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액도 36.2% 증가해…국제유가 상승 반영
	
		
		
	 정유업계의 올해 상반기 석유제품 수출이 상반기 기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대한석유협회는 SK에너지, GS칼텍스, 에쓰오일, 현대오일뱅크 등 국내 정유업계가 올해 상반기에 수출한 석유제품이 전년 동기 대비 0.4% 증가한 2억2899만8000 배럴을 기록했다고 25일 밝혔다.
역대 최고를 기록했던 지난해 상반기 2억2808만1000 배럴을 상회한 수치다. 석유제품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36.2% 증가한 141억4900만 달러를 기록했다.
국제유가 상승에 따라 석유제품 수출단가가 오르면서 수출액 증가율이 물량 증가율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이로 인해 석유제품은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올해 상반기 우리나라 주요 13대 수출품목 순위에서 반도체, 일반기계, 선박, 석유화학, 자동차, 철강제품에 이어 7위를 기록했다.
우리나라의 최대 석유제품 수출국은 중국으로 전체 수출량의 19%인 4290만 배럴을 수출했고 싱가포르(12%), 호주(11%), 일본(9%), 대만(9%), 미국(7%) 등이 뒤를 이었다.
석유협회는 올해 중국 전역에서 강화된 연료유 환경규제가 실시된 이후 처음으로 지난달 중국에서 황 함량 10ppm의 초저유황 경유 8000 배럴이 국내에 수입됐다고 밝혔다.
석유협회 관계자는 "최근 중국이 아시아 역내로 휘발유, 경유 등 석유제품 수출을 큰 폭으로 늘리고 있어 하반기에는 수출시장에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대한석유협회는 SK에너지, GS칼텍스, 에쓰오일, 현대오일뱅크 등 국내 정유업계가 올해 상반기에 수출한 석유제품이 전년 동기 대비 0.4% 증가한 2억2899만8000 배럴을 기록했다고 25일 밝혔다.
역대 최고를 기록했던 지난해 상반기 2억2808만1000 배럴을 상회한 수치다. 석유제품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36.2% 증가한 141억4900만 달러를 기록했다.
국제유가 상승에 따라 석유제품 수출단가가 오르면서 수출액 증가율이 물량 증가율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이로 인해 석유제품은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올해 상반기 우리나라 주요 13대 수출품목 순위에서 반도체, 일반기계, 선박, 석유화학, 자동차, 철강제품에 이어 7위를 기록했다.
 
  | 
석유협회는 올해 중국 전역에서 강화된 연료유 환경규제가 실시된 이후 처음으로 지난달 중국에서 황 함량 10ppm의 초저유황 경유 8000 배럴이 국내에 수입됐다고 밝혔다.
석유협회 관계자는 "최근 중국이 아시아 역내로 휘발유, 경유 등 석유제품 수출을 큰 폭으로 늘리고 있어 하반기에는 수출시장에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