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3분기 보험사들의 지급여력비율이 주가·금리하락의 영향을 동시에 받은 것으로 말미암아 전 분기 대비 소폭 상승했다.
14일 금융감독원은 '2024년 9월 말 기준 보험회사 지급여력비율 현황'을 통해 9월 말 경과조치 적용 후 19개 보험사(생명보험사 12개사, 손해보험·재물보험 7개사)의 지급여력비율(K-ICS)이 218.3%로 전 분기(217.3%) 대비 1.0%p 상승했다고 밝혔다.
생보사의 지급여력비율은 211.7%로 0.9%p 감소했고, 손보사의 지급여력비율은 227.1%로 3.1%p 증가했다.
경과조치 적용 전 전체 보험사의 K-ICS 비율은 202.7%로 1.2%p 상승했다. 생보사는 191.2%로 0.5%p 하락했고 손보사는 218.7%로 3.1%p 상승했다.
작년 9월 말 경과조치 후 K-ICS 가용자본은 258조9천억원으로 1조5천억원 감소했다.
3분기 중 이익잉여금이 5조7천억원 증가하고 3조4천억원 규모의 자본성증권(신종 및 후순위채권) 발행 등으로 가용자본이 일부 증가했다. 그러나 주가하락과 시장금리 하락에 따른 보험부채 증가 등의 영향으로 기타포괄손익SN계액이 11조2천억원 감소한 것이 주(主)된 영향을 미쳤다.
경과조치 후 K-ICS 요구자본은 118조6천억원으로 1조2천억원 감소했다.
건강보험 판매 확대 등으로 장해·질병위험액이 1조9천억원 증가하고 시장금리 하락 영향으로 금리위험액이 7천억원 증가했으나 삼성생명·화재의 주가 하락 영향으로 익스포져가 감소하면서 주식위험액이 3조9천억원 줄어든 것에 주로 기인한다.
금감원은 전체 보험사의 경과조치 후 지급여력비율이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곤 하나,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취약 보험사 중심으로 충분한 지급여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감독 업무를 이어나갈 계획이다.
한편, 지급여력비율은 보험사의 가용자본을 요구자본으로 나눈 값으로, 보험사의 경영상태와 보험가입자에게 보험금을 제때 지급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할 때 활용하는 핵심지표다.
해당 비율은 100%를 기준으로 정상으로 보고 있고, 100% 미만일 경우에는 금융당국으로부터 적기시정조치를 받는다. 지급여력비율이 50~100%면 경영개선권고, 0~50%면 경영개선요구, 0% 미만이면 경영개선명령을 금융당국으로부터 각각 받는다. [파이낸셜신문=임영빈 기자]
지급여력비율 변동 추이

