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96.8), 비제조업(95.8), 3개월 연속 동반 기준선(100) 하회
내수(94.2), 투자(89.7), 수출(93.7) 16개월 연속 트리플 악화
투자 BSI(89.7)는 5월 이후 5개월 만에 80대로 하락, 투자심리 악화 지속
글로벌 통상환경 안정과 국내 규제 완화를 통한 기업심리 개선 필요
10월 기업경기 전망이 올해 최고치 기록에도 불구하고, 3년 7개월 연속 부진을 보였다. 특히 투자 심리는 지난 5월(87.2) 이후 5개월 만에 다시 80대로 하락했다.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가 26일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경기실사지수(Business Survey Index, 이하 ‘BSI’)를 조사한 결과, 10월 BSI 전망치는 기준선 100을 하회한 96.3을 기록했다. BSI는 작년 12월(97.3)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2022년 4월(99.1)부터 3년 7개월 연속 기준선 100을 하회하고 있다.
BSI가 100보다 높으면 전월 대비 긍정 경기 전망, 100보다 낮으면 부정 경기 전망을 의미한다.
제조업 세부 업종(총 10개) 중에서는 전자 및 통신장비(115.8)와 자동차 및 기타 운송장비(102.9)가 호조를 보였다. 기준선 100에 걸친 식음료 및 담배(100.0), 목재·가구 및 종이(100.0), 의약품(100.0)을 제외한 비금속 소재 및 제품(75.0) 등 나머지 5개 업종은 부진 전망을 기록했다.
한경협은 반도체와 자동차, 선박 등 주요 수출업종 중심의 실적 개선에도 불구하고 후방 산업인 석화·철강 등의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부품 및 자재를 공급하는 기업들의 경기 전망이 부정적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비제조업 세부 업종(총 7개) 중에는 전문, 과학·기술 및 사업지원서비스(113.3)가 유일하게 호조 전망을 보였다. 기준선 100에 걸친 전기·가스·수도(100.0), 도소매(100.0), 운수 및 창고(100.0)을 제외한 나머지 3개 업종은 부진이 전망된다.
한경협은 내수 부진이 장기화됨에 따라 기업들의 내수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낮은 상황이라고 풀이했다.
10월 조사 부문별 BSI는 전종목 부진으로 나타났다. 전종목 부진은 지난해 7월 전망 이후 1년 4개월 연속 이어지고 있다.
한경협은 경기침체 장기화, 관세 등 대외 불확실성 고조, 기업 규제 강화 우려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투자에 기업 불안심리가 높아지고 있다고 풀이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보호무역·관세 등 글로벌 통상환경 악화와 극심한 내수 부진으로 기업 경영 여건이 매우 어려운 상황에서, 특히 투자심리 위축은 경제 성장에 상당한 부담이 될 우려가 있다”고 진단하면서, “대외 통상환경 안정 노력과 함께 과감한 규제혁신을 통해 기업 경기심리를 회복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파이낸셜신문=임권택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