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보험회사의 해외영업 점포가 200억원 가량 순손실을 기록하면서 적자 전환했다.
30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3년 보험회사 해외점포 영업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당기순손익 1천590만달러(207억6천만원) 적자로 2022년(당기순이익 1억2천250만달러) 대비 1억3천840만달러 감소하며 적자전환했다.
생명보험사가 보험영업 확대, 회계제도 변형효과 등으로 전년 대비 86.1%(2천790만 달러) 증가한 6030만 달러의 이익을 실현한 반면, 손해보험사는 대형 자연재해 사고로 인해 7천620만 달러의 손실이 나면서 전년 대비 순이익이 1억6천630만달러 감소했다.
금감원은 특히 지난해 5월 괌 태풍 마와르, 8월 하와이 마우이 산불 등으로 2개 점포에서 약 1억600만달러의 손해가 발생했다며, 해당 손해액을 제외하면 손보사 또한 흑자를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말 기준 11개 보험사(생보 4, 손보 7)가 11개 국가에서 41개 해외점포를 운영 중인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지난해 한화생명이 인도네시아(손보업) 및 일본(부동산임대업)에 신규 진출함에 따라 해외점포 수는 2022년 말 대비 2개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아시아가 25개(베트남 5, 인도네시아, 중국 4 등)로 가장 많았고 미국 12, 영구 3, 스위스 1 등 순으로 뒤따랐다. 업종별로는 보험업 31(생보업 4, 손보업 22, 보험중개·손해사정업 등 5), 금투업 등 10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기준 자산은 64억4천만달러(8조3천억원)로 전년 말(63억3천만달러) 대비 1.7%(1억1천만달러) 증가했다.
부채는 IFRS17 시행 등 회계제도 변경에 따른 영향으로 전년 말(37억8천만달러) 대비 3억4천만달러(9.0%) 감소한 34억4천만달러를 기록했다. 자본은 당기순손실 발생에도 불구하고, 회계제도 변경 및 자본금 납입 등으로 전년 말(25억5천만달러) 대비 17.6%(4억5천만달러) 증가한 30억달러를 기록했다.
금감원은 국내 보험사들이 기후변화, 경기변동 등에 따라 해외점포의 재무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음을 유념하고 관련 리스크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이에 해외점포의 재무건전성 및 신규 진출 점포의 사업진행 상황 등을 추후에도 모니터링하는 한편, 해외점포의 경영상 애로사항을 해소하는 등 보험사의 해외 신규 진출 등을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파이낸셜신문=임영빈 기자]
보험사 해외점포 당기손익 현황 (단위 : 백만달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