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글로벌 신용평가사 무디스(Moody's)의 미국 신용등급 강등 조치 여파로 금융 안정이 흔들리지 않도록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20일 강조했다.
이 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소재 본원에서 열린 임원회의에서 "지난주 무디스의 미국 신용등급 강등에 따른 시장 영향은 2011년 8월 S&P, 2023년 8월 Fitch 사례에 비해 제한적이나, 대내외 위험요인이 산재해 있어 경계심을 늦춰서는 안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무디스는 이달 16일(현지시간)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기존 최고등급인 'Aaa'에서 'Aa1'으로 강등하고, 등급 전망은 기존 '부정적'에서 '안정적'으로 조정했다.
무디스는 등급 변경 보고서를 통해 "지난 10여 년간 미국 연방정부의 국채는 지속적인 재정적자로 인해 급격히 증가해왔다"며 "동 기간 연방의 재정지출은 증가한 반면, 감세 정책으로 재정 수입은 감소했고 금리 상승에 따른 정부 부채에 대한 이자 지급도 현저히 증가했다"고 조치 배경을 설명했다.
이 원장은 "이번 강등은 미국의 관세정책 불확실성으로 경기침체 우려가 높아지고 정책 신뢰도는 낮아지는 가운데 발생한 것"이라며 "장기적으로는 미국 국채와 달러화의 안전자산 지위를 약화시키는 트리거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F4(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한국은행, 금감원) 중심의 긴밀한 공조를 바탕으로 글로벌 투자자들의 자금 흐름 변화와 국내 영향을 예의주시해야 한다"며 "국내 금융권의 환위험 및 외화유동성을 안정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이 원장은 최근 거론되고 있는 일부 금융 인프라의 과점적 구조와 일부 금융회사간 정보 교환 행위의 경쟁제한 가능성에 대해 "금융안정과 경쟁촉진 간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면서 종합적인 소비자 후생 확대를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금융권의 건전한 경쟁촉진. 금융회사와 소비자 간 정보 비대칭 해소, 금융당국과 경쟁당국 간 협조체계 강화 등 공정금융과제를 다각도로 추진해 금융산업 내 건전한 경쟁질서가 확립되도록 최선을 다해달라"고 덧붙였다. [파이낸셜신문=임영빈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