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예탁결제원은 2024년 한 해 동안 주식발행 금액이 약 24조6천400억원으로 전년(27조6천600억원) 대비 10.9% 감소했다고 4일 밝혔다.
에탁결제원을 통해 주식을 발행(전자등록)한 회사 수는 1천274개사로 전년(1천351개사) 대비 5.7% 감소했고, 발행수량은 184억5천700만주로 전년(178억8천800만주) 대비 3.2% 증가했다.
증권시장별 발행수량은 코스닥 상장주식이 약 101억8천만주(55.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다음으로는 비상장법인 주식이 약 44억6천만주(24.2%), 유가증권 상장주식이 약 36억8천만주, 코넥스 상장주식이 약 1억2천만주(0.7%) 순으로 비중을 차지했다.
그중에서도 코스닥 상장주식이 전년(70억4천만주) 대비 44.6% 증가하여 가장 큰 변화율을 보임과 동시에 지난해 총 주식 발행수량의 증가(3.2%)를 견인했다는 게 예탁결제원의 설명이다. 반면, 유가증권 상장주식과 비상장법인 주식은 전년 대비 각각 20.7%. 25.7% 감소했다.
주식발행을 통해 조달된 자금 규모는 유가증권 상장법인이 약 11조1천491억원, 코스닥 상장법인이 약 9조7천575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유가증권 상장법인 발행금액은 18.0% 감소했고, 코스닥 상장법인 발행금액은 3.0% 증가했다.
주식발행을 통해 조달한 자금 규모는 유가증권 상장법인이 약 11조1천491억원, 코스닥 상장법인이 약 9조7천575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유가증권 상장법인 발행금액은 18.0% 감소했고, 코스닥 상장법인 발행금액은 3.0% 증가했다.
발행사유별 발행수량은 유상증자가 35.7%(약 65억9천만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액면변경 14.5%(26억7천만주), 신규참가 8.0%(14억8천만주) 순으로 뒤를 이었다. 이 중 액면변경은 전년(12억9천만주) 대비 107.5% 증가하여 가장 큰 변화율을 기록했다.
발행사유별 발행금액은 유상증자가 81.7%(20조1천억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CB·BW 행사가 17.2%(4조2천억원), 스톡옵션 행사가 1.1%(3천억원) 순으로 뒤를 이었다.
유상증자의 세부 유형별로는 제3자배정 방식으로 발행된 수량이 46억3천만주로 가장 큰 비중(70.3%)을 차지했고, 주주배정(14억4천만주), 일반공모(5억2천만주) 순으로 발행수량이 많았다. 발행금액별로는 제3자배정 방식이 105조9천억원으로 가장 큰 비중(52.6%)을 차지했고, 전년(88조6천억원) 대비로는 19.6% 증가했다.
작년에 주식을 신규로 전자등록한 발행회사는 총 244개사로 전년(273개사) 대비 10.6% 줄었다. 작년에 전자증권제도를 통해 새로 발행되거나 전자증권으로 전환된 주식은 26억5천만주로 전년(30억1천만주) 대비 11.9% 감소했다. [파이낸셜신문=임영빈 기자]
연도별 주식 전자등록 수량 및 발행금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