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경영硏 “디플레이션 발생 속단하기 이르다...선제적 대응 필요”
우리금융경영硏 “디플레이션 발생 속단하기 이르다...선제적 대응 필요”
  • 임권택 기자
  • 승인 2019.09.05 11: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물가 구조적 요인...인구 고령화, 가계부채 증가, 소비채널 변화, 기술혁신 등 공급변화

우리금융경영연구소는 “경제성장세가 둔화되는 가운데 저물가가 지속됨에 따라 일본과 같은 디플레이션 발생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으나 현재 우리나라의 상황은 90년대 일본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고 밝혔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 황나영 수석연구원과 이다은 연구원의 ‘디플레이션 발생 가능성과 시사점’에서 근원물가 상승률이 추세적으로 낮아지고 있는데 이는 고령화와 가계부채 증가, 소비채널 변화와 같은 구조적 요인들이 중장기적으로 물가상승 압력을 낮추고 있다고 분석했다.

tkwls=파이낸셜신문DB
사진=파이낸셜신문DB

보고서는 2019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를 하회할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 들어 소비자물가는 1~8월중 상승하는데 그쳤으며 하반기에도 이러한 흐름이 지속되어 연간 물가 상승률도 0.7% 내외로 예상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를 하회한 것은 99년, 2015년에 이어 세 번째이다.

이주열 한은총재는 8월 금통위에서 “소비자물가가 한두달 또는 두세달 정도는 마이너스를 나타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본다"고 한 발언도 인용했다.

보고서는 국내 경기가 부진한데다 국제유가 하락, 복지정책 확대 등으로 공급측 물가 압력도 낮아진 것이 최근 저물가의 주요 요인으로 분석했다.

또 근원물가 상승률이 1%까지 추세적으로 하락하고 있어 우리경제의 내재적인 물가압력이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

보고서는 저물가의 구조적 원인으로 인구고령화, 가계부채 증가, 소비채널의 변화 등 구조적인 변화들이 중장기적으로 인플레 압력을 낮추고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고령 인구가 증가하면서 생산성 저하로 경제성장이 낮아지고 수요가 둔화되어 저물가를 유발한다. 고령 인구는 생산가능 인구에 비해 소비성향이 낮아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민간소비 부진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한국은행은 생산가능 인구 비중이 연평균 0.5%포인트 하락할 경우 장기 인플레이션이 연간 0.01~0.03%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추정한 바 있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우리금융경영연구소

다음으로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원리금 상환부담이 수요를 둔화시키고 물가상승을 억제하고 있다.

2019년 2분기 가계신용은 1556.1조원을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 GDP대비 비중도 10년사이 22.2%포인트 상승했다.

또 온라인거래와 해외직구 증가 등 소비채널의 변화도 공산품을 중심으로 물가 하락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했다.

2015년과 2018년사이 온라인 거래가 증가하고 전체 소매판매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4%로 높아지는 과정에서 근원물가가 0.2%포인트 이상 하락한 것으로 추정했다.

아울러 글로벌 금융위기이후 과잉 생산, 경쟁 심화, 기술혁신도 공급측면에서 저물가의 배경을 제공한다고 분석했다.

따라서 보고서는 일본과 같은 디플레이션 발생을 우려하고 있으나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다.

관련, 서울대 이인호 교수의 “상대적으로 우리 경제의 성장세가 높고 자산시장이 안정되어 있어 자산버블 붕괴를 동반한 일본의 디플레이션 상황과는 다르다”는 견해도 덧붙였다.

또 정책당국도 최근의 저물가가 일시적 현상이며 디플레이션 가능성이 낮다고 평가했다고 밝혔다.

한국은행은 8월 ‘최근 소비자물가 상황 점검’에서 “‘최근 저물가는 농축수산물과 석유류 등 공급측요인의 기저효과 때문이며 하반기에는 이런 효과가 사라지면서 빠르게 반등할 것”이라고 인용했다.

아울러 통계청도 최근의 저물가를 총체적인 수요부족에 의한 현상으로 보기는 어려우며 일시적 정책적 요인에 따른 0%대 물가는 디플레이션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보고서는 “고령화 속도와 디플레갭의 존재 등 과거 일본과 유사한 구조적 징후들이 나타나고 있어 속단하기는 이르며 향후 지속적인 점검과 필요시 선제적 대응도 준비해야 할 것”으로 지적했다.[파이낸셜신문=임권택 기자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