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보험산업의 전체 보험료 성장률이 2.3%로 올해(7.4% 예상) 대비 5.1%p 하락하면서 보험산업의 수익성 저하가 본격화될 것이라는 우려 섞인 전망이 제기됐다.
21일 보험연구원이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2026년 보험산업 전망과 과제’ 세미나를 개최했다.
황인창 보험연 금융시장분석실장은 '2026년 보험산업 전망' 주제 발표를 통해 "내년 전체 보험료 규모는 약 265조원에 이를 것"이라며 "저성장, 저금리, 금융시장 불확실성 확대 등 경영환경 변화에 따른 보험산업의 부정적 영향은 건전성, 수익성, 성장성 순으로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황 실장은 "생명보험 수입보험료는 보장성보험의 성장세가 이어지겠으나, 저축성보험과 변액보험의 감소로 전체적으로 1.0% 증가에 그칠 것"이라며 "손해보험 원수보험료는 장기손해보험의 성장세 둔화와 자동차보험의 저성장 지속으로 인해 3.5% 수준의 성장에 머물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그는 "보험산업의 보험계약마진(CSM)은 올해에는 비교적 높은 성장세를 보이겠으나, 내년에는 증가율이 둔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생명보험의 CSM 규모는 올해 64조7천억원, 내년 64조3천억원, 증가율은 각각 3.7%, -0.6%로 추정된다"며 "보증 및 재보험사를 제외한 손해보험의 CSM 규모는 올해 70조3천억원, 내년 71조8천억원으로, 증가율은 각각 7.0%, 2.1%로 추정된다"고 세부 수치를 제시했다.
황 실장은 "단, 계리적 가정 변화에 따른 CSM 변화 폭이 상당하여, 계리적 가정 관리가 주요 경영과제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첨언했다.
K-ICS 비율의 경우, 황 실장은 올해는 전년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겠으나 내년에는 소폭 하락을 예상했다.
그는 "금리 하락, 해지율 및 손해율 상승 등 비우호적인 가정 변경이 보험사의 지급여력비율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금리가 급격히 하락했던 작년과 달리, 완만한 금리 하락이 예상되는 가운데, 요구자본 관리의 중요성이 커지겠지만, 보험사별 위험관리 수준에 따라 K-ICS 비율의 변동 폭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황 실장은 "중장기적으로 건정성과 수익성 악화는 보험사의 위험보장 역량과 미래대응 여력을 저하시켜, 성장성 둔화 요인으로 작용할 우려가 높다"고 말했다.
노건엽 보험연 금융제도연구실장은 '2026년 보험산업 과제' 주제 발표를 통해 내년 보험산업 과제를 수익성과 건전성을 위한 '경영 대응 과제'와 성장성을 위한 '정책 대응 과제'로 각각 나누어 제시했다.
먼저 경영 대응과제로 노 실장은 적극적 부채 관리, 자산운용 고도화, 비용 효율화를 언급했다.
과제별로 적극적 부채 관리에 대해 "신계약은 상품 개발 및 판매 단계부터 보험사의 자본 부담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보유계약은 보험사 간 계약이전을 활용해 경영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자산운용 고도화의 경우, 노 실장은 "자산운용 시 자산집약적 재보험(Asset Intensive Reinsurance)과 파생상품을 활용한다면 자본관리 뿐만 아니라 투자수익률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발언했다.
비용 효율화에 대해 노 실장은 "보험사는 사업비 지출의 합리화를 통해 사업비 지출 경쟁이 장래 이익 훼손과 부당 승환 등 소비자 피해로 이어지지 않도록 시장 규율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다음으로 신정부의 국정과제와 연계해 보험산업이 즉시 대응해야 하는 정책 과제로 노 실장은 인공지능(AI),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고령사회(Aging Society), 생산적 금융(Productive Finance)을 제시했다.
노 실장은 "AI 활용은 이제 실질적 운영 단계에 진입하며, 활용 영역의 선택뿐만 아니라 신뢰 기반의 안정성까지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며 "전환금융에서 투자자와 보장자의 역할수행과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기후위기에 따른 보험사 영향을 평가해 관련 상품개발·자산운용 등에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보장 중심의 모델을 넘어 건강관리·요양·주거·신탁 등 인접 서비스와의 결합을 통해 고령자의 생애 후반브를 통합 지원하는 주체로 보험산업이 재편되어야 한다"며 "생산적 금융 참여를 통해 장기투자자로서의 역할 증대와 수익률 제고의 기회로 활용하고 정책펀드에 기반한 보험상품 개발을 통해 지속적 참여를 고려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파이낸셜신문=임영빈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