비판적으로 따르며 은행 전체를 고통으로 몰아넣은 낙하산 회장의 과오를 또다시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이제는 새로운 리더십으로 은행의 미래를 새롭게 밝혀 나가야 한다"며 "지난 30년간 은행에 근무하며 한국산업은행의 역할과 중요성을 깊이 경험한 만큼, 박 지명자는 직원들과 진심으로 소통하며 은행의 공공성과정책금융 기능을 강화하는 데 앞장서야 한다"고 밝혔다.
산은 노조는 "지난 실패를 교훈 삼아 정부의불합리한 정책에는 분명하게 목소리를 내고, 꺾여가는 대외 위상과 직원 사기를 되살리기 위해 정부를 비롯한 외부 기관과도 적극적으로 소통해야 한다"며 "내부 출신이 면죄부가 될 수 없다"고 노조 요구안을 수용하라고 압박했다.
노조는 "부산 이전 완전철폐가 시작"이라며 "본점 부산 이전과 같은 정치적 간섭에 대해선 단호하게 '아니오'라고 말하고, 직원들이 흔들림 없이 업무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취임 즉시 한국산업은행을 부산 이전공공기관에서 지정 해제하고, 전임 회장의 불합리한 조직개편을 원복하는 등 조직 정상화 작업을 개시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나아가 "수년간 정체된 임금 및 복지 제도를 개선하여 직원들이 보다 나은 환경에서 일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며 "박 지명자는 은행 역사상 가장 중차대한 시험대에 올라 있다. 선배 경영진이 정권의 눈치만 보며 후배들의 목소리를 외면할 때 얼마나 좌절감을 느끼는지 우리 모두 뼈저리게 경험했다. 그리고 이제 3,300여명 직원들이 박 지명자의 입을 지켜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첫 내부 출신이라는 무거운 책임감으로 요구사항을 적극 수용하라"고 압박했다. [파이낸셜신문=임권택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