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 산·학·연 플랫폼 ‘P2030’으로 제조혁신
스웨덴, 산·학·연 플랫폼 ‘P2030’으로 제조혁신
  • 이광재 기자
  • 승인 2019.06.10 09: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6개 중점분야 지정 대·중기 차별화된 니즈 맞춘 혁신전략 도입
한국, 산업계 요구 반영 ‘버텀업’ 방식 제조업 르네상스 대책 필요

정부가 7월 제조업 르네상스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지만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과 4차 산업혁명의 변화에 대해 국가적 대응이 다른 경쟁국가들에 비해 뒤떨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2010년대에 이미 국가 이니셔티브를 진행하고 있는 독일과 중국이 가시적 성과를 보이기 시작한데다 중국의 제조 2025로 인한 피해가 한국이 가장 클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스웨덴이 시행하고 있는 제조업 혁신 이니셔티브인 ‘P2030’을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10일 ‘스웨덴 제조업혁신 이니셔티브(Produktion 2030) 동향과 국내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한경연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 대응 정책으로 잘 알려진 독일의 ‘인더스트리(Industrie) 4.0’, 중국의 ‘제조 2025’, 일본의 미래투자전략으로 ‘소사이어티(Society) 5.0’ 외에도 EU 회원국 중 19개국이 제조업 디지털화에 대한 국가 전략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비해 한국은 중장기적 전략이 미비한데다 단기 활성화 정책도 지지부진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제조업의 디지털화 관련 대표적 국가전략 (출처=OECD)
제조업의 디지털화 관련 대표적 국가전략 (출처=OECD)

특히 한경연은 북유럽의 독일로 불리기도 한 스웨덴이 국내 제조업 강화 전략에 시사점이 크다고 강조했다.

스웨덴은 1인당 글로벌 제조기업을 가장 많이 보유한 국가로 R&D 비중 역시 대기업 의존도가 높다. 또 1990년대 세계 1위의 연구개발 투자 국가임에도 산업적 성과로 이어지지 못한 ‘스웨덴 패러독스’를 일찍이 경험했다.

스웨덴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대기업 중심의 수출 경제에 대한 경제적 특성과 4차 산업혁명 등 제조업의 도전과제를 반영해 2013년 국가 이니셔티브인 ‘P2030(Produktion 2030)’을 도입했다.

P2030은 산학연의 강력한 협력 플랫폼으로 EU 19개 회원국 중 가장 적극적인 민간주도형 방식을 채택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P2030의 원형은 Teknikföretagen(스웨덴 엔지니어링 산업 연합)이 2012년 제안한 ‘메이드 인 스웨덴(Made in Sweden) 2030’ 아젠다에 기반을 뒀기 때문에 산업적 필요가 반영됐다.

P2030은 제조업을 산업별로 구분하기보다는 제조 특성에 따라 자원효율적 생산, 유연한 생산, 가상생산, 생산시스템에서의 인간, 순환생산시스템과 유지, 융합제품 및 제조 등 6가지 중점 분야로 분류했다.

또 4가지 정책수단을 제시해 프로젝트 펀딩, 중소기업, 교육, 국제화 프로그램으로 특화 운영 중이다.

유럽의 제조업 디지털화 이니셔티브 (자료= 유럽 커미션(European Commission),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모니터(Digital transformation monitor))
유럽의 제조업 디지털화 이니셔티브 (자료= 유럽 커미션(European Commission),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모니터(Digital transformation monitor))

스웨덴 P2030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프로젝트를 통해 개발된 기술을 활용하는데 차이가 있다는 점에 주목해 차별화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대기업은 프로젝트 참여를 제한받지 않는 대신 투자재원을 30~50%를 담당하고 있으며 그 결과를 사업에 활용할 수 있다.

최근 스웨덴 자동차·항공기 제조 회사 SAAB는 JAS 그리펜(Gripen) 항공기 제조 설비 공장인 Saab Aeronáutica Montagens(SAM)를 브라질에 건설했다.

이 과정에서 P2030의 프로젝트 중 하나인 서밋(SUMMIT) 테스트베드를 통해 검증된 3D 스캐닝과 VR을 적용, 실제 공장이 완공되기 전에 재료의 투입과 산출 과정, 충분한 작업공간의 확보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P2030은 대기업과 달리 기술 확보 및 접근성이 낮은 중소기업의 한계를 인식해 중소기업 특화 정책을 구분, 시행하고 있다. 정부와 산업계가 공동으로 펀딩을 담당한 산학연 프로젝트에 대한 워크숍을 개최해 프로젝트의 결과를 중소기업과 공유하고 기업의 관련된 기존 문제 등을 토론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연구결과와 네트워크를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지식과 기술 이전이 가능하도록 했다. 현재 중소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18개의 프로젝트 결과를 홈페이지에 공개해 기술과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반도체학과 신설이 연세대에서 확정되는 등 산업적 필요를 만족할 수 있는 인재양성과 교과과정 설립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반도체에 집중돼 있고 학부과정이 중심이기 때문에 직업 교육 측면이 강하다면 스웨덴은 특정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제조업 전반을 아우르는 첨단기술을 다루고 있고 이와 연계된 대학원 과정이 발달돼 있어 제조업 전반의 첨단기술력 강화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실제로 P2030의 Ph.D School은 제조업 첨단기술의 고등교육에 대한 산학협력을 강화하고 대학간 네트워크와 연구자간 교류를 확대하기 위해 2014년부터 대학원 과정을 시행하여 현재 30개 이상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별도의 학교를 설립하는 것이 아닌 21개의 대학 및 기관에서 제공한다.

김윤경 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한국은 현재 GDP대비 R&D투자 비율 세계 1위이나 중소기업의 디지털화는 뒤쳐진 상태로 독일, 중국보다 경제적 특성이 유사한 스웨덴의 문제 인식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국내 제조업의 산업적 특성 및 교육, 연구 등 생태계 전반에 대한 정확한 조망과 함께 단기 처방이 아닌 중장기적 전략 수립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제조업 르네상스 대책이 민간 주도의 바텀업(Bottom-up)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파이낸셜신문=이광재 기자 ]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