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친환경 혁신기술 소개…"기후위기 극복·지구환경 개선 기여"
삼성전자, 친환경 혁신기술 소개…"기후위기 극복·지구환경 개선 기여"
  • 황병우 기자
  • 승인 2022.09.18 1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초저전력 반도체 개발…전 세계 데이터센터 등 전력 절감 기여
초절전 제품∙자원순환 극대화…'삼성 제품 사용이 지구 환경 개선'
극한의 수자원 재활용…자연으로부터 취수 최소화
지난 16일 '新(신)환경경영전략 간담회'에서 삼성전자 환경안전센터장(DS부문) 송두근 부사장(왼쪽)과 삼성전자 글로벌CS센터장(DX부문) 김형남 부사장이 삼성의 친환경 혁신기술과 실행계획에 대해 발표하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지난 16일 '新(신)환경경영전략 간담회'에서 삼성전자 환경안전센터장(DS부문) 송두근 부사장(왼쪽)과 삼성전자 글로벌CS센터장(DX부문) 김형남 부사장이 삼성의 친환경 혁신기술과 실행계획에 대해 발표하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전세계적으로 기후위기 극복을 위해 다양한 기업들이 탄소배출 절감을 비롯한 방안들을 실천하고 있는 가운데, 삼성전자가 지구 환경 개선에 기여하는 친환경 혁신기술을 공개해 관심이 쏠린다.

삼성전자는 지난 16일 '新(신)환경경영전략 간담회'를 개최하고 기후위기 극복 등 지구환경 개선에 기여하게 될 친환경 혁신기술을 소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삼성전자 환경안전센터장(DS부문) 송두근 부사장, 삼성전자 글로벌CS센터장(DX부문) 김형남 부사장, 삼성전자 지속가능경영추진센터 김수진 부사장이 참석해  삼성의 새 경영전략을 공개했다. 

우선 삼성전자는 한층 우수한 초저전력 메모리 반도체 개발을 통해 데이터센터/서버, PC, 모바일기기, 그래픽/게임 등 다양한 응용처의 전력 절감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갈수록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데 드는 에너지량이 폭증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데이터센터의 전력사용량을 줄이고 열기를 식히는 것이 지구의 온도를 낮추는데 매우 중요해 진다는게 삼성전자의 설명이다.

때문에 전 세계 서버를 삼성의 최신 저전력 SSD 및 DDR5 등으로 교체할 경우 그 자체로 전력 소모가 절감되는 것은 물론, 데이터센터 발열을 식히기 위한 전력도 절약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삼성전자는 덧붙였다.

전 세계 32개의 생산거점 등 방대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운영중인 삼성전자는 전력뿐 아니라 용수 사용량도 막대하다. 지난 2021년에는 1억6천400만톤에 달하는 용수를 사용했다.

따라서 제조공정 개선, 재활용 시스템 구축 등을 통해 매년 용수 재이용량을 늘려 왔는데 2019년 6천855만톤, 2020년 7천18만톤, 2021년 9천394만톤에 이어 앞으로 이를 최대한 늘려 2030년 물 취수량 증가 제로화(반도체), 2030년 사용 물 100% 환원(DX부문)을 추진할 계획이다.

삼성전자 직원이 화성 사업장 ‘그린센터(폐수처리시설)’에서 정화시킨 물로 조성한 연못에서 손을 적시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 직원이 화성 사업장 ‘그린센터(폐수처리시설)’에서 정화시킨 물로 조성한 연못에서 손을 적시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반도체는 지속적인 국내 라인 증설로 하루 취수 필요량이 2030년에는 현재의 2배 이상으로 증가할 전망이나, 사내 폐수는 물론 인근 공공 하수처리장의 물도 재처리해 반도체용 용수로 재이용할 계획이라고 삼성전자는 밝혔다.

특히, 광촉매 산화, 염소 산화, 효소 분해 등 다양한 수처리 기술을 통해 공공하수를 최대한 재이용함으로써 자연으로부터 취수를 최소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전자 국내 반도체 사업장은 현재 국내 법 기준의 30% 이하 수준으로 대기 및 수질 오염물질을 관리해 왔으며, 앞으로 환경안전연구소를 통한 독자 저감기술 개발을 통해 이를 더욱 고도화해 2040년에는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는 '자연상태' 수준으로 처리해 배출한다는 계획이다.

수질 오염물질은 미생물 활성화 기술, 처리 조건 최적화 기술 등 고도의 수처리 기술을 적용해 방류 하천 상류 수질 수준의 낮은 농도로 배출하고, 대기 오염물질은 알칼리 및 유기성 가스 통합처리 기술 등을 적용하여 국가 대기질 목표 수준으로 배출하겠다는 방침이다.

삼성전자가 직접 배출하는 온실가스는 주로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사용하는 공정가스와 LNG 등 연료이며, 처리기술 혁신을 통해 이 역시도 배출을 제로화 할 계획이라 설명한다.

공정가스 처리는 현재 처음 개발된 통합처리시설 RCS(Regenerative Catalytic System)를 적용하고, 기존 처리시설을 개선하기 위해 고효율 촉매를 개발할 예정이다. 

더불어 LNG는 보일러 사용으로 인한 CO2 배출을 줄이기 위해 폐열 활용을 극대화하고, 보일러 전기 열원 검토 및 탄소 포집/활용 기술을 개발하여 배출을 제로화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제품의 사용단계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을 저감하기 위해 제품의 에너지 효율 제고에 기술적 역량을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삼성전자의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곧 탄소배출 저감에 동참하는 활동이 되도록 한다는 복안인 것이다.

제품 개발 측면에서는 스마트폰, TV,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PC, 모니터 7대 전자 제품의 
대표 모델에 저전력 기술을 적용해, 2030년 전력소비량을 2019년 동일 스펙 모델 대비 평균 30% 개선한다.

이를 위해 연도별 기술 로드맵을 수립해 해당 기술을 확보하고, 확보된 기술을 타제품, 타모델로 확대 적용할 계획이라고 삼성전자는 소개했다.

삼성전자 평택사업장 내부에 조성된 연못 모습.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 평택사업장 내부에 조성된 연못 모습.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는 소비자가 제품 사용 중 손쉽게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도록 가전제품에 '스마트싱스 홈 라이프(SmartThings Home Life)' 기능 도입을 확대하고 있다. 에너지 서비스 모니터링 기능과 'AI 절약모드'을 통해 전력 절감을 지원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여러 가전제품의 플라스틱 부품에 재생레진 적용을 확대하고 있고, 재생레진 사용 확대를 위해 재생레진 공급업체를 적극 발굴하고 사내 전문연구소(순환경제연구소 등)와 품질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을 진행할 계획이다.

2030년까지 삼성전자가 수거한 모든 폐배터리에서 광물을 추출해 재활용한 후 다시 신제품에 적용하는 'Closed-loop(폐쇄구조)' 재활용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더불어 폐전자제품(e-Waste) 문제 해결을 위해 폐제품 수거 체계를 현재 규제국 중심의 50여 개국에서 2030년 삼성전자가 제품을 판매하고 있는 모든 나라인 180여 개국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특히 폐전자제품으로 인한 환경영향이 심각한 신흥국에도 순환경제 기틀을 마련할 수 있도록 인프라 구축을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글로벌 재활용업체와의 협업을 통해 기술이전 및 재활용업체 육성을 추진하기로 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기후위기 극복과 지구환경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혁신 기술을 비롯한 신환경경영전략의 핵심은 삼성이 탄소중립을 실현하고 동참하는 것"이라며 "여러 이해관계자들과의 협력을 통해 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파이낸셜신문=황병우 기자]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