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랩스, 정밀측위기술 공인인증 획득…핵심기술 상용화 속도
네이버랩스, 정밀측위기술 공인인증 획득…핵심기술 상용화 속도
  • 황병우 기자
  • 승인 2022.03.31 17: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로부터 VL(Visual Localization) 기술 테스트 통과
네이버클라우드 통해 상용화…글로벌 무대서 기술력 인정, 상용화 검증까지
네이버 제2사옥 정밀측위 연구화면 (사진=네이버랩스)
네이버 제2사옥 정밀측위 연구화면 (사진=네이버랩스)

네이버랩스가 디지털트윈·메타버스 등에 필수적인 핵심 기술인 '비주얼 로컬라이제이션(Visual Localization, 이하 VL)' 기술을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으로부터 공인인증 받고, 본격적인 상용화를 위해 속도를 낸다.

네이버랩스는 AI·컴퓨터비전 기반 정밀 측위 기술인 VL 기술이 국내 유일의 국제공인 시험인증기관인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의 기술 성능 테스트를 통과, 공인인증 받았다고 31일 밝혔다. 

네이버랩스의 VL 기술은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이 국립중앙박물관과 부평역 인근에서 진행한 실내·외 측위 테스트에서 오차 범위 0.18m와 1.05m를 각각 기록하며 매우 우수한 결과로 테스트를 통과했다는게 네이버랩스의 설명이다.

VL 기술의 핵심은 실내나 지하 등 GPS 음영 지역에서도 매우 정밀한 수준으로 측위(위치 파악, Localization)이 가능하다는 점에 있다. 이러한 특성상 정밀측위는 서비스로봇·자율주행·메타버스·디지털트윈 등 다양한 첨단 기술들이 대중화되는 과정에서 필수적이고 선결되어야 할 핵심 기술이다.

이번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의 공인인증 통과는 네이버랩스의 VL 기술이 세계적인 무대에서 기술적 역량을 인정받음과 함께, 상용화 가능성까지 검증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네이버의 유럽연구거점이자 세계 최대 AI연구소 중 하나인 네이버랩스유럽이 개발한 VL 요소 기술 'R2D2'는 지난 2019년 AI·비전 분야 세계 최고 학회 CVPR에서 글로벌 IT기업들을 제치고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네이버랩스는 이번 공인인증을 계기로, 네이버클라우드와 함께 VL 기술 상용화를 본격 진행해나갈 방침이다. 현재 인천시와의 XR메타버스 프로젝트, 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트윈화 프로젝트에도 해당 기술이 적용 중이다. 

특히 VL 기술 자체가 네이버 제2사옥의 '클라우드 두뇌' ARC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이기도 한 만큼, 네이버클라우드를 통한 ARC eye의 상용화도 하반기 중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동환 네이버랩스 Vision 그룹 책임리더는 "상용화를 고려한 테스트 특성상 안정성을 더욱 중점에 두고 보수적인 기준으로 진행했음에도, 전세계적으로도 최상위 수준이라고 볼 수 있는 결과가 나온 것에 의미가 크다"며 "R&D 및 인력 확보에 더욱 집중해 글로벌 기업들을 상회하는 현재의 기술 우위를 꾸준히 유지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파이낸셜신문=황병우 기자]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