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의 자금운용 규제개선 등 적극 검토"
이세훈 금융감독원장 대행이 "새 정부가 추진하는 금융공약 이행에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9일 이세훈 원장 대행은 임원회의를 개최해 "신임 원장 임명 전까지 임직원 모두 금융시장 리스크요인에 각별한 경계심을 갖고 긴밀히 대응해달라"며 이같이 밝혔다.
회의에서 이세훈 원장 대행은 "내수부진에 따른 소상공인 채무부담 가중, 건설경기 악화에 따른 프로젝트파이낸싱(PF) 정리 지연 등 경기 부진이 금융시장의 불안요소로 작용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최근 회복 기미를 보이고 있는 주식시장도 여전히 주요국 대비 저평가 상태이고, 우량·비우량기업 간 자금조달 여건 양극화도 심화되어 자본시장 활력 제고가 시급한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한국 주식시장의 주가순자산비율(PBR)은 0.8배로 미국(4.8배), 일본(1.5배), 중국(1.5배), 인도(4.0배), 대만(2.6배)과 비교했을 때 낮은 수준이다.
이세훈 원장 대행은 "빠른 시일 내에 경기를 회복하고 시장 활력을 되찾을 수 있도록 금융관행·제도개선 필요사항을 적극 발굴해 신속히 실행해달라"며 "소상공인 등에 대한 채무조정 및 금융지원 현황을 정밀 점검해 필요한 자금공급이 강화될 수 있도록 유도해줄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시중의 유휴자금이 안정적인 예대마진 위주 부동산 금융에서 벗어나 자본시장과 생산적 분야로 선순환될 수 있도록 금융권 자금운용 규제개선 등 세부 추진과제를 적극 검토해달라"고 함께 주문했다.
한편, 금감원은 이복현 원장이 3년 임기를 마치고 지난 5일 퇴임한 이후 원장직이 공석인 상태다. 새 정부가 차기 원장을 정식 임명하기 전까지는 이세훈 원장 대행 체제로 운영될 예정이다. [파이낸셜신문=임영빈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