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분기 국내은행이 약 7조원 규모의 당기순이익을 거둬들였다. 작년 1분기 홍콩 항셍지수 주가연계증권(ELS) 배상금(1조8천억원) 등 일회성 요인이 해소된 것에 기인한다.
23일 금융감독원은 '2025년 1분기 국내은행 영업실적(잠정)'을 통해 1분기 국내은행의 당기순이익은 6조9천억원으로 전년 동기(5조3천억원) 대비 28.7%(1조5천억원) 증가했다고 밝혔다
은행별로 시중은행의 당기순이익은 3조8천억원으로 30.3%(9천억원) 증가했고, 특수은행의 당기순이익은 2조7천억원으로 39.7%(8천억원) 증가했다.
이에 비해 지방은행의 당기순이익은 3천억원으로 27.7%(1천억원) 감소했고, 인터넷은행의 당기순이익은 2천억원으로 2.6%(100억원) 감소했다.
이자이익은 14조8천억원으로 0.8% 감소했다. 이자수익자산(평잔)이 5.3%(171조7천억원) 증가한 3천393조9천억원을 기록했으나, 시장금리 하락 등의 영향으로 순이자마진이 0.10%p 축소된 1.53%를 기록한데 기인한다.
비이자이익은 2조원으로 6.6%(1천억원) 증가했다. 시장금리 하락에 따라 유가증권평가이익 등 유가증권관련이익이 2조4천억원으로 168.9%(1조5천억원) 증가한 데 주로 기인한다.
총자산순이익률(ROA)은 0.71%로 전년 동기(0.57%) 대비 0.13%p 상승했다. 자기자본순이익률(ROE)은 9.55%로 전년 동기(7.80%) 대비 1.75%p 상승했다.
대손비용은 1조6천억원으로 23.9%(3천억원) 증가했다. 이는 홈플러스 기업회생 및 신용손실 확대 우려 등에 따른 충당금 전입 확대에 기인한다.
금감원은 향후 대내외 불확실성이 지속되더라도 은행이 본연의 자금중개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충분한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지속 유도할 계획이다. [파이낸셜신문=임영빈 기자]
국내은행의 당기순이익 현황 (단위 : 조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