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발사종료 후 3년 공백기…발사 서비스 연속성 확보해야"
국내 발사체 산업이 차세대 발사체로의 전환 과정에서 최대 3년간의 공백기를 맞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산업계 전반에 위기감이 확산되고 있어 대책 마련이 필요하는 지적이다.
1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형두 의원(국민의힘·경남 마산합포)이 우주항공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누리호 발사는 2027년을 끝으로 종료되며, 차세대 발사체는 소모형 기준 2031년, 재사용형 기준 2036년부터 본격 투입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2028년부터 2030년까지 국내 주력 발사체의 공백이 발생해, 위성 발사 수요가 있음에도 해외 발사체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불가피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산업 현장에서는 이미 일감 부족이 현실화되고 있다. 누리호 4~6차 발사용 엔진 연소기 납품이 대부분 마무리되면서 생산 장비가 멈췄고, 주요 협력업체들은 내년부터 조직 해체 위기에 놓여 있다. 업계는 발사 공백 장기화 시 숙련 인력 유지가 어렵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인재 양성 정책이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중심으로 편중돼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일부 대학에서 관련 학과 신설과 정원 확대를 추진 중이지만, 발사 일정 지연과 수요 변동성 탓에 민간 경쟁력 강화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정부가 우주산업 펀드 조성과 투자진흥지구 제도 등을 추진하고 있으나, 발사체 산업은 고위험·장기 회수 구조로 인해 스타트업이나 중소기업의 진입 장벽이 여전히 높다.
최 의원은 "투자가 대기업에만 집중되면 산업 생태계의 다양성과 혁신 동력이 약화될 수 있다"고 경고하며 "발사체 공급 공백이 3년간 지속되면 기업 도산과 숙련 인력 이탈로 산업 기반이 무너질 수 있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누리호 추가 발사나 차세대 발사체 시험발사의 조기 추진을 통해 발사 서비스의 연속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항우연 중심 구조를 개선하고, 민간이 개발과 상용화 단계에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인재 순환 구조와 리스크 분담형 투자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파이낸셜신문=황병우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