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AI 등 기술혁명은 전례없는 위기...협력과 연대만이 해답"
李대통령 "AI 등 기술혁명은 전례없는 위기...협력과 연대만이 해답"
  • 임권택 기자
  • 승인 2025.10.31 11: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APEC 출범 후 회원들의 국내 총생산은 5배, 교역량은 무려 10배 증가"
"국제 질서가 격변하는 중대한 변곡점 ...우리는 함께할 수 있다"
"조화와 상생의 길을 찾는 것이 신라의 화백 정신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31일 경주화백컨벤션센터(HICO)에서 열린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제1세션을 주재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31일 경주화백컨벤션센터(HICO)에서 열린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제1세션을 주재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31일 "인공지능(AI)으로 대표되는 기술 혁명은 우리에게 전례 없는 위기이자 동시에 전례 없는 가능성을 선사한다"며 "쉽지 않은 도전이지만 APEC이 걸어온 여정에 지금의 위기를 헤쳐갈 답이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협력과 연대만이 우리를 더 나은 미래로 이끄는 확실한 해답"이라며 "각자의 국익이 걸린 일이기 때문에 언제나 우리가 같은 입장일 수 없다는 것은 분명하다"고 했다.

그러나 "힘을 합쳐 공동 번영을 이뤄내야 한다라는 궁극의 목표 앞에서 우리는 함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경주화백컨벤션센터(HICO)에서 열린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제1세션 개회사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2025년은 대한민국이 국민의 놀라운 저력으로 민주주의를 회복하고 국제사회에 완전히 복귀한 역사적인 해"라며 "APEC이 눈부신 성취를 이루며 다자주의적 협력의 모범을 바로 세웠던 그 순간마다 대한민국은 그 여정을 주도하며 함께 해 왔다"고 말했다.

원년 회원으로서 APEC 발전을 이끌었고, 1991년 서울선언을 통해 APEC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고 말한 이 대통령은 "2005년 부산에서는 아태 지역 무역 자유화를 위한 구체적 이행 방안, 즉 부산 로드맵이 채택됐다"며 "우리가 하나로 연결될수록, 서로에게 서로를 개방할수록 APEC 회원들은 번영의 길을 향해 한 걸음씩 나아갈 수 있었다"고 회고 했다.

이 대통령은 "APEC 출범 후 회원들의 국내 총생산은 5배, 교역량은 무려 10배 늘었으며 그 단단한 공동 번영의 토대 위에서 대한민국도 경제 강국으로 우뚝 자라났다"며 "협력과 연대, 상호 신뢰의 효능을 증명한 APEC 정신이 이곳 경주에서도 유감없이 발휘되기"를 기대했다.

하지만 "희망찬 전망만 하기엔 우리가 처한 현실이 녹록지는 않다"며 "우리 모두는 국제 질서가 격변하는 중대한 변곡점 위에 서 있다. 자유무역 질서가 거센 변화를 맞이하며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심화되고 무역과 투자 활성화에 동력이 떨어지고 있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힘을 합쳐 공동 번영을 이뤄내야 한다라는 궁극의 목표 앞에서 우리는 함께할 수 있다"며 "우리가 만들어가는 지속 가능한 내일, 그리고 연결, 혁신, 번영이라는 이번 정상회의의 주제는 5년 전 우리가 함께 채택한 APEC의 미래 청사진, 푸트라자야 비전 2040의 정신을 이어받은 것"이라 밝혔다.

또한 "국제 경제 환경의 격변이라는 새로운 도전 앞에서 어떻게 APEC의 비전을 달성해 나갈 수 있을지 허심탄회한 토론과 건설적인 논의가 이뤄질 수 있기"를 기대했다.

마지막으로 "경제 지도자 여러분 이틀간의 논의가 펼쳐질 이곳의 이름은 화백컨벤션센터"라며 "고대 신라 왕국에서는 나라에 중요한 일이 있을 때마다 여러 사람이 모여 의견을 조율하는 화백회의가 열렸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화백 정신은 일치단결한 생각을 강요하지 않는다"며 "서로 다른 목소리가 어우러져 만들어낼 화음의 심포니를 추구하며 조화와 상생의 길을 찾는 것이 신라의 화백 정신이다"고 했다. [파이낸셜신문=임권택 기자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5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