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은행의 캄보디아 현지법인들이 캄보디아 범죄 배후로 지목된 프린스그룹에 지급한 이자만 14억5천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전북은행이 프린스그룹과 거래 규모가 컸을 뿐만 아니라 가상자산 자금 세탁 의혹을 받고 있는 후이원 그룹(Huione Group)과도 유일하게 거래한 은행인 것으로 드러났다.
27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경남 진주시을)이 금융감독원에 자료요청을 통해 받은 답변 자료인 '국내 금융업권 캄보디아 프린스 및 후이원 그룹 거래내역'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5개 은행이 프린스 그룹과, 1개 은행이 후이원 그룹과 금융 거래가 있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먼저 프린스 그룹과 금융 거래를 해온 국내은행 5곳은 전북·KB국민·신한·우리·iM뱅크이고, 이들 5개 은행의 금융거래액은 총 2천146억8천600만원에 달한다.
이들 5개 은행의 프린스 그룹과 금융 거래 규모를 살펴보면 2019년 12월부터 프린스 그룹이 정기성 예금을 예치해 온 전북은행이 거래 건수 51건, 거래금액 1천252억8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2020년 7월 16일부터 프린스 그룹(프린스 뱅크)이 정기성 예금 707억8천800만원을 예치한 KB국민은행이고, 신한은행(2013년 3월~/77억900만원), 우리은행(2019년 11월 19일~/70억2천100만원), IM뱅크(해외송금/39억6천만원) 순이다.
강민국 의원실은 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이 그룹간 거래 계좌 규모 자료 제출을 거부했다고 지적했다.
이 중 해외송금 iM뱅크를 제외한 4개 은행이 프린스 그룹에 단순 예치한 예금에 대해 지급한 이자만 14억5천400만원에 달한다.
은행별 이자지급액은 전북은행이 7억87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국민은행(6억7천300만원), 신한은행(6천100만원), 우리은행(1천100만원) 순이다.
현재 프린스 그룹이 예치한 남아 있는 은행은 4곳으로, 국민은행 정기성 예금(1건) 566억5천900만원, 전북은행 268억5천만원(정기성 예금 7건), 우리은행 70억2천100만원(정기성 예금 1건), 신한은행 6억4천500만원(입출금 예금 1건)으로 총 911억7천500만원이 예치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또, 후위원 그룹과 금융거래를 한 은행은 전북은행으로 2018년 8월에 개설한 당좌예금 1건(10만원)만 있으며, 당좌예금으로 지급한 이자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민국 의원은 캄보디아 프린스 그룹, 후이원 그룹과 금융 거래가 있는 국내 은행들이 국내 코인 원화거래소와 입출금 인증계좌 은행이라는 점을 금융당국이 특히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프린스 그룹이 북한 해킹 조직 코인 자금세탁 배후로 지목되고 있다는 부분을 감안해, 금융 당국이 해당 원화 거래소를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련해 강 의원은 2015년 이후 현재(2025년 9월)까지 약 11년 동안 금융감독원이 국내 은행 캄보디아 법인, 지점, 영업점에 대한 점검 및 검사를 실시한 내역은 2017년 KB캄보디아은행(7월 5일~14일)과 2022년 신한캄보디아은행(12월 5일~13일) 단 두 차례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그중에서도 신한은행의 경우, 2018년 3월부터 프린스 그룹과 금융 거래(정기성 예금/입출금 예금)를 하였으나 금감원 점검 및 검사에서 문제점이 발견되지는 않았다고 함께 언급했다.
강민국 의원은 "금융위원회는 프린스 그룹 등 범죄 관련자에 대한 금융 거래 제재대상자 지정을 시급히 해야 할 것"이라며 "비트코인 범죄제국으로 불리는 캄보디아 내 범죄조직과 금융거래를 한 은행 중 국내 코인거래소 인증계좌 은행들이 있음을 감안해 검은돈 자금세탁이 이뤄졌는지도 철저히 검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파이낸셜신문=임영빈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