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코로나19로 약진 중인 K-헬스케어, 아직 갈 길 멀다"
전경련 "코로나19로 약진 중인 K-헬스케어, 아직 갈 길 멀다"
  • 정성훈 기자
  • 승인 2020.06.24 1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로나19 전세계 확산후 K-헬스케어 월 수출 10억달러·수출비중 3% 돌파
글로벌 제약사 한국 투자 인센티브 강화 등 K-헬스케어 글로벌 퀀텀 점프 위한 3대 과제 제시

전경련이 24일 코로나19로 올 5월까지 전체 수출이 전년 동기대비 11.1% 감소하는 가운데도 매달 최고치를 경신중인 K-헬스케어의 최근 수출동향과 위상을 분석하고 향후 세계 시장에서의 퀀텀 점프를 위한 3대 과제를 제시했다.

지난 3월 이후 코로나19가 전세계로 확산되면서 K-헬스케어의 수출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국 코로나19 진단키트 등 방역제품, 의약품에 대한 글로벌 선호도가 높아지며 3월 사상 처음 월 수출 10억달러를 돌파한데 이어 5월에는 전년 동월대비 수출이 59.4% 증가하면서 전체 수출 중 비중은 3.4%까지 높아졌다.

그 결과 코로나19 발생 전인 2019년 12월 14위 수출품목(8.7억달러)에서 지난 5월 8위 수출품목(11.7억달러)으로 6단계나 위상이 높아졌다.

K-헬스케어 수출 추이 (단위 : 백만달러, %) (자료=산업통상자원부, 매월 수출입실적 보도자료)
K-헬스케어 수출 추이 (단위 : 백만달러, %) (자료=산업통상자원부, 매월 수출입실적 보도자료)

전경련은 “그러나 K-헬스가 향후 5~6년 내 디스플레이, 무선통신기기와 같이 연 수출 150~200억달러 수준의 케쉬 카우(Cash Cow: 시장점유율이 높아 꾸준한 수익을 가져다주지만 시장의 성장가능성은 낮은 제품이나 산업을 의미)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아직 갈 길이 멀다”고 강조했다.

이어 “WTO 세계 헬스케어 교역통계에 따르면 2019년 약 1조달러 세계 헬스케어 수출시장에서 한국의 수출은 98.4억달러로 점유율은 1%, 세계 순위는 20위에 그치고 있다”며 “지난해 K-헬스 수출실적을 기준으로 연 수출이 경쟁국 일본, 싱가포르 수준(180~220억달러)으로 늘어나기 위해서는 향후 5~6년간 연평균 12.5% 성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2019년 글로벌 헬스케어 수출 시장 국가별 위상 (단위 : 10억달러, %) (자료= WTO 세계 헬스케어 교역통계)
2019년 글로벌 헬스케어 수출 시장 국가별 위상 (단위 : 10억달러, %) (자료= WTO 세계 헬스케어 교역통계)

전경련은 K-헬스케어가 세계 시장에서 약진하기 위해서는 부진한 글로벌 제약사의 한국 투자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경련에 따르면 싱가포르는 2000년 글로벌 제약사 유치를 위해 15년간 270억달러 정책자금을 투입해 R&D 중심 ‘바이오폴리스’, 생산 중심 ‘투아스 바이오메디컬 파크’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글로벌 제약사를 첨단기술 선도기업으로 지정해 15년간 면세 또는 5∼15% 감면하는 파격적 세제 정책을 시행했다.

그 결과 2015년 기준 노바티스, 로슈, GSK 등 글로벌 10대 제약사 중 7개사가 싱가포르에서 생산설비를 가동중에 있고 30개 본사, 50개 R&D센터, 50개 제조설비 등 대규모 투자가 이루어졌다.

이에 반해 한국은 글로벌 제약사를 유치할 인센티브가 미흡한 실정으로 한국은 글로벌 제약사가 중시하는 법인세 최고세율이 25%로 싱가포르(5~15%) 보다 높고 제대로 된 생산인력 교육시설이 없어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아일랜드, 싱가포르로 해외연수를 떠나야 하는 실정이라고 전경련은 지적했다.

헬스케어분야 외국인 투자 싱가포르․한국 인프라·제도 비교 (자료= 전경련, 미래성장동력 : 바이오제약 정책건의, 2016년 6월)
헬스케어분야 외국인 투자 싱가포르․한국 인프라·제도 비교 (자료= 전경련, 미래성장동력 : 바이오제약 정책건의, 2016년 6월)

다행히 작년 12월 스웨덴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의 6.3억달러 MOU 체결이 이루어졌고 최근 열린 한-스웨덴 통상장관 화상회의를 통해 同 투자 성사를 위한 정책당국의 의지가 확인된 것은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전경련은 개도국의 감염병 대응역량 강화 등 인도적 지원 중심의 보건의료 ODA(공적개발원조) 정책도 코로나19를 계기로 베트남, 인도, 인니 등 핵심 신남방 국가에서 K-헬스케어 기업의 비즈니스 기회가 지속 창출될 수 있도록 한국식 해외 의료거점을 구축·확산시키는 방향으로 정책목표가 추가돼야 한다고 밝혔다.

일본의 경우 2014년 내각부에 ‘건강의료전략추진본부’를 설치해 관련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는데 정책역량을 집중하고 있고 특히 ODA를 활용해 신흥국 대상 의료·헬스케어 관련패키지(인프라 정비, 인재육성, 현지의료 고도화) 형태로 해외진출을 확대하고 있다는 것.

또 2015년 기준 신흥국을 대상으로 일본식 의료거점 14개 구축, 의료기기·서비스의 효과적인 해외전개를 위해 ODA 지원과 연계된 인재육성과 제도·인프라 정비를 진행중이라고 전경련은 설명했다.

전경련이 30여개 제약사,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기관의 약 30%가 코로나19 발생 전 신흥국의 인증 등 비관세규제를 해외비즈니스에 있어 최대 애로요인으로 꼽았다.

구체적으로 관련기업은 의약품에 대한 해외 허가규정 장벽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만큼 멕시코, 페루, 스위스 등 일부국 한정 의약품 상호 인증 협정의 체결 확대를 요청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는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한국 기업인 입국 금지·제한 조치의 조속한 개선을 요청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코로나19로 전경련의 기업의 해외비즈니스 기회 창출 국제협력 프로젝트 실행이 어려운 여건이지만 하반기에 예정된 전경련의 대만, 호주, 미국, 일본과의 양자 회의체와 세계경제단체연합(GBC), OECD-BIAC(OECD 기업인자문회의), 아시아 비즈니스 서밋 등 다자 경제협력 회의체를 통해 K-헬스케어 기업의 해외진출과 글로벌 Top 헬스케어 기업의 한국의 투자 유치를 위해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파이낸셜신문=정성훈 기자 ]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