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산업활동은 전산업 생산(전기비 -2.7%·전년동기비 -3.5%)이 광공업(-2.3%·-4.1%)과 서비스업(-0.8%·-0.9%)이 전월 증가에 따른 기저영향, 조업일 감소 등으로 조정된 가운데, 건설업(-4.3%·-27.3%) 부진이 이어지며 감소했다.
통계청은 4일 발표한 '1월 산업활동동향'에서 전산업생산은 공공행정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광공업, 서비스업, 건설업에서 생산이 줄어 전월대비 2.7%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건설업, 광공업 등에서 생산이 줄어 3.5% 감소했다.
광공업생산은 기타운송장비(2.8%) 등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기계장비(-7.7%), 전자부품(-8.1%) 등에서 생산이 줄어 전월대비 2.3% 감소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반도체(20.8%) 등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자동차(-14.4%), 1차금속(-11.4%) 등에서 생산이 줄어 4.1% 감소했다.
제조업 재고는 전월대비 0.3% 감소했고,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3.8%로 0.5%p 상승했다.
서비스업생산은 정보통신(4.7%) 등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도소매(-4.0%), 운수·창고(-3.8%) 등에서 생산이 줄어 전월대비 0.8% 감소했다.
지출 측면에서는 소매판매(전기비 -0.6%)가 내구재 판매 증가에도 연말 할인행사 종료, 설 연휴에 따른 영업일 감소 등으로 준내구재·비내구재 판매가 줄며 전월 증가 후 감소했으나, 전년동기비로는 보합(0.0%) 전환했다.
설비투자(전기비 -14.2%·전년동기비 -3.1%)의 경우, 전월 큰 폭 증가 및 조업일 감소 영향 등으로 감소했다.
정부는 1월 산업활동 주요 지표는 전반적으로 전월 증가한 기저효과와 조업일 축소 영향이 작용하는 가운데, 건설업 부진이 지속되며 감소했다고 평가했다.
이에 정부는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 등으로 경기 하방 압력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내수 등 민생경제 회복과 수출 지원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일자리·건설·서민금융 등 1분기 민생·경제 대응 플랜 주요 정책과제를 속도감있게 추진하고, 추가적인 지원 대책도 지속 강구해 나갈 계획이라 했다.
아울러, 미국 관세부과에 따른 관세 대응 수출바우처 도입 등 우리 기업 피해지원을 강화하고, 무역금융 역대 최대 366조원 공급 등 유동성 지원을 확대하는 한편, 첨단전략산업기금 설치 등 산업경쟁력 강화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 [파이낸셜신문=임권택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